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쁜 법은 법이 아닌가

        안준홍 한국법철학회 2012 법철학연구 Vol.15 No.2

        “What is law?” “Is a morally bad law not law?” These questions are related to the problem of a proper ‘point of view’ to understand law and so the key-methodological problem of jurisprudence. Today non-positivist theorists like R. Alexy and R. Dworkin maintain that the participant's, especially the judge's, point of view should be the salient perspective in jurisprudence. However, the problem of “What is law?”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How should a case be adjudicated?”, “Should we (or I) obey the law and adjudication?”, and “What is a morally good law” and so on. If we lump all the fundamental questions of jurisprudence together into one and only question of “What is law?”, we would miss many important aspects and relations in law. So it is desirable to distinguish the various areas and choose proper perspectives or methodologies in each area. Further, the ‘description and conceptual analysis’ will be the proper method to tackle the problem of ‘What is law’. This is because with such a methodology we can anticipate an answer working as a common background or starting point for investigation of other areas. Thus we can say that the positivistic approach is appropriate to that problem and that a ‘bad law’ is also law, albeit a bad one. ‘법이란 무엇인가’, ‘나쁜 법도 법인가’ 하는 문제들은 어떤 관점에서 답을 하는 것이 적절할까? 현대의 대표적인 비법실증주의 이론가들은 참여자의 관점, 특히 법관의 관점에서 그 문제에 답을 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한다. 이는 무엇이 법인지는 현상을 관찰하여 기술(記述)할 것이 아니라 정치도덕적인 가치판단을 기초로 답하여야 한다고 하는 방법론에 기초한 주장이기도 하다. 하지만 ‘법이란 무엇인가’ 하는 문제는 재판을 어떻게 하여야 하는지, 법과 재판을 따라야 하는지, 좋은 법은 어떤 것인지 하는 문제들 또는 문제영역들과 구별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지 않고 법의 여러 근본적인 문제들을 하나의 관점에서 하나의 방법으로 뭉뚱그려서 해결하여 답하려고 들면, 복잡한 사회적인 현상인 법의 여러 층위와 측면들을 제대로 보지 못 하게 되어서 오류를 낳고, 생산적이지 못할 위험이 있다. 이렇게 법철학의 여러 문제영역들을 구별할 때, 법이 무엇인지는 도덕적인 가치평가를 개입시키지 않고 관찰하여 기술하고 개념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럼으로써 도덕적 가치평가를 수반하거나 핵심적인 방법으로 삼는 여타 문제영역들에 접근할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법이란 무엇인가’에 대하여는 법과 도덕을 구별하여 설명하는 법실증주의 방법으로 답하는 것이 적절하고, ‘나쁜 법’도 ‘나쁜’ ‘법’이라고 일단 답을 하는 것이 타당하겠다.

      • KCI등재

        법규칙과 법원리를 질적으로 구별할 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안준홍 한국법철학회 2008 법철학연구 Vol.11 No.2

        A legal system consists of different kinds of norms. Exponents of the Non-positivistic theory of legal principles give salience to the distinction between legal rules and legal principles. They assert that (i) legal rules and legal principles are logically different, (ii) those background-norms which determine the validity and content of legal rules are legal principles even though they do not have social sources or convention, and (iii) legal principles eliminate or curtail the judicial discretion. As the criteria of the logical distinction between legal rules and legal principles, the Non-positivistic theory of legal principles suggests (i) whether a norm determines or just directs a legal decision, (ii) whether a norm turns out invalid or just yields to another norm when a norm-conflict happens, (iii) whether a norm is definite in its content or an ideal ought which claims to be maximally realised both factually and normatively. Those differences reveal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application or interpretation of norms. However, because (i) there may be neither a norm without being a concretization of a value, nor a value without any definite content, (ii) substantial interaction may happen between legal rules and legal principles, (iii) if being a background reason in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of the validity and content of a legal norm, not the indeterminacy of content matters, then the distinction is a matter of empirical tendency not logic, the logical distinction of legal rules and legal principles cannot be maintained. The distinction is a matter of degree, not of logic. And the question whether to recognize a value as such to be a legal norm still remains. A legal system consists of different kinds of norms. Exponents of the Non-positivistic theory of legal principles give salience to the distinction between legal rules and legal principles. They assert that (i) legal rules and legal principles are logically different, (ii) those background-norms which determine the validity and content of legal rules are legal principles even though they do not have social sources or convention, and (iii) legal principles eliminate or curtail the judicial discretion. As the criteria of the logical distinction between legal rules and legal principles, the Non-positivistic theory of legal principles suggests (i) whether a norm determines or just directs a legal decision, (ii) whether a norm turns out invalid or just yields to another norm when a norm-conflict happens, (iii) whether a norm is definite in its content or an ideal ought which claims to be maximally realised both factually and normatively. Those differences reveal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application or interpretation of norms. However, because (i) there may be neither a norm without being a concretization of a value, nor a value without any definite content, (ii) substantial interaction may happen between legal rules and legal principles, (iii) if being a background reason in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of the validity and content of a legal norm, not the indeterminacy of content matters, then the distinction is a matter of empirical tendency not logic, the logical distinction of legal rules and legal principles cannot be maintained. The distinction is a matter of degree, not of logic. And the question whether to recognize a value as such to be a legal norm still remains.

