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한지역 출토 고구려 토기의 현황과 특징

        양시은 ( Si Eun Yang ) 호남고고학회 2014 湖南考古學報 Vol.46 No.-

        남한 내 고구려 토기는 역사적인 정황상 475년부터 551년이라는 확정된 시간 폭을 가진 한강 유역 출토품을 기준으로 비교 편년이 가능하며, 기존 연구 성과를 토대로 몽촌토성 출토품은 5세기 중후반에, 아차산 보루군 출토품은 6세기 전반대로 구분할 수 있다. 한강 이남의 경기 및 충청 지역에서 출토되는 고구려 토기에서는 타날 흔적과 함께 파상문, 점열문 등이 시문되는 경우가 많아, 무문양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아차산 보루군 출토 토기와는 차이를 보인다. 475년 한성 함락 이후라는 역사적인 상황을 고려한다면, 한강 이남의 고구려 토기는 5세기 중후반대에 제작된 것으로 판단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는 임진강·한탄강 유역의 고구려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에서도 관찰된다. 이 밖에도 본고에서는 남한 지역의 고구려 유적, 특히 고분과 생활유적에서 주로 확인되는, 타날 기법이 적용된 토기는 고구려의 남진 과정에서 舊 백제 공인이 일정부분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한편, 홍련봉 2보루에서는 520년으로 비정되는 ‘庚子’년명 토기가 출토되어, 아차산 보루군이 6세기대 전반에는 조영되어 있었음은 분명하다. 아차산 보루군 출토품과 유사한 특징의 토기는 양주 일대와 임진강 유역의 석축 성벽 단계의 유구에서도 발견되는데, 여기서 출토되는 토기는 문양이 시문되지 않았고, 타날 기법도 확인되지 않는다. 또 구연이 외반하는 호, 옹, 동이 등의 기종은 끝을 말아 접어 마무리하는 D형 구연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5세기대 토기와는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남한 지역에서 출토된 고구려 토기는 제작기법 및 형태적인 특징에 따라 6세기를 기준으로 그 이전과 이후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Koguryo pottery in South Korea. In 5th century, Koguryo moved southern Korea and then left many remains and relics before the collapse. After dominating Hanseong(漢城) at 475, Koguryo had built a command center to move southward in Mongchon earthen wall. And then Koguryo advanced to the Geum River basin. In this regard, fortresses which are barricaded by the wooden fence and tombs which are independently located on the traffic route are left in the late 5th century. Koguryo pottery of that sites show the surface decoration of dot-rows(點列) or wave lines(波狀) and the traces of tanal(paddling, 打捺). In 6th century, Koguryo receded from the Geum River basin to the Han River basin due to Baekje(百濟)`s power expansion. That time, Koguryo fortresses of Acha mountain, Yangju and Imjin basin had built by the stone wall. Koguryo pottery of that sites don`t show the traces of tanal and any decoration except the brush marks(暗文).

