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5세기 樂浪·帶方郡 故地의 中國地名 官號 출현 배경

        안정준(An Jeongjun) 한국고대사학회 201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6

        이 글에서는 고구려 내 樂浪·帶方郡 故地의 대표적인 중국계 망명인 고분들에 쓰여진 墓誌 자료를 검토하였으며, 여기에 나타난 중국 계통 이주 집단의 독특한 출신지 관념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동수·진 등이 칭했던 中國地名 官號의 출현 배경과 이들이 2군 고지에 안치된 배경을 알아보고자 했다. 화북 유이민 집단이 출신 州·郡·縣名을 堅持한 현상은 이들이 한반도에 넘어왔을 당시에도 이어졌으며, 그 地名들 가운데는 當代의 행정지명이 아닌 경우들도 더러 발견된다. 2군 고지의 동수와 진의 고분에서 과거의 주·군·현 단위 출신지명을 표기한 사례 역시 이주민인 이들의 보수적인 출신지 인식과 무관하지 않다. 또한 동수·진 등의 일부 망명인들은 고구려로부터 일정한 규모로 편성되어 각지에 안치된 이주민 집단들을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통할하는 정도의 역할을 위임받았으며, 자기 관할 하에 편성된 다양한 지역 출신 이주민들을 대표하는 과정에서 중국지명 태수·자사호를 칭했다고 생각된다. 다만 이것은 고구려가 2군 고지의 이주민 집단들을 정치적으로 방임한 결과라기보다는, 중국계 이주민의 한반도 유입이 장기간 이어지는 가운데,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했던 의도 속에서 이루어진 사회·문화적 ‘우대’의 차원에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In this article, I review the epitaph, written in the famous Chinese refugee of Nakrang (樂浪)·Daebang (帶方) Areas in Koguryeo, and pay attention to the unique Recognizing their native place. I looked at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China’s Tae-Su(太守) and Ja-sa(刺史) Titles in Chinese refugee graves, and why Koguryeo emigrated Chinese in the Nakrang (樂浪)·Daebang (帶方) Areas. The refugee of the North China maintained the name of the place of origin, and this phenomenon continued on the Korean peninsula. Some of them do not agree with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the same period. It is thought that the case where the past place of origin is shown in the tomb of Dongsu and Jin is reflected in conservative hometown recognition. Some high-ranking refugee played a role in directing immigrant groups stationed in a limited space of the Nakrang (樂浪)·Daebang (帶方) Areas. In the process of representing the Chinese immigrants under their jurisdiction, I think that they named the China’s Tae-su and Ja-sa as their own. However, this is not the result of Koguryo’s neglect of immigrant groups. This would have been a social and cultural preference for Koguryeo to positively accommodate the Chinese migrants who had been on the Korean Peninsula for a long time.

      • KCI등재

        高句麗의 樂浪·帶方 故地 영역화 과정과 지배방식

        안정준(An Jeongjun) 한국고대사학회 2013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9

