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PLC-ICP-MS를 이용한 쌀의 비소 위해도 평가

        안재민,박대한,황향란,장순영,권미정,김인숙,김익로,이혜민,임현지,박재옥,이광희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7 No.4

        BACKGROUND: Rice is one of the main sources for inorganic arsenic among the consumed crops in the world population’s diet. Arsenic is classified into Group 1 as it is carcinogenic for humans, according to the IARC.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dietary exposure risk of inorganic arsenic in husked rice and polished rice to the Korean population health. METHODS AND RESULTS: Total arsenic was determined using microwave device and ICP-MS. Inorganic arsenic was determined by ICP-MS coupled with HPLC system. The HPLC-ICP-MS analysis was optimized based on the limit of detection, limit of quantitation, and recovery ratio to be 0.73-1.24 μg/kg, 2.41-4.09 μg/kg, and 96.5-98.9%, respectively. The inorganic arsenic concentrations of daily exposure (included in body weight) were 4.97×10 -3 (≥20 years old) - 1.36×10 -2 (≤2 years old) μg/kg b.w./day (PTWI 0.23-0.63%) by the husked rice, and 1.39×10 -1 (≥ 20 years old) - 3.21×10 -1 (≤2 years old) μg/kg b.w./day (PTWI 6.47-15.00%) by the polished rice. CONCLUSION: The levels of overall exposure to total and inorganic arsenic by the husked and polished rice were far lower than the recommended levels of The Joint FAO/ 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indicating of little possibility of risk.

      • KCI등재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s during Endovascular Treatment of Intracranial Saccular Aneurysms

        안재민,오재상,윤석만,심재현,오혁진,배학근 대한뇌혈관외과학회 2017 Journal of Cerebrovascular and Endovascular Neuros Vol.19 No.3

        Objective : We evaluate the rates and outcomes of major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s during coiling.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2007 and 2015, 436 intracranial saccular aneurysms were treated. Complications are categorized as three types: intraprocedural aneurysm rupture (IAR), thromboembolism (TE), and post-procedural early rebleeding (PER). And we evaluated the risk factors of procedure related complications by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 Complications occurred in 61 aneurysms (14%). The overall incidence of complications in subarachnoid hemorrhage (SA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 (UIA) (20% vs. 6%). The incidence of IAR and TE were higher in SAH than in UIA (IAR 12% vs. 4%, TE 7% vs. 3%, p < 0.05). Five PER occurred only in SAH. In 34 UIA which were treated with balloon-assisted coiling (BAC), all these patients had good recovery despite 3 patients had the IAR. The incidence of IAR and TE were not different between BAC and non-BAC groups (p > 0.05). All 7 patients who had IAR during BAC had good recovery.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emale gender, SAH, and intraventricular hemorrhage were associated with procedure related complication (p < 0.05). Conclusion : Endovascular coil embolization is a minimally invasive procedure, but incidence of its complication is not low, especially in SAH. BAC can be a good tool to avoid poor outcome from unexpected IAR during coiling. While IA tirofiban injection is a useful therapy in TE during coiling, sometimes we are aware of the risk of the early rebleeding in SAH patients.

      • KCI등재

        CDMA 역방향 링크의 성능 개선을 위한 스마트 안테나 수신기 알고리즘

        안재민,임민중,安致俊 대한전자공학회 2003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0 No.4

        A new smart antenna receiver which incorporates the spatial fourier Transform and the maximal ratio combining(MRC) is proposed. By adapting the spatial fourier transform, the proposed method could separate the received signal into several spatial frequency components which correspond to the arrival angles of signal components, which means the beam focusing. By using the MRC, the proposed method could achieve the maximum signal to noise ratio for the signal of interest. The proposed algorithm is integrated to the CDMA reverse link receiver and simulations are performed to confirm the performance. As a result, the beam focusing effect is confirmed and the performance gain with the proposed algorithm is comparable to ordinary smart antenna receivers. The simulations are performed over the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 environments and the results are obtained for the beam focusing capability according to the angle of arrival of a signal and the bit error performance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mbining branches in the MRC 본 논문에서는 공간 푸리에 변환과 최대비 결합 알고리즘을 사용한 새로운 방식의 스마트 안테나 수신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공간 푸리에 변환을 채용하여 수신 신호를 여러 개의 입사각 방향성분으로 분리하였고, 최대비 결합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원하는 사용자 신호 성분의 신호대 잡음비가 극대화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CDMA 역방향 링크의 수신기와 결합하여 성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모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빔 패턴에 대한 집중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제안된 방식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이 기존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과 동일한 성능 개선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의 실험은 백색잡음 환경에서 수행되었으며 신호의 입사각에 따른 빔 패턴의 집중화 정도와 최대비 결합의 수에 따른 비트 오류 성능 개선 정도를 확인해 보았다.

      • 초점 : 서비스중심의 전자정부 구현전략

        안재민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9 정보통신정책 Vol.21 No.8

        우리나라의 전자정부는 UN, ITU 등 각종 세계기구의 평가에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지만 행정효율성과 서비스 이용률에서는 저조한 평가를 받았다. 이는 전자정부 서비스의 핵심 목표인 정부업무의 효율화와 대국민 서비스의 개선 모두에서 기대한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이다. 이러한 전자정부 서비스의 문제점 개선을 위해 서비스사이언스 관점을 적용한 접근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IMT-2000 무선접속 분야의 표준화 동향 및 관련 지적재산권 분석

        안재민,이하영,이동찬,김병철,김대영,류동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00 TTA저널 Vol.72 No.-

        이동통신의 요구사항이 종래의 음성위주에서 보다 발전된 형태인 무선멀티미디어 쪽으로 옮겨지면서 기존의 이동통신방식으로서는 지원에 한계가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요구사항에 부응하면서 보다 고품질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방식에 대한 연구개발 노력이 ITU에서의 차세대 이동통신 표준인 IMT-2000 표준의 제정 움직임과 맞물려 차세대이동통신의 단일 국제표준을 제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표준화 활동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표준의 진행과정에서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한 양대 표준으로 IMT-2000 표준의 축이 굳어지고 있는 형편이다. 이러한 표준화 움직임에 맞추어 본 고에서는 IMT-2000 무선접속 분야의 표준화 동향, 표준의 주요 기술 및 관련기술의 지적재산권 출원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cdma2000 무선접속 기술

        안재민 에스케이텔레콤 (주) 2003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0 No.-

        이동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한계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근간으로 하고 있는 기존 이동통신은 패킷 형태의 트래픽 특성을 갖고 있는 데이터 서비스를 수용하기에 더욱 많은 한계를 보일 수 밖에는 없다는 점에서 이동통신망에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회의론이 등장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동통신이 갖고 있는 사용 편의성과 서비스의 연속성, 그리고 이에 기인한 넓은 사용자 층을 바탕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한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은 여전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들을 살펴보면서 이러한 기술들이 cdma2000 방식의 무선접속 기술에 어떤 형태로 나타나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