      • KCI등재후보

        고구려의 한강유역 지배방식에 대한 검토

        양시은(Yang, Si Eun) 중부고고학회 2010 고고학 Vol.9 No.1

        475년 고구려는 당시 백제의 도성이었던 한성을 점령하고 이후 남진히여 금강유역까지 진출하였다. 551년 신라와 백제의 연합군이 북상하지 고구려는 한강 유역에서 후퇴하였다. 고구려가 한강 이남으로의 남진 한시기 내지는 점유 방식 등과 관련하여 학계에서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고 있다 그렇지만 최근 한강 이남지역에서 고구려 고분과 생활 유구 등 여러 고구려 유적들이 조사되기 시작하면서. 475년부터 551년까지 약80년간 고구려는 한강 유역을 거의 줄곧 점유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고구려는 풍납도성을 점령한 뒤 몽촌토성에 남진을 위한 사령부를 축조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몽촌토성에서 출토되는 유물은 한강 이북의 아차산 보루군에서 출토되는 것들보다 시기기 이 른 5세기 중후반에 해당된다. 또한 몽촌토성 내에서 확인되는 유구의 축조 방식이나 고구려 고분에서 주로 확인되는 의례용 용기인사이장경웅의 출토, 과거 백제의 도성이었다는 점 등은 몽촌토성이 고구려 군의 남진사령부로서의 기능하였을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또한 최근 판교, 용인, 정계, 충주 등 한강 이남에서 확인되고 있는 5세기 중후반대 고구려 고분군들은 고구려기 당시 한강 유역을 인정적으로 점유하였을 뿐만 아니라, 영역 지배를 실시하고 있었음을 보여줄 수 있는 증거가 될 수 있다. 다만 금강 유역의 경우에는 유적 분포 양상과 역사적인 상황들을 감안해볼 때 영역지배보다는 거점지점 외 같은 군사적 점유의 성격이 보다 강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6세기가 되면 백제의 세력 확장으로 인해 남쪽 전선이 불안정해지면서 몽촌토성 내 고구려 유적의 기능이 상실되게 되고 이후에는 아차산 보루군이 한강 유역 지배와 관련된 중심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아차산 보루군은 아치산, 용마산, 망우산, 시루봉 등의 각 봉우리에 성을 축조하여 보루기 여러 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들 보루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아차산 보루군 자체기 마치 하나의 중대형 성처럼 운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이차신 보루군의 중심은 기외 건물지기 축조된 홍련몽 1보루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아차산 4보루에서 출토된 명문도기 등 주변 유적에서 확인된 여러 유물들은 이러한 기능성율 높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고구려는 475년부터 551년까지 한강유역을 안정적으로 점유 및 지배 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며. 5세기 중엽에는 몽촌토성을 중심으로 한강유역 전역을, 6세기에는 아차산 보루군 자체기 중심이 되어 한강 이북을 경영하였을 것으로 파악된다. In 475 CE, Goguryeo (Koguryo) dominated Hanseong, the capital of the Baekje kingdom, moved southward and then advanced to the Geum River basin. In 551 CE, as the allied powers of Silla and Baekje moved northward, Goguryeo retreated from the Han River basin. Within academic circles, there exists much debate regarding Goguryeo's southward expansion south of Han River with regards to the way it dominated the region. However, as various Goguryeo remains have recently begun to be investig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Han River region, including tombs and household architectural remains, it can be assumed that Goguryeo continued to dominate the Han River basin for about 80 years from 475 to 551 CE. Upon dominating the Hanseong region, Goguryo built a command center for southward expansion at Mongchonroseong (earthen wall fortress), Relics excavated from Mongchontoseong date back to the mid to late 5th century CE which is earlier than those found in the fortresses of Mt, Acha,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Han River region. The building construction mechanism identified at Mongchon toseong and the fact that a large jar with flared mouth - a container for rituals often found in tombs - was excavated illustrate that Mongchontoseong served as a command center for the Gogureyo military in its southward campaign. In addition, Goguryeo tombs of the mid to late 5th century identifi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Han River region, including Pangyo, Yongin, Cheonggye and Chungju, indicate that Gogureyco not only dominated the Han River area in a stable manner but also dominated the wider region. However,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relics and the historic circumstances of the Geum River, it is likely that this dominance was more in the form of military dominance, such as foothold dominance, rather than regional dominance. Meanwhile, in the 6th century, due to the unstable situation in the southem area following Raekje's power expansion, the Goguryeo site at Mongchontoseong ceased to function and the fortresses or Mt. Acha, instead, played a pivotal role in dominating the Han River region. The Mt. Acha fortresses consist of various fortresses built on each mountain peak (i.e, Mt, Acha, Yongma, Mangu and Siru), However, these fortresses were organically interlinked, so the fortresses of Mt Acha may have served as a single mid-scale castle, whose center is assumed to have been Hongreonbong Fort No.1. In conclusion, Goguyeo is likely to have dominated and ruled the Han River region in a stable manner from 475 to 551 CE. In the mid 5th century, Goguryeo is judged to have ruled the whole Han River region with Mongchoruoscong at its center, and to have ruled the northern part of the Han River with the fortresses of Mt, Acha at its center in the 6th century.

      • 전자부품의 기밀성 분석을 통한 에폭시 몰딩 개발

        양시은(Si-Eun Yang),반창우(Chang-Woo Ban),장동영(Dong-Young Jang),홍석기(Seok-kee Hong) 한국생산제조학회 2010 한국생산제조시스템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10

        In this paper, the hermetic packaging which has a huge share in packaging process cost has been defined by confidentiality, and the confidentiality of sealing using epoxy has been compared. The reliability depending on the humidity of electronic component has been stipulated as the confidentiality of the package, and the sealing process has been analyzed by the leak rate absorbed from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The leak sensitivity of epoxy sealing measurement method using humidity sensor is proposed, by which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leak rate of the product in the development stage. In addition the decision on epoxy sealing packaging method is became possible.

