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구성 운동이 알코올 섭취 후 혈중젖산농도에 미치는 영향

        안정훈 한국운동과학회 2003 운동과학 Vol.12 No.3

        안정훈. 지구성 운동이 알코올 섭취 후 혈중젖산농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2권 제3호 391-397, 2003. 본 연구는 지구성운동이 알코올 섭취 후 혈중젖산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20대의 남자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운동집단 10명, 알코올 섭취집단 10명, 알코올 섭취 후 운동집단 10명의 세 집단을 구성하였다. 운동집단을 제외한 나머지 두 집단의 알코올 섭취는 알코올 농도 40%(J사의 S위스키)이며 섭취량은 150cc이다. 트레드밀운동강도의 설정은 최대하운동부하검사를 %70HRmax까지 실시하여 개인별 %60HRmax의 운동강도를 산출하고 운동집단과 알코올 섭취 후 운동집단에 적용하여 지속부하로 30분간 실시하였다. 혈중젖산농도의 측정은 알코올 섭취 후와 운동 후의 세 집단 모두 휴식 30분, 60분, 90분, 120분, 150분, 180분에 채혈하여 분석하였다. 알코올 농도 40%의 위스키 150cc를 섭취한 후에 운동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혈중젖산농도는 30분 후에 1.63mMol/dl, 60분 후에 1.94mMol/dl. 90분 후에 2.22mMol/dl로 낮게 나타났으나, 120분 후에는 2.51mMol/dl 까지 상승하다가 150분 후부터 2.39mMol/dl로 점차 낮아져 180분 후에는 2.31mMol/dl로 나타났다. 알코올 섭취 후 운동을 실시한 집단의 혈중젖산농도는 운동 후 30분 후에 3.44 mMol/dl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다가 60분후에는 3.29mMol/dl, 90분 후에는 2.82mMol/dl로, 운동집 단 90분후의 2.92mMol/dl보다 낮았으며 180분 후에는 2.19mMol/dl로 운동집단 2.36mMol/dl과 알코올 섭취집단 2.31mMol/dl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0). 따라서 알코올 섭취 후 지구성운동은 음주로 인해 증가된 혈중젖산농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An, J.H. The Effect of Endurance Exercise on Lactate Concentration in Blood after Alcohol Uptake. Exercise Science, 12(3): 81-397, 2003. In this study, to observe the change of lactate concentration in blood by endurance after alcohol uptake, 20 male collegers of 30 members were divided 10 members of controlled group and 10 members of alcohol uptake group, 10 members of alcohol uptake & endurance exercise group. An uptaken alcohol concentration were 40%(150cc). uptaken al were exercise alcohol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o measure the lactate concentration in blood, the treadmill exercise less than 60%HRmax was performed at the speed of 6mph for 30 minutes. The measure of lactate concentration in blood was after alcohol uptake before exercise, 30, 60, 90, 120, 150, 180 minutes. The lactate concentration in blood of the group who did not take exercise after drinking was lower level of 1.63mMol/dl 30 minutes after drinking, but it rose to 2.22mMol/dl 90 minutes after and it began to higher by degrees form 120 minutes after and reached at the level of 2.39mMol/dl. It began to lower by degree form 150 minutes after and reach at the level of 2.31mMol/dl at 180 minutes after. The lactate concentration of group who took exercise after drinking alcohol reached its maximum of 3.44mMol/dl 30 minutes after exercise, lowered to the level of 3.29mMol/dl 60minutes. and 2.82mMol/dl 90 minutes after exercise was lower than level of the not take exercise group after drinking. And at last 180 minutes after, it got to 2.19mMol/dl much lower than those of the non-exercise-taking group(p=.000). Although, these facts shows that exercise after drinking is very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lactic acid as well as alcohol concentration in blood.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운동참여제약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정서와 심리적 안녕 감의 매개효과

        안정훈,김상태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3

        이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중, 장년층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운동참여제약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 정서와 심리적 안녕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데 있었으며, 이를 위해 S시와 K도 지역 증, 장년층 생활체육 동호회원 236명을 대상으로 Baron & Kenny(1986)의 3단계 검증 방법을 통한 위계적 회귀분석과 소벨 테스트를 통해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연구에서 지속적으로 생활체육에 참여하였던 중, 장년층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운동참여제약과 긍정적 정서, 심리적 안녕 감 및 정신적 웰빙 간에는 정, 부적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운동참여 제약은 정신적 웰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참여제약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 정서와 심리적 안녕감은 부적인 매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들을 통해 코로나19 시대에 중, 장년 층 생활체육 동호회원들의 정신적 웰빙 수준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운동참여제약과 긍정적 정서 및 심리적 안녕 감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들의 수준을 제고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study was aimed at verifying whether positive emo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lay a role in the impact of exercise restrictions on mental well-being by middle-aged and elderly sports club members due to Corona19. To this e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indirect effect significance verification of Baron & Kenny (1986) for 236 members of S, K and older sports clubs are as follows through the Sobel test. In this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striction of sports participation and positive emotion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ental well-being of the elderly sports club members. Exercise participation restrictions have a negative effect on mental well-being, and positive emo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a negative impact on ment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raise the mental well-being level of middle-aged and senior sports club members in the Corona19 era,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ncepts of exercise participation restrictions, positive emo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哪吒 서사 이미지의 원형과 변형 과정 고찰(1) — 毗沙門天王과 李靖의 관계를 중심으로

