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정 봉사학습이 초등 통합교육 환경의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에게 미친 영향

        양여경(Yang, Yeo Kyung),박승희(Park, Seunghe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초등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병합한 노인정 봉사학습(service learning)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장애학생을 ‘봉사제공자’로서 비장애학생과 동등하게 봉사학습에 참여하게 하고,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그 교육적 효과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노인정 통합적 봉사학습(inclusive service learning)이 학생에게 미친 영향에 대해 인성적 측면에서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친사회적 행동, 학업적 측면에서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화폐관리 기술, 사회적 측면에서는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 2개교의 3, 4학년 장애학생 8명, 비장애학생 22명이다.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여 15명의 실험집단 학생들(장애학생 4명, 비장애학생 11명)에게 노인정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총 17회기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노인정 봉사학습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장애학생들은 통제집단에 비해 친사회적 행동이 더 큰 폭으로 향상되었으며, 실험집단 비장애학생들 또한 친사회적 행동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실험집단의 장애학생들은 통제집단의 장애학생들에 비해 화폐관리 기술이 더 큰 폭으로 향상되었으며, 실험집단 비장애학생들 또한 화폐관리 기술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실험집단의 비장애학생들은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에서 통제집단의 비장애학생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일상적인 봉사활동이 아닌 ‘봉사학습’에 주목하여 초등 통합교육 환경에서 봉사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검증하고 긍정적 성과를 양적 자료로 보고하는 첫 번째 예비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더불어 학교현장에서 봉사학습의 보다 활발한 적용을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inclusive service-learning program of visiting senior citizen’s centers on the elementary students’ prosocial behaviors, money management skills and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0 students in the 3rd and 4th grades of two inclusive elementary schools.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consisted of 15 students(4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11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of the School A and B located in Seoul. The program, visiting two senior citizen’s centers located near to the School A, was carried out with 17 sessions on every Saturday. In this study, a pretest-posttest control-group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Prosocial behaviors, money management skills of all participating students, and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service learning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improvement in the prosocial behavior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in the prosocial behavior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Secondly,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improvement in the money management skill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in the money management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Lastly,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in their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 inclusive service-learning program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students" prosocial behaviors, money management skills,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지적장애를 가진 부모를 위한 자녀 양육지원 프로그램의 최선의 실제: 2000-2020년 선행연구 분석

        양여경(Yang, Yeo Kyung),박승희(Park, Seung Hee)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1 No.5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를 가진 부모’(이하 ’지적장애 부모‘)를 위한 자녀 양육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외 연구동향 및 프로그램 특성을 분석하고, 양질의 양육지원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을 위한 ‘최선의 실제’(best practices) 요소를 제시하는 것이다. 지적장애 부모를 위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지난 20년간(2000-2020년)의 국내외 선행연구 중 총 18편(국내4편, 국외14편)이 채택되어 전반적인 연구동향과 양육지원 프로그램의 특성이 분석되었으며 이를 통해 지적장애 부모의 자녀 양육지원 프로그램의 최선의 실제 요소 6가지가 다음과 같이 추출되었다: (1)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사회생태학적 요인의 반영; (2)개별가정의 맥락을 고려한 지원의 우선순위 판별; (3)지적장애 부모를 위한 사회적 지원의 중요성 반영; (4)개별가정 중심의 양육지원 프로그램의 실행; (5)효과적인 교수전략 및 자료의 선정 및 수정; (6)비공식적 지원 및 자연적 지원 활성화를 위한 주변인과의 협력. 본 연구결과로 판별된 최선의 실제 6가지 요소가 실행되는 맥락 조성에 기여할 지적장애 부모를 위한 양육지원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부모의 자녀양육 관련 긍정적 관심과 연구가 부족한 국내 상황에서 지난 20년간 국내외에서 출판된 양육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문헌연구를 기초로 최선의 실제 요소를 판별하였으며 지적장애 부모의 자녀 양육지원에서의 질적 향상과 후속연구 및 정책적 지원을 촉구하며 양육지원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of the articles on parenting support programs for the par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 and to identify the best practices for the parenting support programs. Through analyzing the eighteen studies selected based on the eligibility criteria published during the last 20 years(from 2000 to 2020), six factors of the best practices in parenting support programs for the parents with ID were derived as follows: (1)reflecting the various social-ecological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parenting; (2)identifying the priority of supports considering the individual family’s contextual fit; (3)reflecting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s for the parents with ID; (4)implementing the individual family-based support programs; (5)identifying and adaptation of the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materials; (6)collarboration with significant others for providing informal supports and natural supports. Based on these findings, future directions for promoting the parenting supports for the parents with ID were discussed. This study is the first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parenting support programs for the parents with ID and is significant in suggesting the six factors of the best practices and ways to promote the quality parenting supports for the parents with ID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