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육바라밀기반 철학적 탐구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안현정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1 宗學硏究 Vol.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육바라밀(六波羅蜜) 기반의 철학적 탐구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G시의 유아교육기관 2곳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육바라밀의 여섯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불전설화를 활용한 철학적 탐구활동을 18회기 처치하였다. 통제집단에는 동일한 기간에 누리과정에 근거한 놀이중심의 교육활동이 주간교육계획에 따라 실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win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다. 분석 결과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 유아의 ‘공감능력’ 전체와 하위요인의 ‘소통적 공감’과 ‘인지적 공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 연구의 육바라밀기반의 철학적 탐구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이뿐만 아니라 불전설화를 활용한 육바라밀기반의 철학적 탐구활동이 유아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 방법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effect of philosophical inquiry activity based on Six-Paramitas on young children's empathy. 40 (20 from experimental group and 20 from comparison group) 5 years-old young children from two kindergarten in G city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18-times of philosophical inquiry activities that utilized Buddhist folktales based on 6 main topics of Six-Paramitas were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Topic based integrated education activities that were based on Nuri-curriculum were conducted based on weekly education planning. The collected data was validated by independent t-test using SPSS/PC (win 28.0). As a result, all elements of empathy and sub-elements of communicative empathy and cognitive empathy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than the one in the comparison group. This indicates that philosophical inquiry activities based on Six-Paramitas affect young children's empathy in a positive way. Also, it indicates that philosophical inquiry activities based on Six-Paramitas that utilized Buddhist folktales are an applicable teaching-learning method.

      • KCI등재

        한국불교설화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PBL)과 유아문화예술교육의 유아교육 적용 연구

        안현정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36

        본 연구에서는 한국불교설화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과 유아문화예술교육의 유아교육 적용을 위해 한국불교설화 5편을 선정하고, 웹 기반 응용 프로그램인 voyant-tools(2022)로 설화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핵심 단어를 추출하고 연결성을 탐색하였으며, 한국불교설화 5편에서 문제중심학습(PBL)에 부합하는 문제해결 주제 8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교수학습 방법은 조연순(2006)이 문제중심학습(PBL)에서 제안한 것으로, ‘1단계: 문제 만나기’, ‘2단계: 문제해결계획 세우기’, ‘3단계: 탐색하기’, ‘4단계: 해결책 고안하기’, ‘5단계: 발표 및 평가하기’까지 일련의 절차와 과정을 따라 진행하였다. 이 외에도 5편의 한국불교설화를 대상으로 유아에게 적합한 문화적, 예술적 요소를 추출하였으며, 문제중심학습(PBL) 접근과 통합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한국불교설화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PBL)과 유아문화예술교육의 통합적 적용은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이며, 유아가 문제에서 시작하여 문제해결자로 참여하기 때문에 유아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 성인의 상악 전치부 인공치아 선택기준에 관한 계측학적 연구

        안현정,양홍서,박하옥,Ahn Hyun-Jeong,Yang Hong-So,Park Ha-Ok 대한치과보철학회 200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0 No.5

        The selection of the maxillary anterior artificial teeth is made primarily for esthetics and they must be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oral environment. However the selection of artificial teeth is based on the large degree of subjective judgement or the dentists, therefore, this is one of the most unscientific process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clinically whether there is correlation among the width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WMCI), the intercanine distance (ICD) the facial width(FW), and the interalar nasal width(IAW) in Korean adults, and to provide the selection standards for the maxillary anterior artificial teeth. The casts were obtained from 91 undergraduate dental students(49 males and 42 females) with Angle's class I occlusion presenting well-arranged intact anterior teeth. The WMCI and ICD were measured on the casts with a vernier calipers($Miltex^{(R)}$, Germany). The photographic procedures under standardized conditions were performed to record each subject's frontal face using digital camera($Olympus^{(R)}$, C-2500L, Japan). The FW and IAW were measured with image analyzer($Image-Pro^{(R)}$ PLUS. media cybermetrics. USA).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The mean WMCI was $8.11{\pm}0.67mm$, ICD was $37.88{\pm}2.15mm$, FW was $141.29{\pm}5.84mm$. and IAW was $37.85{\pm}2.29 mm$. 2. The ratios of FW/WMCI, FW/ICD, IAW/ICD were 17.4, 3.7, 1.0 respectively. 3. All measurements(WMCI, ICD, FW, and IAW) of male group were longer than those of female group significantly in Student's t-test(p<0.01). 4.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MCI, ICD, FW, and IAW i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p<0.01). 5, The relationship between IAW and ICD shows the strongest correlation among six combinations in linear regression analysis($R^2$=0.753, Y=7.046+0.815X). The FW and IAW could be very reliable guides for the selection of the maxillary anterior artificial teeth.

