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관광해설사의 자원해설 서비스를 위한 의사소통 역량과 정서적 표현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안현영 ( Hyun Young Ahn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3 觀光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경상북도 문화관광해설 사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역량과 정서적 표현 방법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관광해설사의 의사소통 역량에 관하여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의하면 5개 요인으로 적재되었다. 탐색적 의사소통, 창의적 의사소통, 타인지향적 의사소통, 자아지향적의 사소통, 고정관념 극복적 의사소통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5개 하위 의사소통 역량과 직무 만족간의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탐색적 의사소통 역량과 타인지향적 의사소통 역량이 직무 만족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정 관념적 의사소통 역량은 부(-)의 상관성이 존재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정서적 표현 방법 중 내면 행위는 직무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표면 행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부(-)의 관계성이 존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Culture Tourism Guide`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motional express on act of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lture Tourism Guide`s communication skills conducted a fact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ive factors were loaded. Exploratory communication, creative communication, and other communication-oriented, self-oriented communication, overcoming stereotypes communication factor was named. Second, five sub-communication relationships between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analysis, exploratory communication skills and other skills-oriented communication on job satisfaction 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was analyzed. Communication capabilities stereotypical negative (-) correlations exist, bu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Culture tourism guide`s deep acting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whlie surface acting does not ha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 KCI등재
      • KCI등재

        미코노미(Meconomy)현상에서 1인 가구의 여행 안전, 긍정심리자본과 여행 만족에 관한 연구

        안현영 ( Ahn Hyun-young ),배연주 ( Bae Youn-joo ) 동북아관광학회 2021 동북아관광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1인 가구원이 인식하는 긍정심리자본과 여행 안전이 여행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 가구의 여행행태분석에 의하면 국내 여행 횟수는 1-3회가 가장 많았으며, 국내 여행 일수는 1박 2일과 2박 3일이 많았다. 숙박 형태는 호텔이 가장 많았으며, 동반 형태로는 친구, 연인, 가족의 형태로 분석되었다. 둘째, 1인 가구의 여행 안전에 대한 요인 분석은 안전교육, 안전기술, 안전규제의 3개 요인으로 적재되었으며, 긍정심리자본의 요인은 낙관주의, 회복 탄력성, 희망, 자기효능감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여행 안전과 여행 만족에 관한 분석에서는 여행 안전 하위 요인 중에서 안전 규제 요인이 여행 만족에 영향을 미쳤지만, 안전기술과 안전교육은 여행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1인 가구가 인식하는 긍정심리자본과 여행 만족의 관계를 회귀분석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의 하위 요인 중에서 회복탄력성 요인이 여행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travel safety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erceived by single-person household members on trave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ravel behavior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number of domestic travels was 1-3 times, and the number of domestic travel days was 1 night 2 days and 2 nights 3 days. Hotels were the most common and preferred type of accommodation, and friends, intimate partners, and family were analyzed as the companion type. Second, the factor analysis of travel safety of single-person households was loaded with three constituents: safety education, safety technology, and safety regulation. The 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derived from optimism, resilience, hope, and self-efficacy. Third, in the analysis of travel safety and travel satisfaction, safety regulatory factors among travel safety sub-factors affect travel satisfaction, but safety technology and safety education have not been identified. Finally,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erceived by single-person households on travel satisfaction, it was analyzed that resilience factor among the sub-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displayed no influence on travel satisfaction.