      • KCI등재

        고려시대 전기 서북한지역의 관방체계

        양시은 ( Yang Si-eun ) 한국중세사학회 2021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64

        This paper examines the distribution status of Goryeo fortresses in the northwestern region and the changes in the military defense system from regional base defense to a defense using the great walls installed along the border. Goryeo established an administrative unit for securing military strongholds and local governance by expanding the territory of the North and establishing the Ju-Jin(州鎭) fortresses. The defense strategy of Goryeo, based on the records of invasion of the Khitan, was basically the defense of the stronghold of the region, which was built on major traffic routes to the capital, Gaegyeong(開京). Since Koguryo had already pioneered that routes, many of the Goryeo fortresses, except around the Yalu River, were renovated and used. Although the mountain fortress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defend itself, Khitan was able to advance to the capital without occupying the fortress. The three invasions of Khitan eventually ended with a great victory of the Goryeo army, led by Kang Gam-Chan, but it was an opportunity to awaken the importance of the border. So, Goryeo built a great wall from the Yalu River in the west to Jungpyong-gun in the east in order to strengthen the border and prevent the invasion of enemies. With the construction of a great wall, the defense system in the northern territory has been changed from the regional stronghold defense to the borderline defense using the walls.

      • KCI등재

        남한에서 확인되는 고구려의 시 · 공간적 정체성

        양시은(Yang, Si Eun) 중부고고학회 2011 고고학 Vol.10 No.2

        고구려는 5세기를 전후한 시점에 남한 지역으로 진출하기 시작하여 멸망하기 전까지 많은 유적과 유물을 남겼다. 475년 백제의 한성 접령을 계기로 본격화 되는 고구려의 남진은 몽촌토성을 기점으로 남쪽으로는 금강 유역까지 영역을 확장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관련된 유적으로는 금강 유역의 목책 방어 단계의 관방 유적과 한강에서 금강 사이의 육상 교통로를 따라 소규모로 존재하고 있는 고구려 석실분을 들 수 있다. 이틀 유적에서 출토된 고구려 토기는 점열문, 파상문 등과 같은 문양이 시문되어 있거나 표면에 타날 흔적이 남아있는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이 시기에는 강원도 일대에서도 고분을 중심으로 고구려 유적이 일부 발견되었으나, 성곽 유적은 확인되지 않았다. 6세기에 들어 백제의 세력이 재정비되자 고구려는 금강 유역에서 한강 유역으로 후퇴하게 되는데, 한강 북안의 아차산 보루군은 이제 목책에서 석축 성벽으로 방어 체계를 전환하게 된다. 많은 보루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아차산 보루군은 단순한 감시 기능을 담당하는 보루들의 집합군이라기 보다는 행정 및 군사를 모두 담당할 수 있는 일종의 대형 성곽으로써 기능했을 가능성이 높다. 551년 백제와 신라 연합군에 의해 한강 유역을 상실한 고구려는 임진 한탄강을 최종 방어선으로 삼게 되는데, 해당 시기에는 임진강 유역의 관방유적 또한 아차산 보루문과 마찬가지로 이미 묵책에서 여축 성벽 단계로 전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암진강 유역에서는 외당을 갖춘 기와 건물지가 들어선 호로고루가 가장 중심이 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고구려의 남진은 백제와 신라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특히 백제 지역에서는 고구려계 토기가 제작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그 중에서도 사비기 고구려계 백제 토기는 제작 시점이 6세기임에도 불구하고 5세기대 고구려 토기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는 정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In 5th century, Koguryo(Goguryo, 高句麗) moved southern Korea and then left many remains and relics before the collapse. After dominating Hanseong(漢城) at 475, Koguryo had built a command oenter to move southward in Mongchon toseonglearthenwall), And then Koguryo advanced to the Geum River basin. In this regard, fortresses which are banicaded by the wooden fenoe and tombs which are independently located on the traffic route are left in the late 5th century. Koguryo pottery of that sites show the surface decoration of dot-rows(點列) or wave lines(波狀) and the traoes of tanal(padd!ing, 打撿). In 6th century, Koguryo receded from the Geum River basin to the Han River basin due to Baekje(百濟)' s power expansion. That time, Koguryo fortresses of Acha mountain was switched the defense system from the wooden fenoe(木珊) to the stone wall(石築城壁). These fortresses were organically interlinked, so fortresses in Acha mountain itself probably served as a single mid-scale castle, whose administrative center is assumed to have been Hongreonbong Fort No.1. In 551, as the allied powers of Si!la(新羅) and Baekje moved northward, Koguryo receded the lnljin and Hantan River basin. That time, Koguryo fortresses of lnljin River basin was also switched the defense system from the wooden fenoe to the stone wall. That area' s center is assumed to have been Horogoru fortress which was built the tile-roofed house. Meanwhile, Koguryo' s southward advance had many influences to Baekje. Koguryo styled pottery had been made. Characteristics of Koguryo pottery continued throughout the Sabi period and became new styled pottery, so called "Sabi Style Pottery" , distinct from the typical Baekje pottery.

