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뷰티메이크업의 입술 디자인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안은재(An Eun-Jae)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2021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8 No.6

        본 연구에서는 뷰티메이크업의 입술 디자인에 따른 인상형상, 선호 입술과 그 이유를 실증 분석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법으로 SPSS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입술의 색상과 형태가 인상 형성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입술 화장에 관한 현대인들의 시각을 규명 할 수 있었다. 가장 선호하는 입술색상은 레드, 선호하는 입술의 형태는 표준형이었다. 요인분석 결과 입술 색상중 레드는 유능성요인이 핑크색상은 사교성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가 뷰티디자인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the impression formation according to the lip design of beauty makeup, preferred lips and its reasons have been empirically analyzed. The research method is a questionnaire survey using SPSS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has been founde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color and shape of the lips on the impression formation, and the modern people s views on lip makeup could be identified. The most preferred lip color was red, and the preferred lip shape was the standard type.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red color showed the highest capability factor, and pink color showed the highest sociability factor among lip colors. It hopefully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beauty design.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의 사회적 변화요인에 따른 패션 소비자 행동 분석

        조혜연(Cho, Hye-Youn),안은재(An, Eun-Ja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4

        코로나19로 인한 펜데믹은 현대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변화시켰다. 그 결과 새로운 트렌드(Trend)가 나타났고, 소비자들의 소비패턴도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다(홍채은, 202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나타난 사회적 변화 요인을 분석하여 패션소비자 행동과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본 조사는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2021년 5월부터 7월까지 편의 표집 하여 35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PASW Statistics Ver.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주성분 분석과 직교회전방식(Varimax)을 이용한 요인 분석과 신뢰도 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현상의 사회적 변화요인으로는 언택트, 홈코노미, 불안케어, 에고이즘이 추출되었다. 언택트 소비경향이 높아지고, 감염의 불안을 줄이기 위한 행동이 증가하였으며, 타인보다는 자신에게 집중하는 에고이즘의 경향이 강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코로나19 이후의 패션소비자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패션구매행동과 패션소비행동을 분석 하였다. 그 결과 패션구매행동은 실용성과 상징성이 요인으로 추출되었고, 패션상품의 주요 구매채널은 인터넷 및 모바일쇼핑, 주요 구매 정보획득 채널은 과거의 구매경험과 인터넷 검색으로 나타났다. 패션소비행동은 가격민감도와 브랜드민감도가 요인으로 추출되었고, 주요 패션상품구입 품목은 외출복과 라운지웨어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의 소비자행동은 자신에게 꼭 필요한 패션상품을 구매하고, 품질이 입증된 브랜드 제품을 합리적 가격으로 소비하려는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사회적 변화요인과 패션소비자행동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상호 유의미한 연계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사회적 변화요인인 언택트 경향이 강해질수록 홈코노미, 불안케어, 에고이즘, 실용성, 가격민감도 경향이 높아지고, 홈코노미 경향이 강해질수록 불안케어, 에고이즘, 상징성, 실용성, 가격민감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불안케어 경향이 강해질수록 에고이즘, 실용성, 가격민감도가 높아지고 에고이즘이 강화될수록 실용성, 가격민감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의 상징성은 가격민감도 브랜드민감도와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있음을 알게 되었고, 가격민감도는 브랜드민감도와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가 코로나19 팬테믹 시대의 패션소비행동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사회 변화에 따른 패션산업의 방향을 연구하는 데 실증적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andemic caused by COVID-19 has changed the life styles of modern people. As a result, a new trend has appeared, and consumers’ consumption patterns have widely varied(Chae-Eun Hong, 2020). Thu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with fashion consumer behavior has been empirically analyzed by analyzing the social change factors caused by the spread of COVID-19. In this study, 358 copies have been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by convenient sampling from May to July 2021 for adults living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orthogonal factor rotation(Varimax),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have been utilized using SPSS/PASW Statistics Ver. 18.0 program.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tact, home economy, anxiety care, and egoism have been extracted as social change factors of the pandemic phenomenon caused by COVID-19. It has been found that the untact consumption trend has increased, the behavior to reduce the anxiety infection has increased, and the egoism trend to focus on oneself rather than others has been strengthened. Second, fashion purchasing behavior and fashion consumption behavior have been analyzed to investigate fashion consumer behavior after COVID-19. As a result, practicality and symbolism have been extracted as factors for fashion purchasing behavior, and the main purchasing channels of fashion items were internet and mobile, whereas the main acquisition channels of purchasing information. were purchasing experience in the past and internet searches. Price sensitivity and brand sensitivity have been extracted as factors for fashion consumption behavior, and outdoor clothes and lounge wear have appeared as the main items of fashion product purchase. It has been found that consumer behavior after COVID-19 has the characteristics of purchasing necessary fashion products and consuming brand products with proven quality at reasonable prices. Third, significant connection could be found in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hange factors and fashion consumer behavior. It also could be found that the stronger the untact tendency is, the higher are the tendency of homeconomy, anxiety care, egoism, practicality, and price sensitivity, and the stronger the tendency of homeconomy, the higher the anxiety care, symbolism, practicality, and price sensitivity. Additionally, the stronger the anxiety care tendency is, the higher are the egoism, practicality, and price sensitivity, and the stronger the egoism is, the higher are the practicality and price sensitivity. It was found that the symbolism of fash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price sensitivity and brand sensitivity.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price sensitiv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brand sensitivit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ble to be used as empirical guidelines to research the direction of the fashion industry according to social changes as basic data for the study of fashion consumer behavior in the the COVID-19 pandemic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