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동성과 대학생의 문제음주 간의 관계에서 음주거부효능감의 매개효과

        양승애,서경현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ity and problematic drinking of college students,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The participants were 297 (149 males and 148 females) college students, and their average of ages was 21.72.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Eysenck Personality Scale, Conners Adult ADHD Scale, Korean Vers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Questionnaire-Revised, and AUDIT. Results indicated that impuls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blematic drinking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blematic drinking.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reveled that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in social situation accounted the most variance of problematic drinking, it accounted approximately 25% of problematic drinking. It was found that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was totally mediating on difficulty of impulsivity control and problematic drinking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identified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ity and problematic drinking, and discussed the role of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본 연구에서는 충동성과 대학생의 문제음주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 관계에서 음주거부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남녀 대학생 297명(남: 149, 여: 148)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1.72세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아이젱크성격검사, Conners 성인ADHD 평정척도,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척도, 개정판 음주거부자기효능감 질문지, AUDIT이다. 분석 결과, 충동성은 대학생의 문제음주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음주거부효능감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음주거부효능감은 대학생의 문제음주와 부적상관이 있었다. 단계적 회귀분석에서는 사회적 상황에서 음주의 변량을 약 25% 정도 설명하고 있었다. 한편, 음주거부효능감은 충동통제 곤란과 문제음주 간의 관계를 완전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성격 차원에서의 충동성과 문제음주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그 관계에서의 음주거부효능감의 역할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인 요인분석

        양승애 한국융합학회 2015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6 No.4

        본 연구는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90명이였으며 측정 도구는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 임종간호 태도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 임종간호 태도정도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임종간호 태도는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죽음 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 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임종간호 태도의 32.7%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제적인 임종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on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 Methods: A sample of convenience of 190 nurses. Instrument included perception of death, death anxiety, terminal care stress, death attitude, burnout, terminal care attitude. Result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terminal care attitude, perception of death, terminal care stress. In addition,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terminal care attitude, death anxiety, death attitude, burnout. Perception of death, death anxiety, terminal care stress & death attitude were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s. This variables accounted for 32.7% of the variance in terminal care attitud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can be us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Terminal Care.

      • KCI등재

        부모의 거부적 양육과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양승애,서경현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8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 of rejective parenting to dating violence of college students,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The participants were 296 (144 males and 152 females) college students, whose ages ranged from 18 to 45.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who both inflicting and receiving dating violence revealed higher level of perceived rejective parenting than students who had not have inflicted and received dating violence. Students who both inflicting and receiving dating violence or inflicting only showed higher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than students who had not have inflicted and received dating violence. Rejective parenting and rejection sensitiv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inflicting and receiving dating violence. It was found that rejection sensitivity was partially mediating on the relations of rejective parenting to inflicting dating violence of college students. Results of this study reiterates influences of negative parenting in children’s dating relationships, and suggests the role of rejection anxiety in those relationships. 본 연구는 거부적 부모양육과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남녀 대학생 296명(남: 144, 여: 152)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만 18세에서 45세 사이였다. 분석 결과, 데이트 폭력 가해와 피해 경험 모두 있는 대학생이 가해나 피해 경험이 없는 대학생보다 지각된 거부적 부모양육 수준이 높았고, 데이트 폭력 가해와 피해 경험 모두 있거나 가해 경험만 있는 대학생의 거부민감성 수준이 데이트 폭력 경험이 없는 대학생보다 높았다. 부모의 거부적 양육과 거부민감성이 데이트 폭력 가해 및 피해와 정적상관을 보였다. 거부민감성이 거부적 부모양육과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가해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자녀의 데이트 관계에서의 부정적인 부모양육의 영향을 재확인하고, 그 관계에서의 거부민감성의 역할을 보여준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중 언어폭력경험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계연구