        이 글은 고구려가 樂浪·帶方 故地를 지배하는 방식을 검토하여, 이 지역에 대한 지배가 단순히 일부 중국계 망명인이나 토착 유력자들과의 관계를 통해 이루어진 특수한 지배가 아니라, 4~5세기 고구려의 지방지배의 틀 속에서 타 지역과 공유되는 하나의 지배 유형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2郡 지역의 郡縣民 상당수가 漢人으로서의 정체성이 분명하지 않거나 중원 왕조에 대한 귀속 의식이 불분명한 다수의 토착 원주민들로 구성되었던 지역이었다는 점, 고구려가 1세기부터 2郡 지역을 집요하게 공략하여 4세기 전반 이래로 그 전역을 확고하게 장악하여 지배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4세기 초반 고구려가 2郡 故地를 장악해 가는 과정과 고고학적인 양상을 고려할 때, 이 지역의 토착적 기반으로 인해 오랜 기간 일부 중국계 유력자에게 2군 고지의 지배를 상당 부분 위임해야 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고구려는 4세기 전반 2郡 故地 권역을 관할하는 거점성을 두는 가운데 군 지휘관적 성격이 강한 지방관을 파견하였고, 새로 2군 고지에 안치된 중국계 망명인이나 土着 漢人, 혹은 非漢系 토착 유력자로 이루어진 수장층을 통해 예하의 주민들을 관할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수장층은 고구려로부터 일부 지역의 주민들에 대한 관할권을 부여받았으나, 정식으로 중앙에서 관직을 받아 지방관으로 활동했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예하 주민집단들처럼 스스로 이끌고 온 세력을 기반으로 존립하였을 것이다. 427년 평양 천도라는 특수한 사정으로 인해 이 지역에 대한 지배는 4세기 후반 이후 직접 지배 형태로 전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고구려가 그 이전까지 2郡 故地 권역에 거의 1세기 가까이 지배력을 점진적으로 확대해가는 과정에 있었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장기간 지속된 하나의 지배 유형이었을 가능성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by examining Goguryo"s ruling methods regarding the Nakrang and Daebang areas, I sought to raise the possibility that rule over this area was not a unique form of rule simply made possible through the relationships of Chinese refugees or native potentates, but rather a form of rule that was shared with other areas within the framework of 4th~5th century Goguryo"s district rulership. For this purpose, I developed my discussion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many of the people living in the area of the two gun (2郡) were mostly natives, neither sure of their identities as han (漢人) nor possessed of belongingness to the Kingdom; and the fact that Goguryo had targeted the two gun region with tenacity from the 1st century onwards and decisively taken over and dominated the entire area after the earlier part of the 4th century. When we take into consideration both Goguryo"s domination process over the two old lands, or go to of the two gun (2郡故地) in the early 4th century, and the archaeological presentation,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native foundations of this area were cause for the deferment of domination over the two gun"s old lands to a few Chinese potentates. In the early 4th century Goguryo had foothold castles whose jurisdiction included the specific area of the two gun"s go to, dispatched local officials strongly reminiscent of military commanders, and ruled residents under the banner of a group of leaders formed of Chinese refugees, naturalized han, or non-han native potentates. This group of leaders were granted jurisdiction over residents in some areas of Goguryo, but they do not seem to have acted as local officials from the central state, and they probably existed on the basis of forces they themselves had led or brought, such as the residents under their banner. Due to the unique circumstances of the change of the capital to Pyongyang in the year 427, domination over this area probably underwent transition to direct rule form after the latter part of the 4th century. But it is nevertheless difficult to say that Goguryo was in the process of incrementally expanding its power of rule over the two gun"s go to area for up to a full century, so the possibility that this was a form of rule sustained over a long term must be considered.

      • KCI등재

        오늘날의 낙랑군 연구

        안정준(An Jeongjun) 역사비평사 2016 역사비평 Vol.- No.114

        Recently a controversial issue over Korean ancient history in Korea from the public and some politicians has been raised.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topics is about the location of the Lo-Lang Commandery(樂浪郡) and the debate about whether the commandery can be considered as Chinese colonial rule over Koreans. Although the issue of colonialistic historical perspective attracted public attention, no attempts to define what the colonialistic point was and how Korean historians responded to such perspective in the study of Lo-Lang Commandery have so far have been made. Therefore, the author has examined previous research undertaken since Korean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n 1945 on the nature and location of the Lo-Lang Commandery(樂浪郡) and the fallacious arguments presented by pseudo-historians. Highlighting some problems in the arguments of pseudo-historians, the author also explores the influence and what remains of the colonial view of Korean history.

