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도서관의 공간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안준석,Ahn, Joon-Suk 한국교육시설학회 2014 敎育施設 Vol.21 No.6

        Korean academic libraries are facing serious space shortage problems due to an inability to accommodate for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printed materials. Despite the current situation, Korean academic libraries have largely focused on im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new library paradigm, using technology or management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research and learning environments of the university. However, such improvements would be fruitless without first resolving the space shortage crisis. In order to make realistic improvements to the quality of academic libraries,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s to employ the opinions of librarians currently practicing at such Korean libraries. Survey questionnaires about types and causes of space shortage problems, library facility expansion plans, expected effects of expansion, frequency of and reasons for furniture relocation, and tight spaces needing improvement were distributed to selected 4-year college librarians through Google Drive. Analysis of survey responses indicated that library space shortage was largely responsible for the hindrance of research and learning environments. Furthermore, it reflected the urgency to secure book storage spa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공간효율 개선을 위한 폐가식 도서관 운용 -지역 대학도서관 시설을 중심으로-

        안준석 한국농촌건축학회 2016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18 No.4

        Since the users have direct access to search and browse freely, the open access system has been employed to all the usual modern libraries. However, library space shortage problem created by the continuously increasing printed materials caused the degradation of usability and quality of the library space. Open Access system is superior in user convenience but is inferior in space efficiency. Keeping the open access system is considered as one of the reasons of the space shortage problem. Even though the closed access system does not provide free access or easy browsing for the uses, it’s space efficiency is much higher than the open access system. The closed access system should be employed as a plan to relieve space shortage problem. Since the closed access system does not allow the public direct access to books, it is very economical. It also provides much better space efficiency with higher book shelving density. In this article, closed access library system models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as the reduction plans for the library space shortage problems.

      • KCI등재

        개가식 도서관의 공간효율 제고 방안 - 지역 대학도서관 서고 공간을 중심으로 -

        안준석 한국농촌건축학회 2015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17 No.4

        Due to an inability to accommodate for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printed materials, Korean academic libraries are facing serious space shortage problems. Very few academic institutions have the funds to expand existing libraries or construct new facilities in order to accommodate the influx of printed materials. Despite not having the luxury to create new space, many establishments continue to implement the open access system. Seeing that such a system is only user friendly when used in a spacious facility, the maintenance of the open access system is unreasonable. Only few libraries consider the space efficient closed access system which helps to resolve storage space shortage. In the current state of the problem, improving the efficiency to which books are stored in existing storage areas within a library facility is the only appropriate solution. Enacting methods to improve physical space utilization within a fixed volume library facility will undoubtedly diminish the space shortage issue at hand. In this article, several space efficiency improvement approaches are discussed. Methods of book storage plan re-layout (floor, plan, ceiling, height, bookshelf design), book arrangement possibilities, and the reduction of the physical volume of reserved materials are each examined.

      • KCI등재

        적정 건물 설계를 위한 Target Costing 개념 제안

        안준석 한국건축시공학회 2010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0 No.6

        Target Costing(목표원가)은 변화가 심한 시장상황을 위해사용되는 새로운 원가 관리 방안으로 시장 상황에 따라 제품의 가격을 고정하고, 고정된 제품가격에서 기업의 이익과 비용을 차감함으로써 산출하는 시장 지향적 원가산출 방법이다. 본 논문은 프로젝트 개발에서부터 원가 관리의 개념을 도입하는 Target Costing의 개념을 고찰함을 목적으로 한다. “낭비의 최소화, 가치의 최대화“는 프로젝트의 기획 단계에서건물의 적정 설계 가이드라인을 설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효과적 예산 관리 방법은 한국의 호화청사 건설 문제를 타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arget Costing is a modern cost management technique used in changeable market conditions. The target cost is set by subtracting the sum of production costs and profits from the market price.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is to review Target Costing as a useful concept which integrates the project development process with cost management. “Minimum Waste, Maximum Value” could be achieved by setting up guidelines for optimal building design at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development phase. This effective budget management method will help rectify Korea's overspending problems in the area of government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 KCI등재