      • 납기지연을 고려한 수송단위에 의한 수송량의 결정 모형

        안준홍,박우철,최경현 한국경영과학회 2000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1

        본 연구에서는 정적시간하에서 다품종을 생산하는 다수의 공장과 수요지가 있을 때, 각 공장의 생산량과 각 수요지로의 수송단위의 수를 결정하는 문제에서 납기지연비용 및 수송비용을 최소화하는 수송량을 결정하는 새로운 수리 최적화모형을 제안한다. 이 모형에서는 기존과는 달리 제품수송단위별 비용을 적용하고, 또한 납기지연에 따른 벌칙비용을 고려함으로써 보다 실제적인 응용이 가능토록 하였다.

      • KCI등재

        법실증주의 재판이론의 개방성에 관하여

        안준홍 한국법철학회 2024 법철학연구 Vol.27 No.1

        이 연구는 법실증주의와 재판이론 사이에 필수적인 연관이 없으며, 법실증주의는 재판이론에 개방적이라고 주장한다.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판에는 법규범만이 아니라 여타의 규범들도 작동한다. 둘째, 당위론적 법실증주의와 달리 분석적 법실증주의는 법과 도덕의 구별을 재판과정에 규범적으로 요구하지 않으며, 법원론(法源論)과 재판이론을 구별한다. 셋째, 분석적 법실증주의와 재판이론은 목적과 방법에서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분석적 법실증주의는 법의 여러 속성을 관찰자의 관점에서 기술하고자 하는데, 재판이론은 실천적으로 합리적인 재판을 할 방법을 모색한다. 그리고 전자는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성격을 가지는데, 후자는 구체적이고 지방적인 성격이 강하다. 이론의 가변성도 후자가 전자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분석적 법실증주의와 재판이론 사이에 필수적인 연관은 없다. 부분의 개방적 속성은 전체에 대하여 귀속할 수 있고, 법과 도덕의 분석적 구별은 법실증주의에 공통된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분석적 법실증주의가 재판이론에 관하여 가지는 이러한 개방성을 법실증주의 일반에 귀속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고찰을 바탕으로 하면, ‘진리가 아니라 권위가 법을 만든다’는 홉스의 주장을 법실증주의 일반에 고유한 재판이론은 없으며 법실증주의는 재판이론에 개방적이라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study argues that there is no essential connection between legal positivism and legal methodology, and that the former is open toward the latter.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not only legal norms but also other norms including morality are considered in trials. Second, unlike normative legal positivism, analytical legal positivism does not normatively require the distinction between law and morality in the trial process, and distinguishes between theory of law and legal methodology. Third, analytical legal positivism and legal methodology differ in purpose and method as follows. Analytical legal positivism attempts to describe the various properties of the law from the perspective of an observer, while legal methodology seeks ways to conduct a practically reasonable trial. And while the former has a general and universal character, the latter has a strong specific and parochial character. The variability of the theory is also much greater in the latter than in the former. Therefore, there is no essential connection between analytical legal positivism and trial theory. The open nature of the part can be attributed to the whole, and the analytical distinction between law and morality can be said to be a common element of legal positivism. Therefore, the openness that analytical legal positivism has to legal methodology can be attributed to legal positivism in general.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we can understand Thomas Hobbes’ assertion that “authority, not truth, makes the law” to mean that there is no legal methodology that is unique to legal positivism in general and that legal positivism has the openness to the theory of adjudication.