      • KCI등재

        6세기 고구려(高句麗)의 북위말(北魏末) 류이민(流移民) 수용과 "유인(遊人)"

        안정준 ( Jeongjun An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5 동방학지 Vol.170 No.-

        이 글에서는 『수서』 동이열전 고려조에 등장하는 ‘유인’의 실체를 검토해보았다. 우선 기존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중원 왕조와 영토를 맞대고 민간차원에서도 활발한 人的 이동이 이루어졌던 고구려의 국제적 성격과 그 사회 내의 주민이 갖는 다양한 존재 양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와 관련해 6~7세기에 화북 지역으로부터 고구려로 유입된 유이민(‘魏末流人’)의 존재를 ‘유인’과 관련지어 생각해 보았으며, 그 구체적인 사례로서 北朝와 隋·唐代에 작성된 墓誌銘 가운데 고구려에 망명했던 인물들의 기록들을 검토해보았다. 고구려는 6세기 이래로 장기간 유입되는 ‘魏末流人’의 지속적인 내투를 유도하기 위해 고위망명인에 대한 각별한 정치적 예우와 더불어 예하 주민 집단과의 유대 관계를 단절시키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고구려는 정착 초기의 이주민을 인위적으로 재편하지 않고, 유민수에게 한시적으로 관할권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 이들에게 정착할 토지를 지급하고 稅制상의 우대 조치를 해주었다. 이러한 조처가 유이민, 즉 ‘유인’에대한 3년 단위의 가벼운 인두세 부과(세포1필)조항으로 나타나게 되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historical facts about the Yu-in (遊人) people appeared in Sui-suo Koryojun (隋書 高麗傳).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existing studies, the study investigates active migrations between Koguryo and the Chinese Dynasty. This involved various residents in Koguryo society. With regard to the ``Yu-in`` people (遊人), the study examined Koguryo``s policy of Chinese emigration of the Late Northern Wei (北魏) Dynasty in the 6th century and explained it by giving specific examples with the texts of epitaphs inscribed during the period of Northern Dynasties (北朝), Sui (隋) and Dang (唐) Dynasty. According to Koguryo``s policy of Chinese emigration starting in the sixth century, it received a high-level political refugee with marks of distinction and let him lead a group of people under his contro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ddition, Koguryo gave his people land and reduced taxes for stable settlement without artificial reorganization. Koguryo also levied a poll tax on the Yu-in (遊人) every three years in the 6th century. Consequently, this was recorded in the official history of Sui-suo Koryojun (隋書 高麗傳).

      • KCI등재
      • KCI등재

        「李他仁墓誌銘」 탁본 사진의 발견과 새 판독문

        안정준(An Jeongjun) 고구려발해학회 2015 고구려발해연구 Vol.52 No.-

        「李他仁墓誌銘」은 1989년 1월, 섬서성 서안시 동쪽 근교의 唐代 墓에서 발견되었으며, 같은 해 陝西省考古學硏究所의 孫鐵山에 의해 처음 판독문이 공개되었다. 그의 논고를 통해 묘지명의 원문(簡體文)과 간략한 검토 내용은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묘지석의 실체 여부 및 이를 뒷받침할 탁본자료가 아직까지 공개되지 않은 탓에 그 원문을 사료로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일정한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최근에 필자가 중국의 고서(古書) 사이트(kongfz.com)에서 이타인 묘지명의 탁본 사진을 발견하였다. 탁본 사진을 통해 銘文들을 대부분 판독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기존의 판독을 재검토하고 일부나마 수정·보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묘지석의 실체를 확인해주는 이 탁본자료의 발견은, 일부 ‘불완전’했던 텍스트에 대한 의혹을 걷어내고, 향후 연구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일정한 의의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The Epitaph of Li Ta-in(李他仁) was found on Chinese Tang dynasty tomb, in the east of Shaanxi(陝西) province’s Xi’an city(西安市), at January 1989. In the same year, the text of inscription were first released on research paper written by Sun Tieshan(孫鐵山), affiliated to the Archaeological Survey of Shaanxi(陝西) province. This paper touches on the epitaph, but just only text of inscription and some pieces of information. This text is incomplete research data for historians because rubbed copies of it, which proves the existence of the epitaph, was not released till now. By the way, I newly found rubbed copies of the epitaph of Li Ta-in(李他仁) on website(kongfz.com), made by bookstore in China. In this website, I could find picture of rubbed copies of the epitaph, and read most the inscription of it. On that basis, we can recheck the former decoded inscription by Sun Tieshan(孫鐵山). This discovery could help researchers prove the existence of the epitaph, and gain undoubting inscription of it.