      • KCI등재

        문화관광해설사의 정서 지능과 직업 존중감 및 직무 만족에 관한 연구

        안현영 ( Hyun Young Ahn ),김수미 ( Soo Mi Kim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29 No.6

        본 연구는 경상북도 문화관광해설사를 대상으로 정서 지능과 직업 존중감, 그리고 직무만족에 대한 관계를 검증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관광해설사의 정서 지능은 정서인식, 정서조절, 정서이입, 목표달성, 사회관계의 5개 요인으로 적재되었다. 둘째, 문화관광해설사의 정서 지능 5개 요인 중에서 정서인식과 사회관계는 직업 존중감의 사회적 평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정서 지능의 5개 요인 중에서 목표달성 요인이 업무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서 지능 요인 중에서 정서인식 요인이 지원환경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직업 존중감의 소명감 요인과 사회적 평판 요인은 업무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직업 존중감의 사회적 평판 요인은 지원환경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문화관광해설사의 정서 지능, 직업 존중감, 그리고 직무 만족에 관한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job esteem, and job satisfaction of culture tour guid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terpreters of culture comprises five factors: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control, emotional empathy, goal achievement, and social relations. Second, emotional awareness and social rela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reputation on job esteem. Third, the goal achievement factor has a positive effect on role satisfaction, while emotional awar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in supportive environment. Fourth, vocation and social reputation factors in job esteem have a positive effect on role satisfaction. Also, the social reputation factor in job estee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in supportive environ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identified structural relationship to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esteem and job satisfaction of culture tour guide.

      • KCI등재

        만기 임신의 저위험 산모군에서 양수과소증이 주산기 예후에 미치는 영향과 임상적 의의

        안현영 ( Hyun Young Ahn ),김연희 ( Yeon Hee Kim ),김아리 ( A Ri Kim ),서미원 ( Mi Won Seo ),김옥경 ( Ok Kyung Kim ),이귀세라 ( Guisera Lee ),김사진 ( Sa Jin Kim ),신종철 ( Jong Chul Shi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2

        목적: 다른 고위험 요인을 동반하지 않은 만기 단태 임신에서 정상 양수군과 비교하여 양수과소증 단독의 소견이 임신 결과 및 주산기 예후에 불량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고 불량한 주산기 예후와 관련한 인자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2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부속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임신 37주에서 임신 41주 6일의 단태 임산부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조기양막파열,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태아의 선천성 기형, 조기태반박리, 전치태반, 만성 고혈압, 양수과다증, 심각한 내외과적 질환을 동반한 고위험 임신의 경우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색 도플러를 이용한 연속적인 초음파 검사에서 AFI<5를 양수과소증군으로 하였고 정상 양수지수 소견을 보이는 경우를 대조군으로 하여 나이, 출산력, 분만시 임신 주수, 진통 중 태아감시장치의 태아감속여부, 분만형태, 수술적 질식분만 여부, 1분 및 5분 아프가 점수, 탯줄동맥의 pH 및 Base excess, 양수 내 태변착색유무, 주산기 사망, 신생아 질환 및 불량한 주산기 결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결과: 총 2,491명 중 양수과소증은 215명 (8.63%)에서 관찰되었으며 양수과소증군에서 초산부 (70.2% vs 47,8%), 태아곤란증 (43.8% vs 4.1%) 또는 난산 (35.4% vs 17.0%)으로 인한 제왕절개술, 저체중아 (15.3% vs 5.7%) 그리고 태변 착색된 양수 빈도 (31.2% vs 18.4%)가 높았고 1분 아프가 점수 (7.96 +1.14 vs 8.16 + 0.85) 및 5분 아프가 점수 (9.26 +0.80 vs 9.39 + 0.67)는 낮았으며, 신생아에서 비뇨기계 (24.6%), 근골격계 (4.6%), 심장 (1.4%), 얼굴 (1.4%) 등 총 73건 (33.9%)의 이상 소견이 발견되었다. 결론: 만기 단태 임신에서 양수과소증은 불량한 주산기 예후를 증가시키며, 초산부, 모체의 나이, 태변 착색된 양수, 저체중아, 안심할 수 없는 태아심박동수 소견, 낮은 생물리학 계수가 이러한 불량 주산기 예후와 관계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the isolated oligohydramnios on the perinatal outcome in uncomplicated term pregnancies. Methods: We used data from Jan 2002 to Dec 2005 in all uncomplicated pregnancies between 37 and 41weeks and 6 days of gestation with a singleton fetus, underwent monitoring with serial determination of AFI. Oligohydramnios was defined by ultrasonographic determination of AFI ≤5 cm. Exclusion criteria were PROM, maternal medical complications and fetal anomalies detected by prenatal ultrasound. We investigated the mode of delivery, birth weight, birth weight < 10th percentile, 1 and 5 min Apgar score, umbilical cord pH and base excess, and meconium stained amniotic fluid (MSAF). We also assessed the predictive value of obstetric factors associated with adverse perinatal outcome. We used statistics analysis by Chi-square test, independent-samples T test using SPSS 14.0 V. Results: 2,491 patients met our inclusion criteria. Oligohydramnios was diagnosed in 8.63% (215/2,491).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cesarean section for fetal distress between those with oligohydramnios vs. normal AFI (43.8% vs.4.1%). Patients with oligohydramnios had significantly lower SGA (15.3% vs. 5.7%), lower Apgar score at 1 min<7 (7.9% vs. 3.3%), and higher rate of MSAF (31.2% vs. 18.4%) than those with normal AFI. There were musculoskeletal abnormalities in 10/215 (4.6%) and urogenital abnomralites in 53/215 (24.6%). Conclusion: Isolated oligohydramnios in uncomplicated term pregnancies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adverse perinatal outcome. Nulliparity, advanced maternal age, MSAF, SGA, and lower BPP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adverse perinatal outcomes.

