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천교의 반일성(反日性) 연구’를 위한 연구사적 검토

        안후상(An Hu Sa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6 한국종교 Vol.39 No.-

        이 글은 ‘보천교의 반일성’을 연구하기 위한 시론이자 연구사 정리다. 보천교는 기본적으로 반일성을 갖는다. 일제강점기에 보천교는 일제의 수많은 탄압을 받았고 그 탄압으로 보천교는 해체되었다. 그렇다면 일제는 왜 보천교를 탄압했을까? 일제가 보천교를 사이비 종교라서 탄압하였을까? 아니면 식민통치에 위협이 되었기 때문에 탄압하였을까? 일제가 보천교를 탄압하면서 남긴 수많은 자료에는 대체로 다음과 같이 기록돼 있다. “보천교가 조선의 독립을 위해 자금을 모았다.” 이 글은 보천교의 연구 현황을 2000년을 기점으로, 그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대체의 관련 연구는 보천교의 반일성, 더 나아가 보천교의 민족성까지 언급하였다. 하지만 근래에 보천교의 민족성을 부인하는 글이 발표되었다. 따라서 보천교 연구의 최대 쟁점은 ‘보천교의 민족성’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보천교의 반일성’에는 재고의 여지가 없다. 왜냐하면 지금까지의 관련 연구에서 뿐 아니라, 일제가 남긴 수많은 자료에서 보천교의 반일성을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의 후반부에서는 향후의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예시’와 함께 제시하였다. 특히 보천교의 반일성을 엿볼 수 있는 사건들을 시대 순으로 구성하면서, 그 특징들도 함께 소개하였다. 이러한 예시가 향후의 관련 연구를 하는 데 있어서 참신한 착안으로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도 피력하였다. 지금으로부터 100여 년 전의 식민지 한국은 ‘전통’과 ‘문명’이라는 명분이 혼재돼 있었다. 당시의 전통이란 왕조시대에 지키고자 한 ‘정(正)’보다는 배척하고자 한 ‘사(邪)’에 가까웠다. 신문이나 잡지 같은 언론에서는 문명의 저 편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보천교를 계몽의 대상이라 하였지만, 당시에 적지 않은 민중은 보천교운동에 관심을 보였다. 계몽의 대상으로 지목된 그들, 즉 민중들은 오늘날 우리가 생각하는 방식대로 생각하지 않았을 것이다. 향후의 관련 연구는 보천교운동에 참여한 그들의 언어로써 그들의 생각을 추적하는 작업이 되었으면 한다. This paper is a review and historical research focusing on ‘the study of the anti-Japanese attitude of Poch"ǒn"gyo’. Poch"ǒn"gyo had an anti-Japanese attitud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it was disbanded as part of systematic repression. What made Japan repress Poch"ǒn"gyo? Was it considered to be a cult, or did it pose a threat to Japanese colonial rule? Many records exist during the repression of Poch"ǒn"gyo which clearly stated, “Poch"ǒn"gyo gathered funds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 This research reviewed the status of the study of Poch"ǒn"gyo before and after the year 2000. Most research remarked on the anti-Japanese attitude of Poch"ǒn"gyo, and even its ethnicity. However, some recently announced papers denied Poch"ǒn"gyo’s ethnicity. So, the biggest issue on the research of Poch"ǒn"gyo concerns how to look at the ethnicity of it. There is no debate about ‘the anti-Japanese attitude of Poch"ǒn"gyo’. Related research from both time periods, as well as many materials left behind by Japan, indicated the anti-Japanese attitude of Poch"ǒn"gyo. The latter half of the paper explores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with examples given. Especially, the events related to its anti-Japanese attitude were introduced in chronological order with detailed analysis. I, in the paper, express that these examples would inspire future research. One hundred years ago, ‘tradition’ and ‘civilization’ in Korea under Japanese rule was in a state of flux. The tradition at that time was closer to excluding the period of dynasty, rather than to keeping it. The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journals considered Poch"ǒn"gyo as an object to be illuminated, but many people had interest in the Poch"ǒn"gyo movement. The people under Japanese occupation, who were treated as the objects to be illuminated, would have thought in a different way than people of today think. I hope further research will shed light upon this thought through the language of the participants of the Poch"ǒn"gyo movement.