      • KCI등재후보

        해방 이후 민족주의적 관점의 한국 고대사 연구 사례와 문제점

        안정준 ( An Jeongjun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18 學林 Vol.42 No.-

        해방 이후에 진행된 한국 고대사 연구는 다른 시대사와 마찬가지로 식민사관의 극복과 한국사의 학술적 정립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목표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고대사 연구의 기존 문제의식과 지향점에 대해 여러 방면으로부터의 비판이 제기되었다. 특히 2003년 중국의 동북공정을 통한 고구려사 귀속문제에 대응하는 과정, 그리고 최근 유사사학자들이 촉발시킨 ‘상고사’ 논쟁에 대응하는 과정은 고대사 학계의 역사 인식이 갖는 문제들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다만 이러한 비판들은 고대사 이외의 연구자들로부터 제기된 것이었기 때문에 실제 연구의 현황에 대한 구체적인 지적은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필자는 최근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樂浪郡연구와 唐代고구려 백제 유민 묘지명 연구를 통해 기존 연구의 인식의 한계가 무엇이었으며, 최근 연구동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고대사 연구에 근대 국민국가 의식과 민족주의적 관점이 어떤 형태로 개입되었는지를 밝히고, 최근 연구의 전환을 통해 향후 지향해야할 방향이 무엇인지를 간략히 언급하였다. The study of Korea’s ancient history since 1945 was conducted for a periodical task of overcoming colonialism and establishing Korean history. However, since the 2000s, a variety of professionals have begun to criticize the traditional direction of metabolic research. In particular, the Chinese government’s response to the Goguryeo history issue through the Northeast Project in 2003 and the recent process of responding to the ‘Sangosa’ dispute sparked by pseudo-historians has served as an occasion to reflect on the problems of ancient history awareness. However, since the researchers who raised these criticisms did not major in ancient history, specific comments on the actual subjects of ancient history could not be made. I learned about the cognitiv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and how recent research trends have changed through the study of Lelang commandery (樂浪郡) and Epitaph Records in Tang Dynasty. Through this review, the influence of modern national consciousness and nationalistic view on ancient history research was reviewed and briefly commented on the direction to be pursued.

