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론중심 신문방송학과의 교과과정 시안

        양승목 연세대학교 언론연구소 1994 언론 사회 문화 Vol.- No.4

        언론학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오래 전부터 논란이 되어 왔던 해묵은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몇해 전에도 한국언론학회는 학회창립 30주년을 맞아 이 문제를 다룬 적이 있으며, 미국언론학회(AEJMC)의 기관지 JE(Journalism Educator)는 1985년 가을호(Vol.40, No.3)에서 “21세기를 위한 언론학(Jounalism/Mass Communication)교육”이라는 주제하에 특집을 마련하고 언론학교육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방향을 심도있게 다룬 적이 있다(또한 최근에 JE 1994년 여름호는 언론학 석사과정 교육에대한 특집을 마련한 바 있다).

      •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정보민주주의와 정보복지 정책 : 정보편중 및 과독점 해소방안 A Solution for the Digital Divide

        양승목,송호근,조권중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2 한국사회과학 Vol.24 No.1

        본 연구는 지식기반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정보의 편중과 과독점을 정보격차 내지는 정보 불평등의 문제로 인식하고, 정보민주주의와 정보복지라는 두 가지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지식기반 사회의 정보격차와 정보불평등을 극복하는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정보격차를 야기하는 사회적 기제를 논의하고 각종 사회조사 통계의 분석을 통해 정보격차의 현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정보격차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이론적 근거로서 정보민주주의와 정보복지 개념을 논의하고, 국내외의 정보격차 해소 정책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보격차와 정보불평등을 해소하려는 기존의 노력들은 주로 하드웨어든 소프트웨어든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접근과 그것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에 초점을 맞추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노력들이 나름대로 충분히 의미있고 또 중요한 것이지만, 정보격차를 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물리적 접근을 보장하는 차원이 아니라 정보불평등을 야기하는 사회 구조적 문제를 직시하고 정보사회에서의 사회적 삶의 가치를 중시하는 새로운 형태의 정책방안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information democracy' and 'information welfare' in the context of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s), and suggests policies to overcome the digital divide or information inequality between information rich and poor. Based upon an extensive survey of social statistics and the various policies implemented i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this study argues that the previous efforts to prevent the digital divide are limited because they have focused on broadening access to ICT hardware and software and providing widely available basic training in their use. As important and welcome as these efforts, we suggest the policies that move beyond a concern with physical access to ICTs,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structural aspect of information inequality as well as the value of social life in the age of information society.

      • KCI등재

        반계 유형원 抄象 -생애기록물에 대한 통시적 이해

        양승목 한국실학학회 2017 한국실학연구 Vol.0 No.34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biography of Yu Hyeong-won, discovered or collected through Bangye-japgo and Bangye-yugo. Completing the collection of Yu Hyeong-won’s lifelong records and achievements took a hundred-year in total after his death. The number of pieces collected sums up to ten, which is relatively large number while other scholars’ collections consist of less pieces. The reason of its large volume could be found in periodical atmosphere demanding the publication of Su-rok in 18th century. The biographies could be categorized in three groups by period in order to distinctly differentiate their diverse features and aspects. The first group include early documents written by Yu Hyeong-won’s closest friends shortly after his death. These pieces contain his life history to praise his great personality along with his learning and virtue. The second group contains four pieces written in the period when the value of Su-rok was widely recognized to risen the demands of its publication. The pieces in this group were written by those who were deeply impressed by reading Su-rok, which is a great aggregation of administration theory and said to be Yu Hyeong-won’s greatest academic achievement. The writers spared a lot of pages not only to introduce the contents of Su-rok but also to spotlight its value. The writers of this group had focused more on his book and his opinion rather than his personality or achievements. This makes this group clearly distinguishable from the first one. The last group contains two pieces written after the publication and the release of Su-rok. Each one of this group focused on different point where the first one showed maximized quality of former pieces, while the other collected Yu Hyeong-won’s life history by period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This study helped to trace the path and origin of former Yu Hyeong-won studies by diachronically revising the biography of Yu Hyeong-won. The process has also helped to revise formerly excluded elements and materials once again. Multilateral and stereoscopic approach to those materials could lead to open further stage of the study of Yu Hyeong-won. 이 글은 『반계잡고』 와 『반계유고』 를 통해 발굴 혹은 수합된 유형원 관련 생애기록물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유형원이 서거한 이후, 그의 생력과 학덕 및 업적을 정리한 문건은 100여 년에 걸쳐 총 10편이 제작된다. 일반적인 문인에 비해 많은 수의 생애기록물이 나온 것인데, 18세기 중반 『수록』 의 公刊을 요구했던 시대적 분위기에서 그 원인을 찾았다. 그 흐름과 면면을 선명히 드러내기 위해, 유형원의 생애기록물을 시기에 따라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 그룹은 그가 타계한 직후 그와 가까운 관계에 있었던 지인들에 의해 작성된 초기 자료들로, 삶의 이력과 평소의 언행을 기록함으로써 그의 인품과 학덕을 기리는 데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후 『수록』 의 가치가 사회적으로 공인되고 그 간행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던 시기에 나온 네 편을 두 번째 그룹으로 묶었다. 이 자료들은 『수록』 을 읽은 후 그 주장에 감발한 이들이 찬술한 것으로, 유형원의 최대의 학문적 업적이자 경세론의 결정체인 『수록』 의 내용을 소개하고 그 가치를 현창하는 데 상당한 지면을 할애하고 있었다. 유형원의 사람됨이나 행적을 기록하고 추모하기보다 그의 저술과 주장에 초점을 맞추어 그를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앞 시기와 뚜렷하게 대별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수록』 이 간행된 이후에 나온 두 편을 따로 묶어 살폈는데, 이 둘은 서로 다른 길을 택했다. 『수록』 으로 유형원을 입전했던 바로 앞 시기의 특성이 극대화된 결과물이 있는가 하면, 유형원과 관련된 생력정보를 집대성하여 연보의 형태로 정리함으로써 그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가능하게 한 성과도 있었던 것이다. 유형원 관련 생애기록물을 통시적으로 조망한 이번 작업은 학술사적 위상에 골몰하여 그의 상을 그려온 오랜 내력과 궤적을 확인시켜주었다. 동시에 이 과정은 그간 유형원에 대한 연구에서 배제되었던 화소와 질료들을 다시금 돌아보게 하였다. 이에 대한 다각적이고 입체적인 접근이 유형원 연구의 다음 장을 열어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옥소 기몽문학 초탐―작품의 현황과 특질을 중심으로―

