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남부지방의 강수량 이동평균과 지하수위의 상관관계

        양정석 ( Jeong Seok Yang ),안태연 ( Tae Yeon Ahn ) 대한지질공학회 2008 지질공학 Vol.18 No.4

        한국의 남부지방인 경상남도와 전라남도에서 강수량과 지하수위의 관계를 분석해보고 강수량 이동평균과 지하수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한국 남부지방의 여러 관측소에서 지하수위를 분석한 결과 지역적으로 다소 다른 지하수위의 계절적인 변동을 보여주었다. 지하수위는 강수량이 적은 봄철에 떨어지고 여름철 풍수기에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나 그 변동 폭은 지역별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지하수위와 강우이동평균의 상관관계를 여러 관측소의 자료로 분석한 결과 20일에서 130일 범위의 이동평균값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유역평균 일최대침투량인 한계침투량은 한국 남부지방에서는 10 mm에서 90 mm 범위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계침투량을 고려해서 수정된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이동평균을 구하여 지하수위와의 상관관계를 구해본 결과 이동평균일의 범위는 10일에서 150일 이었고, 한계침투량을 고려했을 때 더 큰 상관계수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and goundwater level were analyzed for the southern area of Korean peninsular. There were somewhat different patterns of seasonal fluctuation of groundwater level data. The groundwater level data tends to decrease in dry spell and increase in wet spell however the range between maximum and minimum values is quite different for each gauging point. The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 for each gauging station is obtained in a range of 20- to 130-day moving average period of precipitation. The critical infiltration, which is the maximum daily infiltration averaged throughout watershed, value is turned out to have the range of 10 to 90 mm and the moving average period is 10 to 150 days. We could have stronger correlation when we consider critical infiltration and modify the original precipitation data than we use original precipitation data.

      • KCI등재
      • KCI등재

        금강유역에서의 지하수위와 강수량 이동평균의 상관관계 분석

        양정석 ( Jeong Seok Yang ),안태연 ( Tae Yeon Ahn ) 대한지질공학회 2008 지질공학 Vol.18 No.1

        금강유역의 관측소로부터 수집된 강우자료와 지하수위자료를 분석하고 두 자료를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강우사상이 지하수위에 미치는 영향분석을 추계학적 기법인 이동평균법을 사용하여 지하수위와 강우이동평균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지하수위는 강우의 계절적 분포를 대체로 따르며 대체로 12월 초부터 4월 말까지 낮은 지하수위를 형성한다. 7월과 8월의 풍수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지하수위를 형성한다. 선행강우를 고려하기 위한 강우이동평균값과 지하수위의 상관관계는 자료의 길이가 최소 2년 이상인 지하수위 관측소를 먼저 선정하였다. 강우와 지하수위 관측소 pair를 선정함에 있어 강우의 비균질한 분포를 고려해서 지하수위 관측소보다 상류에 인접한 강우관측소를 선정하여 두 자료를 분석하였다. 금강유역의 여러 관측소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동평균기간이 10일에서 150일 범위의 값을 가질 때 최대상관계수를 가졌다. 상관계수값은 자료의 질이나 결측기간 또는 융설이나 다른 요인에 의해 넓은 범위의 값을 가지는데 금강유역의 경우 최대 0.8886의 값을 가진다.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data sets from Kum river watershed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was analyzed. Moving averaging technique is stochastic method and that was used to consider the effect of precipitation events on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Groundwater level generally follows seasonal precipitation pattern and low level occurs from early December to late April. Relatively high groundwater level is appeared in wet spell (July and August).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to consider precedent precipitation events was analyzed with minimum two-year data sets. When the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data set pair was selected the precipitation gauge station is closely located to groundwater level gauge station in the upstream direction to minimize the non-homogeneous precipitation distribution effect. The maximum correlation was occurred when the averaging periods were from 10 days to 150 days with Kum river watershed data.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re influenced by data quality, missing data periods, or snowmelt effect, etc. The maximum coefficient was 0.8886 for Kum river watershed data.

      • 한계침투량을 고려한 금강유역의 강수량 이동평균과 지하수위의 상관관계

        양정석(Jeong-Seok Yang),안태연(Tae-Yeon Ahn),박재현(Jae-Hyeon Park),박창근(Chang Kun Park)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10

        금강유역의 강수량과 지하수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갈수기에 지하수위가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낙동강유역의 여러 관측소에서 지하수위와 강우이동평균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20일에서 180일 범위의 이동평균값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유역평균 일최대침투량을 알아내기 위하여 강수량자료를 일정값 이상은 고정하여 수정된 강수량자료로 이동평균값을 구하고 이 값들과 지하수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10㎜에서 170㎜ 범위의 일최대침투량으로 가정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렇게 수정된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이동평균을 구하여 지하수위와의 상관관계를 구해본 결과 낙동강유역의 자료에 대해서 한계침투량을 고려했을 때 상관관계가 더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쓰기 답안에 나타난 담화 특성 분석

        안태연,박재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쓰기에 나타난 담화 능력을 파악하여 문법이나 어휘의 정확성이 아닌 담화적 측면에서 나아가야할 영작문 지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체계기능언어학(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에 기반한 의미․기능 중심 접근법을 통해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쓰기 답안을 분석하여 고등학생들이 사용한 다양한 언어 요소를 글의 전체적인 맥락 안에서 살펴보고 학습자 작문에서 발견된 담화적 특징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NEAT 3급 문항 유형 중 문단 단위의 글쓰기를 요구하는 ‘편지 쓰기’와 ‘그림 묘사 및 추론하여 글쓰기’의 답안을 점수대별로 각 100개씩 선정한 후 문법과 기능을 연계시킨 체계기능언어학에 기반한 분석틀을 활용하여 내용 제시, 저자의 시각과 태도 제시, 담화의 구성 영역에서 답안에 나타난 작문 특성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내용적, 대인적, 텍스트적 의미 전달에 있어 학생들이 다양한 언어 요소를 사용하여 자신의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를 영어 글쓰기를 통해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고, 글의 유기적 흐름을 위한 학생들의 담화 구성 능력도 향상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NEAT 쓰기 답안 분석 결과가 고등학교 영작문 지도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체계기능언어학에 근거한 의미․기능 중심의 영어 쓰기 지도 방안의 도입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discourse feature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nd to suggest ways of teaching English writing with a focus on discourse competence. To this purpose, student answers to NEAT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writing items were analyzed to discover the linguistic resources used by the students from a discourse analytic perspective. To develop an analytical framework, we drew on notions from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in which linguistic items are treated as inseparable from the meanings and functions they carry. Within this framework, student writings were analyzed in three areas: presentation of content, the writer’s stance and attitude, and the organization of discours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tudents have limited ability in utilizing various linguistic resources needed for effective communication of meaning in their writing.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an approach to teaching English writing that emphasizes the meaning and functions of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