      • KCI등재후보

        보천교의 고천제와 ‘교단 공개’

        안후상(An Hu-Sa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9 한국종교 Vol.45 No.-

        보천교(普天敎)는 경상남도 함양군의 대황산록(大皇山麓)과 황석산(黃石山)에서 각각 하늘에 고(告)하는 제(祭)를 지냈다. 1919년 음력 9월에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池谷面) 덕암리(德庵里)의 대황산록에서 24방주제를 60방주제로 확대, 개편하는 고천제를 지냈다. 1921년 음력 9월에는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西下面)과 안의면(安義面)에 걸쳐있는 황석산(黃石山)에서 ‘시(時)’라는 국호(國號)와 ‘보화(普化)’라는 교명(敎名)을 고천(告天)하였다. 이때부터 차월곡이 천자(天子)로 등극하였다는 ‘천자등극설’이 널리 퍼졌다. 고천제 즈음해서 일제는 종교선도주의(宗敎善導主義)에 입각하여 비밀결사적인 보천교를 세간에 드러나게 해 통제하겠다는 취지에서 보천교의 공개를 집요하게 요구하였다. 교단 공개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탄압은 물론이고, 후천선경 신정부건설운동의 정점이 되는 고천제(告天祭)의 개최도 장담할 수가 없었다. 이때 차월곡은 교조직의 공개와 고천제 모두를 선택하였다. 그런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교조직의 공개라는 선택에는 고천제의 개최가 담보돼 있었다. ‘고천제는 천자 등극식’이라는 풍설은 당시 민중의 새 왕조 개창 또는 후천선경신정부 건설이라는 염원을 갖게 하였다. 즉 고천제는 보천교라는 새로운 가능성에 힘입은 채 예언이나 풍설로 재생산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풍설은 정감록』과 ‘강증산의 예언’이 바탕이 되어 만들어진 종교적 교의(敎義)이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당시의 민중이나 일제는 후천선경의 신정부 건설운동을 한국의 독립과 새로운 정부 수립 등의 민족운동의 관점에서 바라다보았다. 고천제와 보천교의 공개로 인해 나타난 보천교에 대한 대외적인 인식은 다음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일제와 언론, 그리고 교단 밖 지식인들에게 보천교는 ‘유사종교 또는 사이비종교’로 각인되었다. 특히 신문과 잡지는 물론이고, 당시 민족주의자들까지 보천교 비난에 가세하였다. 이는 가장 민족주의적인 방법으로 한국에서의 새로운 정부 수립 운동을 기도한 보천교를 민족주의자들이 부정한, 특이한 사건이다. 둘째, 회유 당시의 약속과는 달리, 일제는 보천교의 분열을 획책하였다. 아울러 노골적인 강경 일변도의 탄압도 늦추지 않았다. 급기야 보천교는 보수와 혁신으로 갈라서게 되었고, 이러한 분란은 또 다른 분란을 야기하면서 보천교는 무력화돼 갔다. 보수와 혁신 세력 간의 다툼이 본격화된 것은 《시대일보》 인수로 인한 분란이었지만, 그 분란의 배경에는 ‘보천교 공개’가 있었다. Bocheonism (Poch’ŏn’gyo; 普天敎) engaged in rituals whereby avowals were made to the heavens both at the foot of Mt. Daehwang-san and Mt. Hwangseok-san in Hamyang-gun, Gyeongsang-namdo. In September 1919 based on the lunar calendar, Gochun-je, a service whereby avowals were made to the heavens, was held to expand and reorganize the 24 Bangjooje system into the 60 Bangjooje system at the foot of Mt. Daehwang-san in Deokam-ri, Jigok-myeon, Hamyang-gun, Gyeongsang-namdo. In September 1921 based on the lunar calendar , the country name of ‘Si (時)’ and the religious name of ‘Bohwa’ were declared to the heavens at Mt. Hwangseok-san that encompasses Seoha-myeon and Anui-myeon, Hamyang-gun, Gyeongsang-namdo. From that time, the ‘Chonja-deunggeuk-seol,’ a story in which Cha Wol-gok was crowned as an emperor, was disseminated. Around