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765kV 비연가 송전선로에서 고장점 표정 알고리즘

        안용진,강상희 대한전기학회 2004 전기학회논문지A Vol.53 No.3

        This paper describes a new fault location algorithm based on the voltage equation at the relaying point using 6-phase current for untransposed 765kV parallel transmission lines. The proposed method uses the voltage and current collected at only the local end. By means of 3-phase circuit analysis theory to compensate the mutual coupling effects between parallel lines, the fault location is derived. The fault distance is determined by solving the 2nd distance equation based on KVL(Kirchhoff's Voltage Law). Extensive simulation results using EMTP(Electromagnatic Transients Program) have verified that the error of the fault location achieved is up to 4.56(%) in untransposed parallel transmission lines.

      • 복합 상업시설 배치 유형별 이용자 만족도 분석

        안용진 한국지역개발학회 2014 한국지역개발학회 세미나 논문집 Vol.2014 No.3

        토지이용 및 입지 규제완화에 중점을 둔 최근의 도시계획/관리 정책변화에 따라 상업용도간 복합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상업시설 복합화는 토지이용 효율 증가 및 경제적 시너지 효과 창출 등 도시개발/경제 활성화 측면의 순기능 이외에 이질적 상업용도의 혼재에따른 생활안전 측면의 역기능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복합화 주유소(주유+휴게음식) 개발사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복합 상업용도 배치 유형별 이용자 만족도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복합화 주유소 배치 유형은 크게 건물배치(일체형/분리형)와 주유시설 접도(세장형/연도형) 방식에 따라 총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용자 관점의 평가를위한 현장 설문조사는 복합화 공간 및 용도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와 편리성, 보행/차량 접근, 외관/경관, 안전/환경 측면의 부문별 만족도로 구분되었다. 배치 유형별 이용자 만족도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차량접근, 안전, 환경 만족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유형별 차이가 확인된 반면, 전체만족도를 포함한 나머지 세부항목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외에 건물배치(일체/분리형) 특성에 따라 이용자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편리성, 보행/차량접근, 외관, 경관, 환경 측면에 있어 일체형 시설에 만족도가 높은 반면, 안전항목의 경우 분리형 복합시설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분리형 시설의 경우 주유시설이 휴게음식 매장과 공간적으로 더 이격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주유시설 접도(세장형/연도형) 특성에 따라 이용자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보행접근 측면에 있어 세장형 복합시설에 만족도가 높은 반면, 나머지 평가항목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향후 복합화 주유소 개발시, 일체형의 경우 이용자 안전체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도시설계/시설계획 가이드라인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가로에서 복합시설로의 보행접근 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주유시설을 연도형 보다는 세장형으로 유도 계획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765kV 비연가 송전계통 과도 특성에 관한 고찰

        안용진,강상희 대한전기학회 2004 전기학회논문지A Vol.53 No.7

        This paper describes a study of transient characteristics in 765kV untransposed transmission lines. As the 765(kV) system can carry bulk power, some severe fault on the system may cause large system disturbance. The large shunt capacitance and small resistance of 765kV transmission line make various difficulties for its protection. These problems including current difference between sending and receiving terminals on normal power flow, low order harmonic current component in fault current and current transformer saturation due to the long DC time constant of the circuit etc. must be investigated and solved. The analysis of transient characteristics at sending terminal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single phase to ground fault and 3-phase short fault, etc. The load current, charging current in normal condition and line flows, fault current, THD(Total Harmonic Distortion) of harmonics, time constants have been analysed for the 765kV untransposed transmission line systems.