      • KCI등재
      • KCI등재

        임신 중기 양수천자 1,565 례에 대한 세포유전학적 분석 : CUMC 경험 (1)

        안현영(Hyun Young Ahn),정대영(Dae Young Jung),백은정(Eun Jung Baik),이형근(Hyung Geun Lee),문희봉(Hee Bong Moon),이지현(Jee Hyun Lee),김석찬(Seok Chan Kim),신종철(Jong Chul Shin),나종구(Jong Goo Rha),김수평(Soo Pyung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6

        N/A Objectives: To analyze chromosomal abnormalities according to patients age and indications of patients in midtrimester amniocentesis for prenatal genetic diagnosi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565 cases of midtrimester prenatal genetic amniocentesis cases which were done in the cytogenetics laboratory at Kangnam St.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from November1997 to May 2000. Results: In 1,565 cases, the most common maternal and gestational age distributions were 35 to 39 years old and 17 to 17+6 weeks (32.78Vo and 2l.47%, respectively). Abnormal maternal serum markers were the most common indication for amniocentesis (43.64%), and followed by advanced maternal age (40.45%) and abnormal ultrasonographic findings (3.64%). The overall incidence of chromosomal abnormalities was 4.47% (70 cases), of which numerical abnormalities and structural abnormalities were 1.86% (29 cases) and 2.61% (41 cases), respectively. Among the autosomal abnormalities, Down syndrome was most common (10 cases, 0.65%), and followed by Edward syndrome (9 cases, 0.59%). Among the sex chromosomal abnormalities, both of 47,XXX and 47,XXY were most common (3 cases, 0.20%, respectively). Chromosomal abnormalities were most frequently noted in the maternal age of 25 to 29 years old (5.10%), 30 to 34 years old (4.82%), 40 to 44 years old (4.31%), and followed by 35 to 39 years old (3.90%). On the other hand, chromosomal abnormalities were most frequently noted in abnormal ultrasonographic findings (7.02%), previous history of aneuploidy (5.88%), and followed by advanced maternal age (3.95%).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although advanced maternal age is still important indication in midtrimester amniocentesis for prenatal diagnosis, abnormal maternal serum markers and ultrasonographic findings might be also important as indications. Therefore, they should be considered in prenatal genetic counseling.