      • KCI등재
      • KCI등재

        고구려 성의 기원에 대한 일고찰

        양시은(YANG, Si-eun) 고구려발해학회 2013 고구려발해연구 Vol.47 No.-

        고구려는 산이 많고 계곡이 깊은 지형의 특성을 최대한 이용하여 산성을 중심으로 방어 체계를 구축하는 동시에 官司가 설치된 중대형 포곡식산성을 기반으로 지방을 통치하는 독특한 체제를 운용하였다. 이는 秦·漢代 이후 판축공법을 이용한 평지 토성을 중심으로 중앙집권적인 郡縣제도를 운용했던 중국의 고대 중원 왕조와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고구려만의 독특한 방식이다. 고구려는 초기 도읍지인 桓仁지역 외곽의 新賓과 通化지역 등에서 일찍부터 漢의 평지 토성을 접했음에도 불구하고 주변 국가들과는 달리 험준한 산 정상부에 석성을 축조하였다. 기존의 연구는 고구려성을 遼西나 吉林지역의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 취락 방어 유적과 연결시키려는 경향이 강하였다. 그러나 시간적인 괴리가 크고 직접적으로 연결시켜 볼 근거도 없기 때문에, 이러한 문화계통론적인 접근으로는 고구려 성의 등장 배경을 설명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고구려가 발원한 渾江 및 鴨綠江 중류 지역이 대부분 산악지대로 이루어졌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국가성립기 고구려는 漢과의 전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평지 토성이 아닌 방어가 보다 용이한 산성을 축조하였다. 이른 시기의 고구려 산성은 대체로 암벽으로 이루어진 산 정상부 위에 입지하고 있었는데, 이 경우 주변에서 가장 쉽게 구할 수 있는 축성 재료가 돌이다. 따라서 고구려에서는 일찍부터 평지 토성이 아닌 석축 산성이 등장하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aims to clarify the origin of Koguryo fortress. Koguryo developed unique defense systems. Above all, Koguryo was a country of depe valleys and highly mountainous landscapes. Accordingly, mountain fortresses constructed by making the best use of such topographical features played a central role in Koguryo defense systems. In addition, mid- to large-sized mountain fortresses encircling a valley were built for administrative purposes in local areas. These defense systems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Gun-hyeon(郡縣) commandery systems in the ancient China. Under the Gun-hyeon systems earthen-walled fortresses built by piling up clay on the plain ground were used as an administrative center since the Jin(秦) and Han(漢) dynasties. Koguryo people were aware that earthen-walled fortresses were built on the plain ground in the Han dynasty, through their exposure to earthen-walled fortresses in such regions as Xinjin(新賓) and Tonghua(通化) near Hengren(桓仁) County or the first capital of Koguryo. Differently from them, however, Koguryo people built stone fortresses on the top of a steep mountain. In previous studies, Koguryo fortresses were often thought to have originated from prehistoric fortified settlements in Liaoxi(遼西) or Jilin(吉林). This view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supported by any concrete evidence, and that there is a great temporal gap between Koguryo fortresses and those prehistoric fortified settlements. To explain the emergence of Koguryo fortresses, instead,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middle reaches of the Hun(渾江) and Amnok(鴨綠江) Rivers are mountainous areas. When Koguryo first emerged as a state, Koguryo was not strong enough to defend itself from the Han dynasty. It would be to overcome this weakness that Koguryo people built mountain fortresses which were more effective for defense than earthen-walled fortresses on the plain ground. By extension, mountain fortresses built with stones seem to have emerged early in time because stones were the most common raw materials that could b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a fortress on the top of a steep mountain.

