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권리에 대한 지각성 연구

        양심영 한국아동권리학회 2004 아동과 권리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아동, 부모, 교사의 아동의 권리에 대한 지각성을 살펴보고 둘째, 아동의 특성에 따른 인권지각성에의 영향력을 고찰하는 것이다. 인권지각성은 상황 인지적 지각, 결과예측의 감성적 지각, 책임 행동적 지각의 세 하위요소로 구성되며 인권과 관련된 갈등상황을 묘사하는 에피소드의 구성을 통하여 권리에 대한 지각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5,6학년 및 중학교 1,2,3학년의 아동, 아동의 학부모, 학교 및 시설교사이며 4개의 초등학교 및 4개의 중학교, 12개의 시설에서 표집하여 828명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인권지각성은 교사, 부모에 비해 아동이 가장 낮았으며 책임 행동지각성영역에서 특히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에피소드별 세 집단의 비교에서는 아동은 부모나 교사집단에 비해 사생활보호에 대한 인권주제에 더 민감히 지각하는 반면 성차별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지각하였다. 아동의 특성에 따른 지각성의 결과로서 남자아동보다 여자아동이 시설보호아동보다 일반가정의 아동이, 인권에 대한 사전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경험이 있는 아동이 권리에 대한 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This is a study of children, parent, and teachers' perception on the children's rights through episodes and the influence of children's background characteristics on the human right perception. Human right perception is composed of situational cognitive perception, emotional perception on the predicting results, actional perception of responsibility. The subjects were 828 4th through 9th grade children, parents, teachers.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 have lower level of human right perception than that of parents or teachers, especially in the area of actional perception of responsibility. The comparison of three group on episodes showed that children perceived more sensitively in the right of private protection than in the right of gender discrimination. There are significant influence of sex, residence type. previous experience of human right education on the human right perception; girls than boys, family residence children than institute residents, children having human right education than those of no educational experience, are higher level of the perception on the human rights(p<.01).

      • KCI등재

        가정위탁서비스의 보호형태별 특성과 위탁아동의 적용에 관한 요인

        양심영 대한가정학회 2003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1 No.5

        This study investigated family foster ca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ypes of foster parents-surrogate, kin, general parents and predicting factors of foster children's adjustabiltty to new environment. Participants were 618 cases of foster parents in 17 areas of the country through stratified sampling. It was found that the surrogate foster parent, tends to be older, received less education, has lower income, and is in poor health, ass opposed to kin parents or general foster parents.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foster parent's age, living arrangemetn, income, education, consideration of foster child, and the periods of foster care experience as well as child's sex, contact of biological parents on emotional, behavioral, and family relational adjustment of the foster children.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아동 정서지원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제공 경험

        양심영,양소남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1 학교사회복지 Vol.- No.56

        This study explores perceptions and service provision experiences of directors who dealt with emotional problem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s. Discussion is focused on how workers should provide emotional support for solving emotional problems of children. Qualitative methodologies were use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ight participants.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nd thematic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uncertainty in definition and category of emotional difficulties. Furthermore participants faced a various spectrum of emotional difficulties and experienced a dilemma, which caused by ambiguous intervention boundary. As for the results, the main themes of emotional support experience were analyzed into ‘ambiguity in emotional intervention of children’, ‘an approach to emotional needs(assessment of emotional needs and direct intervention among children, difficult partnership with parents, community resources network relied on individual competencies)’, and ‘resolve the gap between limitation of reality and systematic emotional suppor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ollowings are elements to effective emotional support in community child centers : clarification of concepts for the definition and categorization of emotional difficulties; building partnership with parents; development of system for networking community resources; and development of manuals for emotional problem solving and education and programs for workers. Based on the results, strategies were discussed in order to develop an integrated support service that could effectively help child’s emotional stability.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정서적 문제에 대처하는 종사자의 서비스 제공 경험을 탐색하고 아동의 정서적 문제해결을 위한 정서지원이 어떠한 방향으로 수행되어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반구조화된 심층면접을 사용하였으며 8명의 종사자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정서문제의 정의와 범주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종사자들은 다양한 스펙트럼의 정서문제와 마주하고 있었으며 불명확한 개입의 경계로 인해 딜레마를 경험하고 있었다. 정서지원 경험의 핵심주제는 아동 정서개입에 있어서의 모호성, 정서적 욕구에 대한 대응(아동의 정서적 욕구사정과 직접 개입, 쉽지 않은 부모와의 협력, 개인 역량에 의존하는 지역자원 연계), 현실적 제약과 체계적인 정서지원을 위한 간극 해소 방안으로 분석되었다. 효과적인 정서지원을 위해서는 정서문제의 정의와 범주화에 대한 명확화, 부모와의 협력관계형성, 자원연계를 위한 시스템 마련, 정서문제 해결을 위한 매뉴얼과 종사자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분석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정서적 안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통합적인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후보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서비스 이용 경험이 공동체의식에미치는 영향 :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양심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4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을 대상으로 서비스 이용경험-센터 교사와의 만족도 및 서비스 이용평가-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센터 서비스 이용경험과 공동체 의식간의 관계에서 학교적응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2기 패널 대상자 중 2017년 전국 중학교 1학년 청소년 438명을 표본으로하였다. 자료는 SPSS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 단계별 회귀분석 및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지역아동센터 청소년들은 센터 교사와의 만족도 및 서비스 이용평가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공동체 의식이 높았으며, 아울러 교사 만족도 및 서비스 이용평가는 학교적응을 통해 공동체 의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으로써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토대로 저소득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증진을 위해 청소년과 센터 교사 간 긴밀한 관계 유지, 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 지역아동센터와 학교체계 간 연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sense of community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center teacher and service use evaluation and mediating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involving sense of community, satisfaction with center teacher and service use evaluation among adolescents in community child center. Secondary data analysis from the 2nd Panel Survey on Service Satisfaction with Community Child Center was performed using data of 438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aged student in 2017.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Regression using SPSS 18 program 18.0. and Sobel test showed that the higher of satisfaction with center teacher and center service use evaluation influenced the more enhanced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adjustment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among them. Therefore, to promote low income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persist the sustainabl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center teacher and adolescents and to improve quality of service and to develop and apply the community action program connect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 and school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가족복지서비스의 통합적 실천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서비스 운영주체를 중심으로 based Integrative Practice for Family Social Work Service