      • KCI등재

        ‘덕흥리벽화고분(德興里壁畵古墳)’의 현실 동벽(玄室 東壁)에 묘사된 ‘칠보행사도(七寶行事圖)’의 성격 검토

        안정준(An Jeongjun)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7

        본고에서는 북한 학계의 입장에서 쓰여진 덕흥리벽화고분에 관한 초기 보고서의 분석 및 관련 묵서들의 판독안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현실 동벽의 칠보행사도에서 구현하고자 했던 불교적 이상이 특정한 전거(典據)를 가지고 있으며, 이 내용이 그림과 묵서 표현에도 상당부분 반영되었다는 점 등에 주목하였다. 이에 고분의 전체적인 구조 속에서 칠보행사도가 차지하는 위치를 먼저 살폈고, 이후 도상의 묵서 판독과 해석, 그리고 등장인물들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불교행사로서 칠보행사가 지니는 종교적 의미를 『무량수경』 등 관련 경전의 내용을 통해 밝힘으로써 그림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성격, 그리고 ‘중리도독(中裏都督)’ 및 묘주 진(鎭)과의 관계에 대한 기존 이해도 재고해보았다. 칠보행사는 고구려 중앙 정부의 개입 하에 개최된 공적 행사라기보다는 지위나 재산이 있는 인물의 일상적인 공간 혹은 그와 멀지 않은 곳에서 열렸던 사적인 성격의 행사였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칠보행사도를 고구려 중앙과 묘주[鎭]의 밀접한 정치적 관계를 드러내는 자료로 해석하기는 어려우며, 5세기 초반 당시 이 지역에 안치된 소규모의 집단이 자신들의 문화적 특성을 유지하며 장기간 거주했던 양상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following two points. First, it is necessary to critically examine the contents of the initial report on the Dukhungni(德興里) mural tomb written by the North Korean academic community. Second, the Buddhist thought embodied in this mural is based on a certain book. This is also reflected in the documents (墨書) related to murals. In this regard, I first examined the location of the painting of the “Seven Jewels Ceremony” (七寶行事圖) within the entire structure of the tomb. I then interpreted the text in the murals and examined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s appearing in the images comprehensively. In particular, the religious significance as a Buddhist event was examined through related scriptures such as the Muryangsugyeong (無量壽經). And I critically examined the character of the individuals in the paintings and the existing claim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ungri-dodok (中裏都督) and the tomb’s owner (鎭). This religious event (七寶行事) was not a formal event held under the intervention of the Goguryeo government. However, it is likely that this was a personal event held in the daily space of high-ranking figure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is picture as supporting the close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Goguryeo government and the owner of the tomb (鎭). Rather, it is believed that this mural shows a small group of people who settled in Nangnang (樂浪), in the Daebang (帶方) area, at the beginning of the fifth century, and lived there for a long time while maintaining their cultur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樂浪·帶方郡 故地의 고분 속에 구현된 對外用 敍事와 구성 의도 -「德興里壁畵古墳」의 벽화와 傍題 분석을 중심으로-

        안정준(An, Jeongjun) 한국고대사학회 2021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3

        중국의 후한~위진대 벽화분 속에 만들어진 벽화와 문자기록들은 당시 지배층의 정치적·사회적 목적에 의해 외부에 보이기 위해 작성된 경우들이 있으며, 온전히 墓主만을 위해 구성된 私的인 기록으로만 접근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들이 있었다. 이러한 시각은 4세기 중반~5세기 초반에 중국 화북지역으로부터 고구려로 망명해온 사람들의 고분 조영을 비롯한 葬儀 문화를 바라보는 데도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이에 본고에서는 먼저 낙랑·대방군 고지에 조영된 중국계 고분들과의 유사점으로 주목 받아온 내몽골 和林格尔 新店子1호 後漢墓의 사례를 소개하였다. 특히 이 고분 내에 제작된 벽화와 傍題(墨書)들은 각기 단절적으로 배치된 것이 아니라, 연속되는 장면 배치를 통해 이야기가 전개되는 방식, 즉 일종의 敍事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것은 곧 외부 관람자의 시선을 고려한 것으로 보았다. 한편 중국으로부터 건너온 망명인들에 의해 조영된 낙랑·대방군 고지의 덕흥리벽화고분에서도 외부 관람자를 의미하는 ‘觀者’에 대한 墨書가 내부에 기록된 가운데, 무덤 내 벽화들의 배치가 외부의 시선을 고려해 제작되었을 것이라는 점이 이미 지적된 바 있었다. 본고에서도 이와 관련하여 이 고분 내의 벽화와 묘지·방제들의 전개 순서와 그 배치 의도를 나름대로 검토하여 그것이 분명 외부 관람자들의 시선을 고려한 것이었음을 재차 밝히고자 했다. 이를 통해 4세기 중반 이래 중국계 이주민들에 의해 조영된 낙랑·대방군 고지의 중국식 벽화고분들은 단순히 묘주의 私的인 취향이나 바람을 형상화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주변과 외부의 시선을 고려해 작성되었다는 점, 더 나아가 중국 문화에 기반을 둔 그들 나름의 정서 및 지향을 같은 처지에 있던 휘하의 이주민 사회와 더불어 공유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묘주 일가의 정치·사회적 지위와 영향력을 유지·강화하려는 의도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해보았다. During the Later Han(後漢) and WeiJin(魏晉) periods, murals and text records were left in mural tombs, which were sometimes written for the purpose of showing them to outsiders for political and social purposes of the ruling class at the time. In other words, this should not be approached only by personal records composed solely for a buried person. The aforementioned point of view is very important in studying the process of making Chinese-style tombs and holding funerals in Koguryeo by a large number of people who fled to Koguryeo from the mid-4th century to the early 5th century. In this paper, first, I introduced Horinger Mural Tomb(和林格爾壁畵古墳), which have been pointed out for their similarities with Chinese-style tombs made in Nakrang(樂浪)·Daebang(帶方) Areas. The murals and text materials produced inside this tomb are not compo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but scenes related to each other are continuously arranged and the story is unfolding. This can be seen as being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gaze of those who came to see. Meanwhile, in Deokheung-ri mural tomb(德興里壁畵古墳) of the Nakrang(樂浪)·Daebang(帶方) Areas, which were produced by exiles from China, text data on “Gwanja(觀者)” meaning viewers, were recorded inside, and some claimed that murals inside the tomb were placed in consideration of viewers. In this article, the intention was reviewed in its own way through the location and order in which murals and text materials inside the Deokheung-ri mural tomb(德興里壁畵古墳) were arranged. Through this, we tried to reveal that murals and text materials were produced with the presence of viewers in mind. Through this, I mentioned that since the mid-fourth century, the Chinese mural tombs in the Nakrang(樂浪)·Daebang(帶方) Areas, produced by Chinese migrants, were not just intended to embody a buried person’s personal fondness or wishes, but were written in consideration of other people’s viewing. It was also estimated that the intention was to maintain and strengthen the political and social status and influence of the family members who built the tomb by sharing the emotions and goals of the refugees based on Chinese culture with the Chinese residents around them.