      • KCI등재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를 동반한 임산부 94예의 임신 경과 및 산과적 고찰

        안현영 ( Hyun Young Ahn ),김연희 ( Yeon Hee Kim ),길기철 ( Ki Chul Kil ),박인양 ( In Yang Park ),이귀세라 ( Guisera Lee ),김사진 ( Sa Jin Kim ),박성환 ( Sung Hwan Park ),신종철 ( Jong Chul Shi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2

        목적: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가 합병된 임신에서의 임신 결과를 평가하고 불량 주산기 예후 중 조기분만과 임신 중 루푸스 악화와 관련한 임상적, 실험실적 요인을 조사하여 루푸스 환자에서의 임신이 태아와 모체에 미치는 영향과 임신 결과, 임신이 루푸스의 경과에 미치는 영향, 임신 시 임상적, 혈청학적 지표의 변화와 임신 및 태아의 예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7년 1월부터 2004년 9월까지 가톨릭대학교부속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와 류마티스 센터에서 임신을 경험한 환자 중 임신 경과와 루푸스 병력 기록이 추적 가능한 60명의 환자들의 총 94예의 임신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임상적 증상과 증후, 혈액, 면역, 혈청학적 검사 수치로 루푸스의 경과를 평가하였으며, 임신의 임상 경과 및 결과와 산과적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5.0 V을 사용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Fisher`s exact검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임신 당시 평균 연령은 30.01±3.49세 (22~39)였으며, 질병 이환 기간은 평균 69.36±47.18개월이었다. 총 74예 (78.7%)의 생존 출생아, 11예 (11.7%)의 자연유산, 2예 (2.1%)의 치료적 유산과 4예 (4.2%)의 사산이 발생하였고 47.4%의 제왕절개분만을 보였다. 제태 연령 20주 이상의 임신에서 산과적 합병증으로 조기분만이 17.9%, 전자간증이 26.9%, 자궁내 발육제한은 20.5%였고 31예 (39.7%)는 합병증이 없었다. 태아 및 신생아 합병증으로 12예의 일과성 신생아 루푸스와 조기분만에 따른 신생아 사망이 2예 발생하였고 정상 신생아는 51예였다. 결론: 임신 전 저C4보체혈증, 심근염, 흉막염, 임신 시 활동성의 루푸스 질환, 항인지질항체 증후군은 조기분만과 관련있고 루푸스 신염, 단백뇨, 혈뇨, 그리고 임신 당시 활동성의 루푸스는 임신 중 루푸스 악화와 유의하게 관련이 있다. 그러나 루푸스 여성의 임신에 경험이 풍부한 각 전문 분야의 팀에 의해 루푸스 추적 관찰과 분만이 이루어지면, 임신 중 루푸스의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maternal and fetal outcomes in pregnant women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and to evaluate clinical and laboratory markers for preterm birth and lupus flares. Methods: 94 pregnancies of 60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from Jan 1997 to Sep 2004. We used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from the medical records and statistics analysis by Chi-square test, using SPSS 15.0 V. Results: Pregnancy resulted in 74 (78.7%) live births, 11 (11.7%) spontaneous abortions, 2 (2.1%) therapeutic abortion, and 4 (4.2%) stillbirths. Thirty-seven cases (47.4%) were delivered by cesarean section. Obstetric complications included 17.9% of preterm births, 26.9% of preeclampsia, and 20.5% of IUGR. There were 31 (39.7%) uncomplicated cases among the pregnancies over 20 gestational weeks. There were 12 of transient neonatal lupus, 2 of neonatal death due to prematurity, and 51 of normal births. Low C4, myocarditis, pleural effusion prior to pregnancy, activity at conception, antiphospholipid antibody syndrom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eterm birth. The maternal long-term effect of pregnancy was poor, because 44.7% were in deterioration of cardiovascular, hematologic or renal function after delivery. Lupus nephritis, proteinuria, hematuria, and activity at concep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upus flare during pregnancy. Conclusion: Pregnant women with active SLE at conception should be intensively monitored with maternal and fetal surveillance. It is essential to control disease activity during pregnancy. However, adequate pregnancy follow-up and delivery care by multidisciplinary effort with experience in management of patients with SLE resulted in a better outcome of lupus pregnanc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