        안정훈 한국중국학회 2023 중국학보 Vol.10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totype and process of change of the character image called “Nezha(哪吒)”, which is a character in Chinese classical novels and has recently become a famous icon of popular narrative culture. By the way, Nezha has become a major character in Chinese fantasy narratives, but in fact, he was not originally unique to China. Originally a faithful believer in Sakyamuni, India, he was later deified as a guardian deity who defended Buddhism. Then,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to China, Nezha was also introduced to China, which went through the process of Chineseization. Through this process of Chineseization, various changes have been made from the Buddhist guardian deity to the Taoist deity, or from the appearance of a scary monster with “six arms on three heads” in the Buddhist scriptures to the image of a naughty child in popular narratives. Therefore,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kind of originality Nezha eventually changed to the narrative image in the most recent hit <Nezha(2019)> and what social needs are reflected in the background of the change. Ancient Chinese culture, like a “culture melting pot” that turns foreign elements into Chinese, has been reborn as Chinese gods using Chinese Buddhism and Taoism as a means of Indian or Persian nationality. And in this process, the 'immigrant' 毗沙門 was integrated or replaced by 李靖, the 'Chinese 毗沙門'. Nezha, who first appeared as a subsidiary of the 'immigrant' 毗沙門, only had the status of being the son of 毗沙門, but did not have a various shape and role differentiated from 毗沙門. Then, as the “immigrant” 毗沙門 disappeared and 李靖, the “Chinese 毗沙門,” became the main object of the folk belief, Nezha was transformed into a three-dimensional character with a unique shape and unique motif, not an incidental existence of 李靖. Apart from the “托塔李天王” faith, the appearance of Nezha, who is active in 封神演義 , can be said to be a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Nezha faith, that has its own unique function and narrative in Chinese civil society. 이 논문은 중국의 고전 소설 작품 속 캐릭터이자 최근 대중 서사문화의 유명 아이콘이 된 ‘나타(哪吒)’라는 캐릭터 이미지의 원형과 변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哪吒는 중국 판타지 서사의 주요한 캐릭터가 되었지만, 사실 원래부터 중국 고유의 인물은 아니었다. 哪吒는 원래 인도 석가모니의 충직한 신도였다가, 나중에 불교를 수호하는 護法神으로 신격화된 캐릭터이다. 그러다가 불교가 중국에 전해지면서 哪吒 역시 중국으로 전해져 中國化의 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이러한 중국화의 과정을 통하여 불교의 호법신에서 도교 계열의 신으로, 혹은 佛經에 등장하는 ‘머리 셋에 여섯 개의 팔[三頭六臂]’을 가진 무시무시한 괴물의 모습에서 대중 서사 작품 속의 장난꾸러기 아이의 이미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변화의 과정을 만들어낸 것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결국 哪吒가 어떠한 원형으로부터 어떠한 변화 과정을 거쳐 가장 최근의 히트작인 <哪吒之魔童降世(2019)>에서의 서사 이미지로까지 변화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어떠한 사회적 요구가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는 작업이다. 중국의 고대 문화는 외래적 요소들을 중국화 시켜버리는 ‘문화의 용광로’답게, 毗沙門과 哪吒라는 인도 혹은 페르시아 국적의 異種 神格을 중국화된 불교와 도교를 수단으로 하여 중국의 神格으로 재탄생시켰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이민자’ 毗沙門은 ‘중국의 毗沙門’인 李靖으로 통합 혹은 대체되었다. 처음에 ‘이민자’ 毗沙門의 부수적 존재로 등장했던 哪吒太子는 毗沙門의 아들이라는 신분을 가졌을 뿐, 毗沙門과 차별화된 입체적인 형상과 역할을 가지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이민자’ 毗沙門이 사라지고 ‘중국의 毗沙門’인 李靖이 민간 신앙의 주요 대상으로 자리 잡으면서 哪吒는 李靖의 부수적 존재가 아닌 개성적인 형상과 독특한 모티브를 가진 입체적인 캐릭터로 변모하게 되었다. 封神演義 에서 좌충우돌 활약하는 哪吒의 모습은 ‘托塔李天王’ 신앙과는 별개로 중국 민간 사회에서 자신만의 고유한 기능과 서사를 가지게 된 哪吒 신앙의 문학적 재현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