      • KCI등재

        樂浪 · 帶方郡 지역에서 출토된 年度가 기재된 銘文塼 - 판독과 역주를 중심으로 -

        김근식(Kim Keunsik),안정준(An JeongJun),정화승(Jeong hwaseung) 한국목간학회 2021 목간과 문자 Vol.- No.27

        황해도·평안도 일대에서는 2세기 말부터 5세기 전반까지 명문전 제작이 지속되었다. 이는 낙랑·대방군(이하 2군)의 존속기뿐만 아니라 그 소멸 이후에도 존재했던 그 지역 토착세력의 동향을 살피는 유용한 자료가 되고 있다. 필자들은 위 지역에서 출토된 명문전들 가운데, 일단 연도를 추정할 수 있는 것들의 실물 혹은 탁본 사진을 「梅原考古写真資料庫(database)」에서 다수 구하였다. 또한 최근까지 국립중앙박물관과 북한의 『조선고고연구』 등에 의해 공개된 명문전들을 추가하여, 2군 지역에서 발견된 연도가 기재된 명문전의 목록을 새롭게 정리하고, 기존 연구에서의 잘못된 분류나 일부 판독 오류를 수정하고자 하였다. In the areas of Hwanghae-do and Pyeongan-do, the production of Brick with letters continued from the end of the 2nd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This is a useful data to examine the trends of indigenous forces in the region that existed not only after the period of existence of the Lo-rang and Daebang areas, but also after its extinction. From the end of the 2nd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among the Brick with letters excavated from the Lo-rang and Daebang areas, the authors obtained a number of physical or rubbing photos of those that could estimate the year from the database. In addition, until recently, Brick with Letters, which was publish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North Korea’s ancient Joseon study, was added, and the list of Brick with Letters of Year is written found in the Lo-rang and Daebang areas was newly compiled. Finally, the incorrect classification or some decipher errors of Brick with letters suggested in the previous study were corr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