      • KCI등재

        일제강점기 고구려 발해 유적조사와 그 의미

        양시은(YANG Si-eun) 고구려발해학회 2010 고구려발해연구 Vol.38 No.-

        일제강점기에 만주를 포함한 한반도에서는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해 수많은 고고학 조사가 행해졌다. 고구려와 발해 유적 조사 또한 조선인 연구자들이 배제된 채, 일본 연구자들에 의해 독점되었다. 고구려 유적들은 일본의 한반도 진출과 관련하여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고구려 벽화분을 중심으로, 일부 대형 적석총과 도성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실시된 고적조사는 일반적으로 박물관협의회에 고적위원회가 설치되어 「古蹟 및 遺物保存規則」이 공포된 1916년과 조선고적연구회가 설치된 1931년을 기준으로, 1916년 이전을 고적조사 1기, 1916-1930년까지를 고적조사 2기, 그리고 1931년부터 해방까지를 고적조사 3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발해는 고분 중심의 고구려와는 달리 도성 유적을 중심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고구려 유적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가 시작된 것과는 달리, 발해 유적에 대한 조사는 1932년 만주국이 성립된 이후에서야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는데, 그 이전에는 白鳥庫吉, 鳥山喜一, 鳥居龍藏 등과 같은 일본 관학자들에 의한 답사를 통한 연구만이 진행되었을 뿐이다.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된 당시의 고구려와 발해에 대한 유적 조사는 순수한 학술적인 목적이라기 보다는 일본 정부의 정치적 목적에 부합하여 이루어졌다. 고구려의 경우 중요 유물 수습 및 벽화 고분 발견이 중시되었으며, 대체로 단기간에 이루어진 조사가 대부분이었다. 발해 역시 도성의 성격 규명을 위한 것이라고는 하지만 대대적인 조사라기보다는 간략한 시굴조사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발해 유적에 비해 월등히 많은 유적이 발굴 조사된 고구려의 경우에도 조사된 유적 수에 비해 제대로 된 보고서는 거의 없었는데, 그나마도 소략한 내용과 함께 도면과 사진만을 일부 제시하고 마무리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다만, 일부 보고서의 경우 국제사회의 홍보를 위한 정치적 목적에 따라 자세한 영문 요약문이 첨부된 것도 있어 기존의 보고서들과 비교되는 것들도 눈에 띈다. 한편, 서울대학교 박물관에는 많은 수의 고구려와 발해 유물이 소장되어있는데, 그 중 일부는 경성제국대학 시절 경성제국대학의 교수들에 의해 수집된 것들이다. 이번 논문에서는 이들 자료에 대한 정확한 출처를 밝힐 수 있었는데, 이후 관련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서울대학교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일제강점기에 수집된 고구려와 발해 유물은 당시 일본 연구자들 특히 경성제국대학연구자들의 고구려 및 발해 유적조사 현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 study on the research of Koguryo(高句麗) and Balhae(渤海) sites was made a monopoly by Japanese researcher. At that time, Koguryo was recognized as belonging to the both Joseon and Manchulia history, but Balhae was often recognized as belonging to Manchulia history. We classify 3 research stages about Koguryo investigations. That stages is devided by Sekino Tadashi(關野貞) team(~1915), the committee for Korean history(1916~1930), the Joseon Historical Spot Research Institute and the Manchu State(1931~1945). And then, we classify 2 research stages about Balhae investigations by establishment of Manchu State(before and after). Most of the Koguryo investigations were executed to find precious artifacts and mural paintings in the short period, and Most of the Balhae investigations were executed to made a clear to the capital city. But we can find many serious problems in most reports. So, we can conclude the research of Koguryo and Balhae sites done by Japanese government were executed as verification for contriving colonial historiography or political situation. Especially, I introduced Koguryo & Balhae collection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in this paper. That collections was collected and donated by the professor of Keijo Imperial University(京城帝國大學)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at data is able to be help to examine thoroughly situations of the research of Koguryo and Balhae sites.