      • KCI등재

        사회적 혼합 아파트 단지의 이웃 유대감에 영향을 미친 요인 - 대구광역시 분양ㆍ임대세대 차이 실증분석

        안용진,김주현 한국도시설계학회 201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0 No.2

        분양ㆍ임대세대 주민 간 갈등이 지속되는 등 사회적 혼합에 초점을 둔 임대주택 공급 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소재 8개 사회적 혼합단지 내 거주하고 있는 주민 56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웃 유대감에 미친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분양-임대세대간 공간적 인접성이 가지는 중요성을 검토하기 위해 사회적 혼합단지의 분양-임대세대 물리적 배치유형을 분리형과 혼합형으로 구분하였다. 전체 거주민 대상 다중회귀분석 결과, 혼합배치(B=.222), 휴게공간(B=.175), 주민참여(B=.142), 놀이터(B=.133), 주민회의실(B=.095)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또한 분양-임대세대를 구분한 실증모형 결과, 임대세대의 경우 휴게공간(B=.260)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확인된 반면, 분양세대의 경우 놀이터(B=.166)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주민회의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단지계획 측면에서 사회적 혼합단지 거주민의 이웃 유대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분양-임대세대간 공간적 인접성이 높은 배치유형에 대한 고려와 휴게공간/놀이터 등 물리적 편의시설에 대한 계획적 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t is still elusive whether the supply of a mixed tenure apartment complex can lead to the increase of neighborship among the residents living in a private sale and public rental unit. Employing 567 answers from the field survey on 8 social-mix apartment complexes in Daegu,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affecting neighborship of residents living in a social mix apartment complex. This study also figures out the difference in contributing factors between a private sale and public rental uni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configurations and spatial proximity. To do this, the researchers categorized specific physical configurations of mixed tenure apartment housings into two types: ‘separate’ and ‘mixture’. As a result, a multiple regression model with total samples reveals that ‘spatial proximity (B=.222)’, ‘rest space’ (B=.175), ‘resident participation’ (B=.142), ‘playground’ (B=.133), ‘meeting room’ (B=.095)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neighborship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p<.05). In addition, two separated models by private sale and public rental samples presented different results in terms of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factors contributing to the neighborship. While ‘rest space’ (B=.175)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ublic rental units, ‘playground’ (B=.133) is the most but ‘meeting room’ is not found the significance in private sale units. Therefore, this research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adapt site design strategies not only for spatial proximity between different tenure types but also for the supply of public facilities, where residents might be able to share their physical and social activities.

      • KCI등재

        분양·임대 혼합 아파트단지 세대별 주거환경만족 결정요인 차이 연구

        안용진 한국부동산연구원 2019 부동산연구 Vol.29 No.3

        공공임대주택 거주민의 주거환경 만족에 대한 연구는 다수 발표된 바 있으나, 사회적 혼합단지분양-임대세대 거주민의 주거환경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 차이를 규명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다. 본 연구는 분양-임대세대 물리적 배치유형과 주거환경 만족도 사이의 연관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혼합 주거단지 거주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회적 혼합단지 거주민 567명(분양: 284명, 임대: 28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근거하여 요인분석과 순위형 로짓분석을 수행한 결과, 물리적 배치유형과 단지특성은 주거환경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 영향을 보였다. 특히 주거환경 만족도 영향 요인은 분양-임대세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구체적으로 단지내 인접형 임대세대에 거주할 경우 주거환경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 영향을 보인 반면, 동일 유형 분양세대의 경우에는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단지내 혼합, 주동내 혼합 배치방식은 사회적 혼합단지의 주거성능 지표로서 주거환경 만족도를 높이는데 다른 배치 유형보다 유리할 것으로 예측된다. There is a large volume of literature that shed light on the factors affecting resident satisfaction with public for-rent apartment housings whereas little is known about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mixed-tenure housings. This study aims to suggest policy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residents of mixed-tenure apartment housings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satisfaction with such housings. Using factor analysis of the data obtained from the survey questionnaire targeting 567 residents (284 persons in private sale units; 283 persons in public rental units), four explanatory variables reflecting the site characteristics subjectively evaluated by the residents are identified. The results of the use of the ordered logit model reveal that both the physical layout types and the site characteristic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resident satisfaction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Notably, however, the influences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in two stratified models by tenure type are different. While the “adjacency” type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resident satisfaction in a public rental model, such impact is positive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 private sale model.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site mixture” and “building mixture” can more effectively improve the resident satisfaction in mixed-tenure apartment hous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