        양승목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4 No.-

        This paper was prepar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holistic study of Okso Gwon Seop's literature that records his dreams. Existing studies on literature in which Gwon Seop recorded his dreams were generally limited to the Hwa-mong (「畵夢」). However, this is only a part of a literary work written by Gwon Seop based on his dream. In fact, Gwon Seop has created a very vast amount of poetry and prose based on his dreams throughout his life. These works form a group, sharing the attribute of ‘gimong (記夢)’ in various forms. A reasonable and balanced light on this is essential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his literary world. The first task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full picture of the literary works that recorded Gwon Seop's dreams. As a result of examining all of the existing Oksogo (『玉所稿』), 115 poems recorded dreams and 120 prose poems recorded dreams. The information on this work is listed and attached at the end of this article. Based on this, the literature in which Gwon Seop's dreams were recorded was reviewed in general,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works, the trend of creation, and the composition of literary styles were summarized. After that, I focused on the content of the work,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that penetrated the whole, and explored the background that made this unique achievement possible. This attempt laid the foundation for a more extensive and full-fledged study of Gwon Seop’s Literature that records dreams. It is hoped that the list and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opening the next chapter of research in this field. 본 논문은 옥소 권섭의 기몽문학에 대한 총체적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기획되었다. 꿈과 관련된 옥소의 문학적 성취에 대해 종래의 연구 시야는 대개 「畵夢」 어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옥소가 꿈을 소재로 지은 문학작품의 한 부분에 불과하다. 옥소는 일생에 걸쳐 자신이 꾼 꿈을 글감으로 섭취하여 실로 방대한 양의 시문을 창작하였으며, 이들은 다채로운 색깔을 지닌 채 ‘記夢’이라는 속성을 공유하며 하나의 군을 이루고 있다. 이에 대한 온당하고 균형 있는 조명은 「화몽」은 물론 그의 기몽문학, 나아가 그의 문학세계에 대한 이해를 확충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제이다. 이에 본고는 옥소가 남긴 기몽문학 작품의 전모를 파악하는 것을 첫 번째 과제로 삼았다. 현전하는 2종의 필사본 『玉所稿』 전편을 대상으로 꿈을 소재로 삼은 작품을 조사하여 옥소가 남긴 기몽작품의 총 수효가 기몽시 115제, 기몽산문 120편에 이름을 밝혔다. 이를 전수 목록화하고 주요 정보를 표지해 제공하는 동시에, 이로부터 옥소의 기몽문학에 대해 거시적 차원에서 도출할 수 있는 정보들, 곧 작품 현황과 창작의 추세, 양식적 구성 내역 등을 정리하였다. 이와 함께 주요 작품의 내용에 주목하여 옥소의 기몽문학 전반을 관통하는 특질을 살펴보고, 이러한 독보적인 성취를 이룩할 수 있었던 배경을 탐색해보았다. 이번 시도는 옥소의 기몽문학에 대한 보다 광시야적이고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한 것이다. 그간 옥소 문학의 꿈과 관련된 작품에 대한 고찰이 적잖이 있었음에도 ‘초탐’이란 표현을 내세운 것은 기몽문학이라는 시좌를 취하여 그 총체를 살핀 사실상 첫 시도이기 때문이다. 본고를 통해 제공되는 목록과 정보들이 이 분야 연구의 다음 장을 여는 데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