      • KCI등재

        최근 북한 고고학계의 고구려 연구 동향

        양시은(Yang, Si-Eun) 고구려발해학회 2016 고구려발해연구 Vol.56 No.-

        본 연구는 2000년도 이후 『조선고고연구』에 수록된 논문과 발굴보고 등을 검토하여 최근 북한 고고학계의 고구려 고고학 연구 동향을 파악해본 것이다. 2000년 1호부터 2016년 2호까지의 『조선고고연구』에는 고구려 관련 원고가 전체의 30%(869편 중 258편)에 달하고 있어 북한 고고학계에서 고구려 고고학이 차지하는 비중을 짐작할 수 있다. 남한의 고고 자료나 참고문헌이 소개된 원고는 모두 28편인데, 주로 2000년대 후반에 해당한다. 다만 참고문헌이 매우 한정적인 현상은 입수 경로와 관련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저자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적어도 78명 이상의 북한 연구자가 고구려 고고학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부적인 내용으로는 적석총, 벽화, 피장자 문제 등을 포함한 고구려 고분 분야가 41.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방어체계와 도성 분야를 포함한 성곽 관련 논문이 20.2%, 기와나 무기, 마구, 토기 등과 같은 유물 관련 논문이 16.7%, 다른 국가나 후대 문화와의 관련성을 다룬 교류 주제의 논문이 10.9%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근래 북한 고고학계에서 가장 큰 관심을 두고 있는 분야는 고구려 고분임을 시사한다. 고분과 관련한 최근의 주요 연구 성과는 태성리 3호분을 미천왕릉으로 비정한 것과 옥도리 벽화분과 송죽리 벽화분을 각각 황룡산성과 대현산성의 성주의 무덤으로 파악한 것 등이 있다. 그 외 4세기 이전 시기에 해당하는 고구려 고분이 평양에 존재한다는 여러 연구가 있는데, 이는 일제강점기에 보고된 평양 지역의 낙랑 고분(목곽묘, 전실분 등)과 정면으로 배치된다는 점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한편, 성곽에 대해서는 평양 일대의 고구려 성곽 유적 아래에서 고조선 시기의 토축 성벽이 발견되었다는 여러 보고가 있는데, 고고학적인 근거가 분명하게 제시되지 않아 문제가 있다. 또 장수산성을 남평양으로 비정하는 연구도 꾸준히 계속되고 있으며,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남한의 고구려 성과성 유적에서 출토된 기와나 토기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있다. 이상에서 검토한 북한 고고학계에서의 고구려 연구의 특징은, 첫 번째로 기존에 공식적으로 발표된 주장에 대한 내부의 반박 논쟁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는 점, 두 번째로는 주체적 입장에서 벗어나는 고고학적인 사고가 용인되지 않는다는 점, 세 번째로 한민족의 우수성과 단일성을 강조하는 민족주의가 지나치게 강조되고 있다는 점, 네 번째로는 평양 지역을 중심으로 고조선에서 고구려로 이어지는 자체적인 문화발전을 강조한다는 점 등을 꼽을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a review on the recent trend of studies of Koguryo in North Korea by Chosun Archaeology Studies(朝鮮考古硏究). The proportion of Koguryo areas in the North Korean archaeology communiti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by results on analysis of Chosun Archaeology Studies, which is the journal by Institute of Archaeology in North Korea Social Sciences Academy, from 2000 to 2016. And it was confirmed that at least 78 researcher engaged in archaeological field of Koguryo. With respect to the expertise of articles, the Goguryeo tombs were found to occupy the largest proportion, and fortress, artifacts and cultural relationship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oo. Also the Koguryo articles cited the South Korean archaeological data or bibliography were found to be mainly concentrated in the late 2000s. And many articles based on the Juche ideology appear to propose unreasonable interpretations in Koguryo archaeology, so the interpretations of some critical issues diverged from those of South Korean or another country Researcher. It is highly possible that such differences in the historical perspectiv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researcher might cause an serious obstacle to examine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promote the various academic exchange programs including a joint research, excavation, and so on.