        불안 장애와 주요우울장애에서 나타나는 신체 증상과 증상군에 따른 자살 사고, 계획, 행동과의 관계 고찰

        안준석,김은영,조맹제,홍진표,함봉진,정인원,안준호,전홍진,성수정,이동우,Ahn, Jun Seok,Kim, Eun young,Cho, Maeng Je,Hong, Jin Pyo,Hahm, Bong-Jin,Chung, In-Won,Ahn, Joon-Ho,Jeon, Hong Jin,Seong, Su Jeong,Lee, Dong-Woo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6 정신신체의학 Vol.24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불안장애와 주요우울장애 및 불안장애와 우울장애가 동반된 중복 진단군의 신체 증상의 빈도와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여러 신체 증상군과 자살 사고, 자살 계획, 자살 시도와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방 법 본 연구는 국가적 역학조사연구인 2011년 정신질환 실태 역학 조사 연구(Korean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Study-2011, KECA-2011)에 참여한 만 18세 이상에서 74세 이하의 참여자 6027명 중 지난 1 년 동안 주요우울장애 또는 불안장애의 진단 기준을 만족 하면서, 같은 시기에 최소 1가지 이상의 신체증상을 호소한 3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후 조사된 신체 증상을 통증 증상군, 소화기 증상군, 가성신경학적 증상군의 세군으로 분류하여, 각 증상군에 따른 자살 사고, 자살 계획 및 자살 시도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면담 도구로는 한국어판 CIDI를 사용하였으며, 이 중 신체 증상에 대한 항목이 포함된 C장과 자살관련 항목이 포함된 S장의 일부 질문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결 과 진단별로 신체 증상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주요우울장애에서는 흉통(p=0.016, 95%CI)이, 불안장애에서는 두통(p=0.004, 95%CI)과 묽은 변이나 설사를 나타내는 증상(p=0.018, 95%CI)이, 주요우울장애와 불안 장애의 중복진단군에서는 균형을 잡기 힘든 것(p=0.006), 기절할 것 같은 느낌(p=0.020, 95%CI), 기억을 잃음(p=0.034, 95%CI)의 증상이 유의하게 많았다. 자살 계획의 경우 통증 증상군에서 자살 계획이 있었던 군의 증상의 평균 개수가 계획이 없는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26, 95%CI). 자살 시도의 경우 소화기 증상군(p=0.004, 95%CI) 및 가성신경학적 증상군(p=0.013, 95%CI) 에서 자살 시도가 있었던 군의 증상의 개수가 시도가 없었던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자살 사고, 자살 계획, 자살 시도로 갈수록 각 증상군의 신체 증상의 평균의 개수는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결 론 본 연구는 불안장애와 주요우울장애의 신체증상의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증상의 개수가 자살 사고에서 자살 계획, 자살 시도로 진행되는 단계로 갈수록 증가하며 일부 증상군에서는 자살 계획과 자살 시도의 유무의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비 정신과적 임상 현장에서 다양하고 많은 숫자의 신체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의 경우 정신과적인 적극적인 평가 및 자살 위험도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difference of somatic symptoms of anxiety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domainal association with suicidal idealization, plan, and attempts. Methods : A total of 359 adults diagnosed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anxiety disorder of last one year participated. Participants interviewed with certain sections of Korean version of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of CIDI. Sections of interests includes questionnaires regarding somatic symptoms and suicidal idea, plan and attempts of last one year. Results : Chest pain shows more prevalence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Symptoms of Headache and loose stool are more prevalent in anxiety disorder. Difficulty in equilibrium and fainting spells are more common somatic complaints of co-diagnosis states of anxiety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Comparing 3 domains of pain symptoms,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pseudo-neurological symptoms, pain symptom domains, gastrointestinal symptoms domain shows significant statistic difference between diagnosis. Average somatic symptom numbers of each symptom domains increase through suicidal idealization, plan and attempt, accordingly. Conclusions : Our finding shows some of somatic symptoms are more prevalent at certain diagnosis. Since increasing numbers of somatic complaints of each symptom domains goes with the suicidal idealization to suicidal attempts, proper psychiatric evaluation and consultations are crucial for patients with numerous somatic complaints in non-psychiatric clinical settings.

      • KCI등재

        집합 주거공간의 생활소음 측정과 거주자 체감도 조사의 융합적 분석에 관한 연구

        안준석(Ahn, Joon Suk),신윤석(Shin, Yoon Seo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2 No.-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한국에서는 도시로의 인구 집중으로 인한 높은 인구밀도와 그에 따라 집합 주거공간인 공동주택이 높은 보급률을 보이고 있다. 국민의 인식은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쪽으로 변화하여 공동주택에서의 생활소음이 사회적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소음과 관련된 문제완화를 위하여 각 생활소음의 발생 특성과 공동주택 거주자가 인지하는 체감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주요내용,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두 요인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소음원별로 공동주택 거주자들이 각 소음원에 대해 소음 레벨, 발생 빈도, 평균 소음레벨 Peak시간대에 대하여 어떻게 느끼는 지를 조사하고 이 결과를 실제 소음발생 측정결과와 비교하는 융합적 분석방법을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실제 소음의 크기와 빈도 및 시간대와 거주자들이 상대적으로 느끼는 크기와 빈도 및 시간대가 상이한 것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소음 레벨과 발생빈도 모두에서 ‘가구, 의자 등을 끄는 소리’에 관한 실제 소음레벨과 빈도가 하위권에 머물렀음에도 거주자들이 소음레벨과 빈도가 높다고 응답하여 이런 소음들에 우선적인 조치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소음원별 관리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In Korea, main cities have very high population density due to population concentration, and the multi-unit dwelling, i.e. apartment, has been supplied to accommodate the population. For this reason, living noise emerged as a social problem as people began to put the quality of life fir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nvergence analysis of actual living noises measurement and resident"s perception survey at multi-unit dwelling. Then, the propose analysis method was applied in respect of noise level, frequency, and peak time.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noise sources were identified and a direction for future study was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