        양심영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0 한국가족복지학 Vol.- No.6

        현존의 가족복지서비스는 포괄적인 가족복지 정책이 확립되지 않은 채 가족의 상호작용의 측면에 지나치게 역점이 두어져 사회복지 서비스의 측면에서 조명되지 못하여 왔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맥락하에 가족복지서비스의 실천적 개념화를 시도하고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그 현황과 방향을 모색하고자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연구에 근거하여 가족복지의 다원화된 환경은 공공부문, 민,공영부문, 민간부문의 세 서비스의 운영주체들로 구성되었고, 14명의 각 부문별 실천가들에게 질문지를 활용하여 심층적인 면접을 통한 질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천주체들의 경험은 사례내 분석과 사례간 분석을 통하여 운영부문에 따라 비교분석되었다. 가족복지서비스의 주요 내용들에 대한 유형별 내용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개입단위로서의 가족에 대한 접근은 운영주체들이 모두 공감하여 공공부문의 자활사업의 실효성, 복지관에서의 가족의 자원 활용성, 그리고 민간 전문치료기관에서의 가족통합적 모델의 효과성이 그 필요성으로 설명되었다; 2)기관의 가족 사업들의 측면에서 운영주체들이 최근 지역사회의 특성을 고려하는 실험적 프로그램들을 시도하고 있으나 가족의 요구를 반영하기에는 부족하였다; 3)가족 복지서비스연계에 대하여 각 운영주체들이 공통적으로 통합적인 인프라구축과 실천주체들간의 역할분담의 방안들을 시급히 요청하고 있었다; 4)가족복지서비스의 주도적 책임에 대하여 운영주체들은 상이한 입장을 보였다; 5)가족의 자생력에 대한 가치는 공공부문과 민간전문부문에서 다양한 반면 복지관의 사회복지사들은 관계형성에 의한 자생력의 고취를 강조하였다. 앞으로 실천현장에서의 운영주체간의 다양한 협동적 관계가 지역사회 대상가족들의 참여가운데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Not having been established the comprehensive family social welfare policy, contemporary family social service have overemphasized family interaction and rarely have been examined with respect to social welfare service. This study attempted to conceptualize family social work practice in the context of integra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and apply to family social service field in community. This study combined library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study: fourteen social workers of three family social service sectors--public sector, incorporated public and civil sector, civil sector--including multi-faceted welfare environment, have been interviewed by qualitative research investigation. Interviewees' contextual meaning of the field experience across three sectors has comparatively been understood by both within case analysis and cross case analysis.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through pattern-matching explanation follows as: 1) family as intervention unit was highly evaluated across all three sectors because of the social service effectiveness for public assistance, utilization of family resources in community centers, therapeutic contribution of whole family model; 2) family programs by both public and private local agencies have been applied experimentall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local areas but not enough various family needs; 3) connection between family service sectors was demanded through common integrated infra-structure and allocation of roles among service subjects; 4) initiative for actualization of family social service has been different view by subjects; 5) the value on empowerment toward family was various among subjects of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social workers in the community centers stressed revitalization by worker-client relationship. The collaboration among family service subjects should be a future task and the implementing process include participation of families within community.

      • KCI등재

        돌봄 사회서비스 분야 사회복지사의 역할 인식 연구

        양심영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how social workers perceive their roles according to the rapidly changing social service environment. To this end, we identified the difficulties social workers in the field of care social services are experiencing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ir roles and how they deal with them. Nine social workers in the field of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 data-driven approach among Boyatzis' thematic analysis methods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ocial workers experienced 'media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voucher service system' and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direct service provider and the user' as their roles. And for these interventions, they experienced the limitation of 'mobilizing various coping methods, but having difficulty raising their voices'. Lastl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ccepting that the role perceptions related to social services were positive or negative, as 'each one's sh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ystemic supplementation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social services, the necessity of granting authority and principles for social workers to perform the role of 'mediator', and the need for support measures for performing multiple role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서비스 환경에 따라 사회복지사들이 자신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돌봄 사회서비스 분야 사회복지사들이 역할 수행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이러한 어려움에 대한 개인적 대처방식과 함께 제도적 지원의 필요에 대해 함께 검토하였다. 연구에는 노인, 장애인, 아동 대상 사회서비스 분야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 9명이 참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Boyatzis의 주제분석 방법 중 자료 중심 접근법(data-driven approach)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사들은 ‘바우처 서비스 제도의 구조적 한계에 따른 중재’, ‘직접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의 입장 차이에 따른 중재’를 자신의 역할로 경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중재를 위해 ‘다양한 대처 방법을 동원하지만 목소리를 내기 어려움’이라는 한계를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참여자들은 사회서비스와 관련한 역할 인식이 긍정적이든 혹은 부정적이든 그것을 ‘각자의 몫’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반적인 사회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한 제도적 보완과 사회복지사들의 ‘중재자’ 역할 수행에 대한 원칙과 권위 부여의 필요성, 다중역할 수행에 따른 지원방안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