      • KCI등재

        몽골지역 흉노시대 분묘 연구

        양시은(Yang, Si-Eun),G 에렉젠(Eregzen Gelegdoli) 중앙문화재연구원 2017 중앙고고연구 Vol.0 No.22

        본 논문에서는 2(X)(년 이후 집중적인 조사가 이루어진 봉콜지역 흉노시대 분묘에 대한조사 현황을살펴보고 흉노무덩의구조와편년을비롯한분묘관련연구성과를검토하였다. 봉콜 전역에서는 대략 기원전 1세기 전 중반부터 기원후 1세기에 해당하는 적석목곽이 기본 구조인흉노무덩이 발견된다 각무덩군간의거리가상당하지만,봉골전역의흉노무덩은지상에노출된 외부 형태와 지하의 매장주체부 구조가 거의 유사하다 대형 흉노무덩의 경우 칠마차 칠목관과 급은제 목관 장식, 비 단을 비 롯한 각종 직물, 급은제 장신구, 동복과 각종 청동 용기, 동경, 급은제 pj- 규 장식을 비롯한여러 벌의 마구류, 각종 생활용기(대형 용, 호, 동잔, 성발) 풍 부장유울에서 거의 통일한 구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소형 흉노 무덩 역시 대형 무덩에 비해 소략하기는 하기만 각종 장신구 마구 토기(심발 호) 동 일관된 부장 양상이 확인된다 봉골 전역에 걸쳐 흉노시대 분묘의 구조와부장품의 구성이 동일하다는 점은 당시 무덩의 조성에 중앙의 강력한통제가있었음을시사한다 흉노 무덩은 외부 적석 구조에 따라 원형(고리형)과 방형으로 나면다 원형은 묘도가 없는데 비해, 방형은 일부 유적을 제외한 대부분의 무덩에서 묘도를 갖추고 있다 초대형을 제외한 대부분의 흉노무덩에서는 별도의 봉분을 확인할 수 없는 반면, 대형 또는초대형 무덩은 ‘뀐자형의 테두리를 띠라석축벽이부가되어약간의 봉분구조를갖추고있다 매장주체부는목관이나목곽의사용。1 일반적인데 2중목곽은 대형의 ‘뀐’자형 평연 구조를 갖춘 흉노 무덩에서 주로 확인된다 특히 배장묘 를 갖춘 2중목곽의 초대형 무덩은 규모 부장품의 동급과수량 변에서도 다른무덩과는 뚜렷한 써를보이고있는 바 최고계층의묘제로사용되었을것으로추정된다 This paper reviews the recent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on Xiongnu tombs in Mongolia that took place since 2000, and examines the research on the structure and chronology ofXiongno tombs. In the 21th century, manyXiongnu tombs, dated from 1st century BCE to 1st century CE, were discovered and excavated in Mongolia. Despite the considerable distance between the burial groups, the Xiongnu tombs throughout Mongolia are similar in the appearance on the ground and the internal structures. In case oflarge Xiongnu tombs, coffìn walls were covered with felt rug or silk, and decorated with gold or silver ornaments. Inside or outside the coffìn, ritual grave goods of similar composition are found that include animal bones, pottery, ornaments, horse equipment, bronze mirrors, lacquer wares, bronze cooking pots, jade decorations and various weapons. The small Xiongnu tombs are also relativε, ly simple compared to large tombs, but various grave goods such as jewelry, harnesses, and earthenware can be found. The fact that the tomb structure and the composition of grave goods are the same throughout Mongolia indicates a strong central control of the tomb composition during the Xiongnu era Most Xiongnu tombs have two types of surface stone structure: square and roughly circular. The circ ar tombs do not have dromos, whereas the square tombs mostly have a long rectangular dromos or entry chamber on the south side. In most of the Xiongnu tombs the mound cannot be identifìed, but large or extra-large tombs have a mound structure with a stone wall along the outline. Inside the large tomb there is usually a single or a double (exterior and interior) wooden chamber holding the coffìn at the bottom of a burial pit. In particular, extra-large tombs with -shaped outline, which have many satellite burials near the main tomb, are remarkably different in size of structure and quantity of grave goods from the others. Such tombs are thought to have belonged t。e aristocratic cl잉s of the Xiongn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