      • KCI등재

        중·고령층 근로자의 퇴직 후 노동시장 복귀 및 재취업 결정 요인에 대한 분석

        안준홍,이태 한국노동경제학회 2022 勞動經濟論集 Vol.45 No.3

        본 연구는 중·고령층의 주된 일자리 퇴직 후 노동시장 재진입 및 재취업 결정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다. 특히, 중·고령층 퇴직자 개인의 이질적 특성 을 분석 모형에 반영하기 위해 다음의 사항을 고려하여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중·고령층의 노동시장 재진입 행태 분석에 있어 점진적 은퇴자를 기존 연 구보다 엄밀하게 정의하여 협의의 표본 선택에 따른 추정 편의를 최소화하였다. 그 결과 노동시장 재진입 희망에 대한 개인의 이질적 특성을 분석에 적절히 반 영하지 못할 경우, 점진적 은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효과가 전반적으로 과 대 추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근로자가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 어떠한 방 식으로 퇴직했는지를 분석 모형의 주요 변수로 활용하여 퇴직유형에 따른 개인 의 이질적 특성을 모형에 반영하였다. 주된 일자리에서의 퇴직유형을 기존 연구 보다 세분화(정년퇴직, 자발적 퇴직, 비자발적 퇴직)하여 분석한 결과, 비자발적 조기퇴직을 한 사람들이 자발적 조기퇴직을 한 사람들에 비해 점진적 은퇴와 재 취업을 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정년퇴 직 후 점진적 은퇴로 전환되는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본권 조항과 사법심사제도의 법적 의미 재론(再論)

        안준홍 한국법철학회 2009 법철학연구 Vol.12 No.1

        As Korea becomes democratic, the judicial review by the Constitutional court is active. However, skepticism about the legal status of the constitutional rights and the judicial review increases at the same time. The workings of the basic rights clauses of the Korean constitution are vague and open rather than clear and definite. Then are those clauses the institutionalized ideas of law rather than a kind of legal norms as legal principles? And is the judicial review a legislative work rather than an adjudicative one? The proponents of the exclusive legal positivism regard the basic rights clauses of the constitution as the institutionalized ideas of law, not legal norms. The legal interpretivism treats them as legal norms even when they are not codified or conventionally recognized as legal norms. The inclusive legal positivists regard them as legal norms because they are incorporated into the constitution. The inevitable subjectivism seems to be nearly fatal to the legal interpretivism. And the basic rights clauses also have some definite contents, and there are rooms for a citizen’s claim that a legal norm is unconstitutional to be accepted at the court. So the basic rights clauses can be seen as “incomplete legal norms as well as the institutionalized ideas of law”, and the inclusive legal positivism seems to be support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legal norms and the ideas of law is sublated as much. However we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ideas of an actual legal system and those of an ideal one may be different.

      • 특집_원자력 인력_부록 - 국제적으로 활약할 수 있는 인재 육성의 조건

        안준홍,An, Jun-Hong 한국원자력산업회의 2010 원자력산업 Vol.30 No.2

        본 부록은 일본의 "일간공업출판(日刊工業出版)프로덕션"에서 발행하는 <원자력(原子力) eye> Vol.56 NO.2(2010년 2월호)에 실린 특집물('글로벌 시대 돌입으로 급해지는 일본의 원자력 국제 인력의 육성 강화') 중에서 발췌한 원고이다. 일본 원자력계의 국제 인력 육성에 대한 시각의 일단을 엿볼 수 있는 참고 자료로서 게재한다.