      • KCI등재

        15 MW급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시스템 반잠수식 플랫폼의 운용 조건 중 응답 특성 비교 연구

        안현정,하윤진,박세완,김경환 한국풍력에너지학회 2022 풍력에너지저널 Vol.13 No.4

        In this study,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wo semi-submersible platforms with an IEA 15 MW reference wind turbine are compared. The nacelle acceleration, platform motion and generator power of FOWT applying a VolturnUS-S platform developed by the University of Maine and PentaSemi platform develop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hips and Ocean Engineering are compared in operational conditions. Numerical simulations are performed based on the marin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U.S east coast. In the FOWT to which the PentaSemi platform is applied, the nacelle acceleration and platform pitch angle are rather high, but the results of both platforms satisfied the design criteria at all operating wind speeds. The platform yaw angle of PentaSemi platform to which a yaw control catenary mooring system is applied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platform yaw angle of VolturnUS-S. Also, despite the relatively large nacelle acceleration and platform pitch angle, the generator power is higher on the PentaSemi platform. This means that the generator power dominates the control system rather than the nacelle and platform motion.

      • KCI등재

        한국불교설화를 활용한 유아문화예술교육과 문제중심학습(PBL)의 통합적 접근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안현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5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불교설화를 활용한 유아문화예술교육과 문제중심학습(PBL)의 통합적 접근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어떠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 소재 만 5세 유아 50명(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처치는 8주동안(주 4회씩, 총 32차시) 실행되었으며, 한국불교설화 5편을 선정하여 유아문화예술교육과 문제중심학습(PBL)를 통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고안하고, ‘1단계: 문제 만나기’, ‘2단계: 주제 찾기’, ‘3단계: 탐색하기’, ‘4단계: 해결책 고안하기’, ‘5단계: 발표 및 평가하기’까지 일련의 절차와 과정을 따라 진행하였다. 유아의 공감능력 검사에 대한 자료는 SPSS(ver. 26)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공변량분석(ANCOVA)과 다변량분석(MANCOVA)으로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한국불교설화를 활용한 유아문화예술교육과 문제중심학습(PBL)의 통합적 접근은 유아의 공감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요인에서는 사회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소통적 공감과 인지적 공감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는 한국불교설화를 활용한 유아문화예술교육과 문제중심학습(PBL)의 통합적 접근이 유아의 공감능력 뿐 아니라 ‘소통적공감능력’과 ‘인지지 공감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 그래픽 이미지의 수사학적 표현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광고를 중심으로 -

        안현정,이영화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3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6 No.2