the time when Gocheon services were held, the Japanese government persistently requested Bocheonism to be opened up to the public with the intention of controlling it based on the principle that religions were to be managed and guided. Unless the religious society opened itself up, it could not be guaranteed that the Gocheon service as a core element in the project of establishing a new government for the paradise of the Later Day would be held. At that time, Cha Wol-gok chose both to open the religious organization up to the public and to hold the Gocheon service. Carefully looking into this matter, the choice to open the religious society up to the public guaranteed that the Gocheon service could be held. The rumor that the ‘Gocheon service was a ceremony for the emperor to be crowned’ gave people hope that a new dynasty or a new government would be founded. That is, the Gocheon service was reproduced into a prophecy or rumor empowered with the new potential of Bocheonism. The rumor referred to a religious doctrine based on the Jeonggam-rok and the ‘prophecy of Kang Jeungsan.’ However, at that time, the public or the Japanese government looked upon the establishing project of a new government as a manifestation of a desire for Korea"s independence or the establishment of a new government. There were two external views regarding Bocheonism that appeared based on it’s opening up and the Gocheon service itself: First, the Japanese government, the press and intellectuals outside of the Order considered Bocheonism to be a pseudo religion. In particular, even nationalists as well as newspapers and magazines criticized it. It was a unusual situation whereby nationalists were against Bocheonism that intended to lead the project for establishing a new government in Korea that was characterized by a strong sense of nationalism. Second, unlike the promise at the time when there was some kind of reconciliation, the Japanese government schemed and plotted to divide Bocheonism. In addition, the government attempted to blatantly oppress it. Eventually, Bocheonism was spilt into conservative and reformist wings, which caused another spilt, and it became enfeebled. The struggle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reformist factions became serious in a dispute over ownership of a newspaper, the Sidaeilbo, but the fundamental reason why Bocheonism became divided and emasculated was the opening up of this religious organization.