        양승애,Yang, Seung Ae 한국사물인터넷학회 2021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Vol.7 No.2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중 경험하는 언어폭력, 감정반응,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4년제 간호대학 4학년에 재학중인 간호대학생 106명이였으며 측정 도구는 언어폭력, 감정반응,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스트레스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언어폭력, 감정반응,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스트레스 정도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언어폭력, 감정반응,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임상실습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언어폭력, 감정반응과 유의한 정적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683, r=.573).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언어폭력(𝛽=.487), 감정반응(𝛽=.240)순으로 임상실습스트레스의 49%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들이 임상실습중 언어폭력에 대처하고 임상실습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전략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verbal abuse, emotional response, nursing professionalism, clinical practice stress during clinical practicim of nursing students. Methods: A sample of convenience was 106 nursing students, and a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their verbal abuse, emotional response, nursing professionalism, clinical practice stres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verbal abuse, emotional response, clinical practice stress(r=.683, r=.573). Grade of which the participant was in, verbal abuse(𝛽=.487), emotional response(𝛽=.240) were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s of which accounted for 49% of the variance in clinical practice stress. Conclusion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to cope with verbal abuse and to manage stress under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집착 성향과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 경계선 성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양승애,서경현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10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 of clingingness to dating violence of college students,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borderline personality on those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were 290 (150 male and 140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ages ranged from 18 to 25. Results indicated that females reported more higher rate of inflicting dating violence and lower rate of receiving dating violence than males did. And they showed more higher level of clingingness and borderline personality than males did. Clingingness and borderline personality were closely correlated each other, and those variables had positively correlated. Students who inflicting and not receiving dating violence revealed higher level of clingingness and borderline personality than students who had not have inflicted and received dating violence. It was found that borderline personality was fully mediating on the relations of clingingness to dating violence of college students.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previous studies and Dutton’s concept of anxious attachment. 본 연구는 집착 성향과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 관계에서 경계선 성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남녀 대학생 290명(남: 150, 여: 140)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만 18세에서 25세 사이였다. 분석 결과,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신체적 데이트 폭력 가해경험이 많고 피해경험은 적게 보고되었다.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집착 성향과 경계선 성격 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집착과 경계선 성격이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두 변인이 데이트 폭력 가해와 정적상관을 보였다. 데이트 폭력 가해만을 행했던 대학생이 데이트 폭력 가해나 피해 경험이 전혀 없는 대학생보다 높은 집착 성향과 경계선 성격 수준을 보였다. 경계선 성격은 집착 성향과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가해 간의 관계를 완전하게 매개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와 불안애착에 대한 Dutton의 개념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인 요인분석

        양승애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4

        본 연구는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간호대학 에 다니고 있는 학생 147명이였으며 측정 도구는 죽음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임종간호 태도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죽음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임종간호 태도 정도는 기 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임종간호 태도는 죽음 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 불안(β=-.392), 자아존중감(β=.179), 죽음 학습경험(β =-.227)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임종간호 태도의 18.7%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제적인 임종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on nursing students’ end-of-life care attitude. Methods: A sample of convenience of 147 nursing students, Instrument included death anxiety, death attitude,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end-of-life care attitude. Result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end-of-life care attitude, death anxiety, death attitude. Death anxiety(β=-.392), self-esteem(β=.179) & experience of learning(β=-.227) about death were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s. This variables accounted for 18.7% of the variance in end-of-life care attitud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can be us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end-of-life care.

      • KCI등재

        간호대학 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관한 조사연구

        양승애,정덕유 성인간호학회 2004 성인간호학회지 Vol.16 No.1

        Purpose: This descriptive - comparison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senior nursing students in three types of nursing program. Method: The convenience sample was drawn from 472 nursing students.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mad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developed by Facione & Facione (1994).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with SAS 6.12 program. Result: 1. The total mean scor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279.06. Inquisitiveness was the highest with an mean score 45.50, while systematicity was the lowest with mean score of 36.1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F=14.36, p=.00) according to senior nursing students in three types of nursing programs.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F=5.53, p=.00)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t=-3.15, p=.00). religion(F=3.26, p=.02) and critical thinking course taken previously(t=3.10, p=.00). Conclus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F=14.36, p=.00) according to senior nursing students in three types of nursing progra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religion, logic, philosophy, critical thinking 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