        이미 우리는 다양한 문화와 매체시대에 둘러 쌓여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소비자의 기호는 더욱 다변화되어 가고 있으며 세분화된 소비자의 만족도를 위하여 광고활동은 더욱 급증했고, 보다 빠른 이해와 정보전달의 필요에 따라 비주얼 중심의 광고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 실정이다. 광고에 있어서 그래픽 이미지의 중요성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인지하고 있다. 이렇듯 그래픽 이미지의 중요성에 따라 많은 디자이너에게 카피와 더불어 수많은 광고 중에서 강한 인상을 주기 위한 광고의 창의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수사학적 표현인 비유법은 광고언어의 차원에서 급증할 수밖에 없으며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표현이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중요성으로 대학이미지 광고에서도 전략적인 측면에서 광고의 표현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수사학적 표현방법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이에, 대학 이미지 광고의 게재 현황과 대학광고에 나타난 그래픽 이미지의 표현전략에 대한 소비자 태도 효과를 분석하여 대학이미지 광고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방법은 2012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1년 동안 열독율 1,2위인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에 게재된 대학광고 1,027점을 정리하여 그 중, 이미지광고 145점을 중심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이러한 수사학적 표현 방식을 분석하여 소비자에게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이미지를 고지시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여 본 연구가 대학 광고 발전의 미래를 제시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 KCI등재

        統一新羅金銅菩薩立像의 類型과 特徵

        안현정 동악미술사학회 2012 東岳美術史學 Vol.0 No.13

        금동보살상은 여래상에 비하여 표현과 재질면에서 시대 양식을 뚜렷하게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실제로 통일신라시대의 보살상은 당시 유행하였던 특유의‘女性性’, 즉 신체의 굴곡을 강조한 콘트라포스토(Contrapposto)의 자세와 육감적이라 할 만큼 풍부한 양감 표현 등이 부각되어 있다. 그러므로 보살상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지금까지 꾸준히 논의되어 왔던‘통일신라시대 불교조각과 당대 불교조각의 영향 관계’에 대한 연구를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는 방법이다. 연구 대상 시기는 통일신라가 외래의 문화를 가장 민감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던 7세기 후반~8세기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며, 분석 대상은 금동보살 중 立像에 한정하였다. 주지하다시피 통일신라 금동보살입상은 자연스러운 자세와 풍만한 양감을 비롯한 장신구나 착의 형식까지 당대 보살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성립하였다. 그러나 통일신라 금동보살입상은 단순히‘唐樣式’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기엔 매우 다채롭고 복잡한 樣相을 띠고 있다. 통일신라 금동보살입상의 양식은 당대 보살상의 양식을 반영하는 정도의 차이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외래의 양식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유형과 당시의 시대양식을 공유하고 있지만 삼국시대의 조상 경향을 遺存하고 있는, 보수적인 유형으로 대별할 수 있다. 우리가 단순히‘당 양식’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당대 불교조각의 조형성은 인도와 서역의 양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유형과 새로운 외래 양식을 수용하면서도 당대 이전의 전통을 계승하는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당대 兩京인 西京長安(지금의 陝西省西安)과 東都洛陽으로 대별되는‘長安樣式’과‘洛陽樣式’이다. 통일신라와 당대 보살상의 두 유형을 비교한 결과, 통일신라 금동보살입상의 인도지향성은 보수적인 조상 경향을 보이는 낙양양식 보다는 인도의 양식을 그대로 반영한 장안양식에 치중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당시의 신라인이 당을 통하여 새로운 문화를 수용하였으나 그 지향점은 인도에 있었다는 인식을 엿볼 수 있으며, 당이 신라에 새로운 문물을 전하는 중요한 관문이 되었음을 다시 한 번 입증한다. 또한 통일신라 금동보살입상의 표현상 특징은 영락을 생략하는 형식이 크게 유행하여 신체를 강조하고 드러내고 있으며 나신으로 드러난 상체의 구체적인 묘사는 당대 보살상에 비하여 부드러운 모델링을 정돈되게 묘사하였다. 別鑄結合式의 제작기법은 금동보살상의 보관과 영락 등의 세밀한 묘사를 요구하는 부분과 양 팔과 옷자락의 자연스러운 동작을 요구하는 부분에 적용하기에 매우 적절한 기법으로 8세기 이후 성행하여 계속적으로 증가하였다. Compared with those of Buddha images, the expressions and materials of gilt-bronze Bodhisattva images have distinctive features that vary in style from period to period. Indeed, highlighted in the bodhisattva image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is that unique “femininity”in vogue at the time, e.g., the use of contrapposto emphasizing the curve of the body and the expression of volume that borders on being sensual. As such, a focused analysis of bodhisattva images will lend more clarity to the ongoing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ist sculptures of Unified Silla and those of Tang Dynasties. Surveyed in this study is the period between the late 7th and the 8th centuries, when the Unified Silla’s attentiveness to and acceptance of foreign cultures were at its peak. Among gilt-bronze bodhisattva images, only the standing sculptures are analyzed for this study. As is widely known, the Unified Silla gilt-bronze images of standing Bodhisattva were established with the active acceptance of