      • KCI등재

        식민지시기 보천교의 공개와 공개 배경

        안후상 ( Hu Sang An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6 No.-

        1921년 보천교(普天敎)는 비밀리에 고천제(告天祭)를 준비하였다. ``고천제는 천자(天子) 등극식``이라는 풍설이 떠돌았다. 이러한 풍설은 민중을 집합적 성향으로 만들었고, 일제는 민중의 이러한 성향을 예의 주시하였다. 그러함에도 불고하고 풍설 자체가 일제를 긴장시킨 결정적인 요인은 아니었다. 일제가 긴장한 것은 앞의 풍설을 퍼트리는 민중의 조직적인 움직임이었다. 1918년 제주에서의 민중 봉기의 기억이 채 가시기도 전이기에 더욱 그러했다. 일제를 긴장시킨 또 하나의 보천교의 활동은 바로 ``교금(敎金)``이었다. 일명 ``청송(靑松) 사건``이나 ``김홍규(金洪奎) 사건``은 보천교의 교금이 민족운동가들에게 지원될 가능성을 염두에 둔 일제의 수사였다. 그런데 ``김홍규 사건``의 이면은 그리 단순치가 않다. ``김홍규 사건``의 시작은 방주(方主) 김영두(金英斗)의 교권 장악 음모에서 비롯되었다. 교금을 탈취했다가 궁지에 몰린 김영두가 ``고천제는 천자 등극식``이라고 경찰에 밀고하면서 불거졌던 게 ``김홍규 사건``이다. ``김홍규 사건``은 우연한 계기로 불거졌지만 거금을 수합할 수 있는 보천교가 비밀결사체라는 점, 거금이 국내외의 민족운동 세력에게 흘러들어갈 수 있다는 점 등을 일제는 크게 우려하였다. 일제는 ``청송 사건``과 ``김홍규 사건`` 등을 계기로 보천교의 고천제를 무산시키려고 하였다. 더불어 비밀스런 교조직을 세상에 드러나게 하려고 하였다. 교조직은 워낙 비밀스러웠기에, 일제의 물리적 탄압은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 ``종교 선도주의(善導主義)``라는 기만책도 교조직이 드러나야만 구사할 수 있었다. 보천교는 운동의 정점이라 할 고천제를 포기할 수 없었다. 일제는 교단을 공개하면 고천제를 묵인할 태세였다. 따라서 보천교는 ``고천제의 개최``와 ``교단의 공개`` 모두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보천교의 공개는 형식상 교단의 반(半)공인을 의미하지만 일제의 기만책에 대한 보천교 측의 무방비를 의미한다. 한편, 보천교의 교금 일부가 국내외의 민족운동가들에게 지원되었는데, 이러한 것이 보천교 운동의 지향점은 분명 아니었다. 그렇더라도 당시 거금을 수합할 수 있는 민중의 조직체인 보천교를 일제는 주시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일제 뿐 아니라 민족운동가들도 보천교를 주시하였다. 전근대적이고 다소 추상적인 보천교 운동은 아직 근대적 의식을 채 갖추지 못한 민중들의 바람이었다. 민족운동가들은 민중의 조직과 자금의 가능성을 기대했고, 일제는 민족운동가들이 기대했던 보천교를 무력화시키기 위해서 교조직의 공개를 획책하였다. Poch`on`gyo clandestinely prepared Gochonje Ritual in 1921. There was a rumor that this ritual was intended to crown a new emperor. Such rumor made the public collaborative and the Japanese imperialism paid attention to such tendency. However, it was not a determinative factor to make the Japanese imperialism be in tension. The Japanese imperialism came to be nervous by the organizational movement of the public that spread the rumor widely. This was especially true as the memory of the uprising in Jeju in 1918 did not appear. One activity of Poch`on`gyo which made the Japanese imperialism nervous was religious money. ``Chongsong Event`` or ``Kim Hong-gyu Event`` was an investigation of the possibility that the religious money of Poch`on`gyo would be given to nationalists. However, ``Kim Hong-gyu Event`` was not simple in its background. It was derived from a conspiracy to dominate the religious power by Kim Young-du, a local leader. The leader who was pushed into a corner because he usurped the religious money informed the police on the Gochonje as an enthronement ceremony. It was coincidently surfaced, but the Japanese imperialism worried that Poch`on`gyo which was able to collect a large sum of money was an underground organization and the money would go into nationalists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e Japanese imperialism intended to stop Gochonje using ``Chongsong Event`` and ``Kim Hong-gyu Event``. In addition, it tried to reveal the secret religious organization to the world. As the organization was so secret, the physical oppress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did not work. The deceptive system of ``religious leadership`` would work only when the religious organization was revealed. Poch`on`gyo did not give up the Gochonje as the center of the movement. The Japanese imperialism was prepared to permit Gochonje if the religious organization was opened. Therefore, Poch`on`gyo was forced to select both Gochonje and opening of the religious organization. The opening of Poch`on`gyo means it was unprepared against the deceptive plan as well as formal permission of the religious organization. Meanwhile, part of the religious money was given to nationalists, which was not a goal of the Poch`on`gyo movement. Even so, the Japanese imperialism could not help paying attention to it as a national organization which was able to collect a large sum of money. Nationalists as well as the Japanese imperialism paid attention to Poch`on`gyo. It was a pre-modern and abstract desire of the nationalists without modern consciousness. The nationalists expected possibility of the national organization and funds while the Japanese imperialism planned to open the organization in order to weaken Poch`on`gy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