      • KCI등재

        울펀든 보고서의 이중성에 관한 고찰

        안준홍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23 No.2

        The Wolfenden Report (the “Report”), which was submitted in 1957 by the Committee on Homosexual Offences and Prostitution (the “Committee”) that was set up in 1954 in the United Kingdom, is said to have set the stage for the famous Hart-Devlin debate on the normative relations between law and morality. This paper seeks to review the contents of the Report in general and, as part of such review, highlight specific problems that are discernible from the Report, so as to pave the way for further evaluation and critique of the Hart-Devlin debate. The Report treats homosexuality and prostitution in a discriminatory manner. As to homosexual offences, the Report closely examines the nature and causes of homosexuality and, through conscious efforts to distance homosexuality away from the customary morality, recommends decriminalization of its core part. As to prostitution-related offences, however, the Report firmly endorses and supports the customary morality that prostitution is immoral and thus, devotes itself to finding ways to drive it off the streets. On a superficial level, such discriminatory treatment appears to conform to the Committee's self-guiding principle (the “Principle”) (which was enacted by the Committee to address the issues associated with homosexuality and prostitution) to the effect that "[c]riminal law should not engage in individual morality unless public interest matters." On a deeper and more substantive level, however, such conformity seems distorted – in relation to homosexual offences, the Principle was used by the Committee to decriminalize what was otherwise a crime, whereas, in relation to prostitution, the same Principle was used by the Committee to aggravate the oppression on prostitution which is, in itself, legal. Lying beneath the surface of such discriminatory treatment are two assessments that were simultaneously made and consistently applied by the Committee – first, that homosexuality is not, in itself, immoral and second, that prostitution is, in itself, immoral. Such finding raises several issues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which the Commission has used to help deal with homosexuality and prostitution. First, contrary to what is commonly known, there is a risk that the Principle will be used in an anti-liberal manner. Second, while the Principle suggests that criminal law shall be engaged only when an act in question infringes the public interest or the interests of others without making a moral judgment of that act, it is doubtful as to whether an act in question could in fact be considered separate and apart from the moral judgment pertaining (or attributable) thereto. Third, then, the Principle raises the question that it is of little use in determining the area of free action that criminal law should not be involved. It is expected that scrutinizing these issues would constitute the much needed groundworks for further evaluation and critique of Hart and Devlin's arguments and accordingly, add more depth to ou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normativ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morality. 1954년 영국에서 설치된 “동성애범죄와 성매매에 관한 위원회(울펀든 위원회)”가 1957년에 제출한 보고서(울펀든 보고서)는 법과 도덕의 규범적 관계에 관하여 유명한 하트-데블린 논쟁의 계기가 되었다. 이 연구는 그 논쟁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발전시키기 위해서 울펀든 보고서의 내용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그로부터 드러나는 하나의 문제를 지적하고자 한다. 울펀든 보고서는 동성애범죄와 성매매를 차별적으로 다루었다. 동성애범죄에 관하여는 동성애의 성격과 원인을 섬세하게 검토해서, 그것이 부도덕하다고 보는 관행도덕으로부터 거리를 두려고 노력을 기울이고, 그 결과로 동성애범죄의 핵심 부분을 비범죄화할 것을 권고하였다. 반면에 성매매에 관하여는 그것이 부도덕하다는 관행도덕을 확고하게 지지하면서, 그것을 길거리에서 내쫓을 방법을 찾는 데 몰두하였다. 동성애와 성매매에 대한 이런 차별 대우는 울펀든 위원회가 그 문제들을 다룰 원칙으로 제시한 “공익이 문제되지 않는 한, 형법은 개인의 도덕문제에 관여하여서는 안 된다”는 전제에 표면적으로는 부합하여 보인다. 그러나 그 원칙은 실질적으로는 동성애는 범죄이던 것을 비범죄화하는 반면에 그 자체로는 합법적인 성매매에 대한 금압을 가중하는 쪽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그런 차별대우의 배경에는 동성애를 그 자체로는 부도덕하지 않다고 하는 평가와 성매매는 그 자체로 부도덕하다는 평가가 일관되게 작동하였다. 이런 발견은 울펀든 위원회가 동성애와 성매매 문제를 다룰 원칙으로 제시하였던 것에 대하여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한다. 첫째는, 흔히 알려진 바와 다르게 그 원칙이 반(反) 자유주의적으로 사용될 위험이 있다는 점이다. 둘째는, 그 원칙은 어떤 행위의 도덕성을 문제삼지 않고서 그 행위가 공익이나 타인의 이익을 침해할 때에만 관여한다고 하지만, 실은 문제된 행위 자체의 도덕성 판단과 분리되어서 작동할 수 없는 것이 아닌가 하는 점이다. 셋째로, 그렇다면 그 원칙은 형법이 관여하면 안 되는 자유로운 행위영역을 판별하는 데 별 쓸모가 없지 않은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이 문제들에 대한 검토는 하트와 데블린의 논쟁을 평가하고 법과 도덕의 규범적 관계에 관한 성찰을 심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