the styles of Tang-period bodhisattva images, examples of which include natural poses and voluptuous volume, expressions of ornaments and the rendering of robes. However, the Unified Silla gilt-bronze images of standing Bodhisattva are too heterogeneous and complicated in style to be simply lumped together into one category of those influenced by the“ Tang style.”Depending on the extent to which they were influenced by the styles of Tang-period bodhisattva images, the styles of the Unified Silla gilt-bronze standing Bodhisattva images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wo types: the one that shows an active acceptance of foreign styles and the other, more conservative type that does share some of the contemporary styles of the period and yet retains the sculptural trends of the Three Kingdom period. The Tang-period Buddhist sculptural characteristics simply known as “Tang style”can be subdivided into two different types: the one that actively embraced the styles of the Indian and the Western regions and the other that did adopt the new foreign styles and yet succeeded to the tradition of pre-Tang periods. These can be categorized into the “Chang’an style”and the “Luoyang style,” named after the two capital cities of the Tang Dynasty, i.e., the Western Capital (Xijing) of Chang’an (present day Xi’an of the Shaanxi province) and the Eastern Capital (Dongdou) of Luoyang. A comparison of the four types of Unified Silla and Tang bodhisattva sculptures indicates that the Unified Silla gilt-bronze images of standing Bodhisattva are oriented to the Chang’an style, which directly reflects the Indian style, rather than the luoyang style, which shows a more conservative sculptural tendency. This finding attests to the fact that, although Silla people adopted new culture from Tang, their point of reference lied in India, and that Tang served as an important gateway for passing the new culture on to Silla. In addition, reflecting the fashion of the time, i.e., the omission of beaded necklace, the Unified Silla gilt-bronze images of standing Bodhisattva stress and reveal the body, and the detailed rendering of the exposed upper part of the body makes the modeling sleeker and more organized than that of the Tang-period bodhisattva images. Piece-mold casting is the technique very suited to the intricate rendering of the jeweled crown and beaded necklace of gilt-bronze bodhisattva images as well as the natural rendering of their arms and robes, and the method has been increasingly popular from the 8th century onwards.

      • KCI등재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Dementia Version (SNSB-D): A Useful Tool for Assessing and Monitoring Cognitive Impairments in Dementia Patients

        안현정,진주희,박아람,이병화,서미경,서상원,나덕렬 대한의학회 2010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5 No.7

        The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SNSB) is one of the standardized neuropsychological test batteries widely used in Korea. However, it may be a bit too lengthy for patients with decreased attention span; and it does not provide the score of global cognitive function (GCF), which is useful for monitoring patients longitudinally. We sought to validate a dementia version of SNSB (SNSB-D) that was shorter than the original SNSB and contained only scorable tests with a GCF score of 300. We administered SNSB-D to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n=43) and Alzheimer’s disease (AD) (n=93),and normal controls (NC) (n=77). MCI and AD groups had GCF score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C group, and GCF scores were able to distinguish patients with Clinical Dementia Rating of 0.5 and 1. Test-retest reliability was high,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18for AD, 0.999 for MCI, and 0.960 for NC. The GCF sco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Through ROC-curve analysis, GCF scores were found to yield more accurate diagnoses than the MMSE. The SNSB-D is a valid, reliable tool for assessing the overall cognitive function, and can be used to monitor cognitive changes in patients with dement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