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신념 분석

        안예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3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verall tendencies in parental beliefs of parentsrearing young children and to find out differences in parental beliefs according to their and theirchild’s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71 par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ndthe “Parental Beliefs Scale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developed by Ahn et al. (2022) wasused to measure their parental belief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and subscale scores of parental beliefs were higher than average, and among subscale scores,the score of beliefs in the child’s nature was highest and the score of beliefs in the parents’ rolewas the lowes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and subscale scoresdepending on the respondant, age, employment status, average parenting time on weekdays,education levels, and household income per month as variables of parents. There were no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al beliefs according to the child’s variables. In other words, itwas reveal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parental beliefs between mothers and fathers, and thevariables that makes differences in parental beliefs of parents rearing young children are parents’variables rather than child’s variables. These results enable us to understand the overall parentalbeliefs rearing young children and suggest that the necessity of focusing on parents’ variables toprovide more practical support to parents in rearing their child.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신념의 전반적 경향과 부모 및 자녀의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경기에 거주하고 있는 부모 57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도구로 ‘유아기 자녀 부모용 부모신념 척도’(안예슬 등, 202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신념의 전체 및 모든 하위요인에서 부모의 신념은 보통 이상이며, 하위요인 중에서는 자녀 본성에 대한 신념이 가장 높고, 부모 역할에 대한 신념이 가장 낮았다. 둘째, 부모 및 자녀의 변인에 따라 부모신념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모 중 누구인지에 따라, 부모의 연령, 취업 여부, 교육 수준, 평일 기준 하루 평균 양육 시간, 가정 월 평균 소득에 따라 부모신념에 차이가 있었고, 자녀 변인에 따른 부모신념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와 아버지의 부모신념에 차이가 있고, 부모신념에 차이를 가져오는 변인은 자녀 변인이기보다는 부모의 변인임이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대사회에서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신념의 전반적 경향을 파악할 수 있게 하며, 자녀 양육을 보다 실질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부모 변인에 관심을 가져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공정한 학급에 대한 유아의 생각

        안예슬,엄정애 한국육아지원학회 2023 육아지원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young children’s perceptions on a fair classroom through their own voice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comprised 35 four-year-old children and 42 five-year-old children enrolled in a university-affiliated kindergarten in Seoul. The primary method of data collection was interviews with children,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mainly conducted. To facilitate effective interviews with young children, 'Episodes on Fairness in Class' were modified, and used as a research tool.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young children's perceptions of a fair classroom consisted of their views on their role in creating a fair classroom and their expectations of a fair teacher. Children‘s perceived roles in a fair classroom were following the rules, attentive listening to and compliance with teachers’ instruction, getting along with peers, and being able to express their opinions. For the children, a fair teacher is one who treats them equally, helps them with difficult tasks, respects them, and is trustworthy. The children perceived a fair teacher as someone who demonstartes equality and caring when appropriate. As fairness is a value for the community, young children strive for fairness in the classroom and believe that there are actions that the members, the children, and the teachers should take. The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al practices should be carried out to promote fairnes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본 연구는 유아들이 생각하는 공정한 학급이 무엇인지를 유아의 목소리를 통해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한 대학 부속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35명, 만 5 세 유아 42명이었다. 주된 자료수집방법은 유아면담이었으며, 소집단 형태의 포커스그룹면담을 주로실시하였다. 유아면담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학급 내 공정성 관련 에피소드’를 수정 및 보완하여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이 생각하는 공정한 학급은 공정한 학급을 만들기 위해 유아가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유아가 생각하는 공정한 교사로 나뉘었다. 공정한 학급을 위해 유아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규칙을 준수하는 것, 선생님 말을 듣고 따르는 것, 또래와 잘 지내는 것,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이었다. 유아가 생각하는 공정한 교사는 동등한 대우를 하는 교사, 어려운 일을 도와주는 교사, 나를 존중해주는 교사, 신뢰할 수 있는 교사로, 유아들은 상황에 맞게 평등과배려를 실천하는 교사를 공정한 교사로 보고 있었다. 공정성은 공동체를 위한 가치인 만큼 유아들은학급의 공정성을 추구하였으며, 구성원인 유아들 스스로, 그리고 교사가 해야 하는 것들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학급의 공정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교육적 실천을 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 면담을 위한 ‘학급 내 공정성 관련 에피소드’ 개발

        안예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교육과학연구 Vol.5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pisodes on Fairness in Class” that can be used to interview young children, situations related to fairness in class were selected, and the contents of the episodes were create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9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a kindergarten in Seoul, Korea and their 4 teachers, and 25 and 24 children from the 4-year-old class and 5-year-old class respectively. To select situations related to fairness, participatory observation was carried out, and the situations of fairness were identified as commonly observed in both classes. Based on the situations, eleven episodes were composed including scenarios for young children and additional questions that could reveal their thoughts on them. Small group interviews and pers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young children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contents of the composed episodes and verify their validity of the contents. As a result, the episodes consisting of eight situations was confirmed. The eight selected situations were those that young children experience daily in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eachers and were related to the aspects of fairness. The confirmed episodes was verified through review by an exper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4 teachers who were participants in this study. Episode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in studies that reveal young children’s thoughts on fairness through their voices. Through this study, further studies would thus listen to the voices of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m agents. 본 연구는 유아 면담에 활용할 수 있는 ‘학급 내 공정성 관련 에피소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학급 내 공정성 관련 상황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에피소드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서울소재 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학급 유아 25명과 만 5세 학급 유아 24명으로, 유아 총 49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4명이었다. 공정성 관련 상황을 선정하기 위해 학급을 참여관찰하였으며, 각 학급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상황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아 면담 시 유아에게 들려줄 이야기와 유아의 생각을 드러낼 수 있는 추가 질문을 작성하여 11개의 에피소드를 구성하였다. 구성한 에피소드의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고 내용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유아 대상 소집단면담 및 개별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그결과 8개의 상황으로 구성된 에피소드를 확정하였다. 선정한 8개의 상황은 유아가 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에서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것들이었으며, 공정성의 구성요인과 관련되었다. 확정한 에피소드는 유아교육전문가 1인, 연구참여 학급의 담임교사 4인에게 내용의 적절성을 확인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연구를 통해 개발된 에피소드는 공정성에 대한 유아의 생각을 유아의 목소리를 통해 드러내는 연구에 활용될 수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유아를 주체로 한, 유아의 목소리를 듣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기대한다.

      • KCI등재

        ‘유아기 자녀 부모용 부모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안예슬,이영선,이승연 한국육아지원학회 2022 육아지원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신념을 측정할 수 있는 ‘유아기 자녀 부모용 부모신념 척도’의 문항을 개발하고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문헌 고찰을 통해 부모신념의 개념 및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부모신념을 제대로 측정하기 위한 문항의 형태를 결정하고, 부모 면담을 통해 1차 시안을 작성하였다.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2차 시안을 작성하고, 예비연구를 실시한 후 3차 시안을 결정하였다. 또한 본연구의 문항분석 등을 통해 4차 시안을 확정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여 4요인 26문항의 최종 척도를 확정하였다. 내용타당도 검증은 전문가 검토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기존 척도와의 상관관계(양육신념 척도 r =-.16∼-.57, p < .05∼.001, 민주적 양육신념 척도 r = .36∼.41, p < .001)를 구하였다. 신뢰도 검증에서는 문항내적일관성신뢰도(Cronbach’s α) .70∼.83, 검사-재검사 신뢰도(r) .57∼.77(p < .001)로 나타나 본 척도가 안정적이고 일관된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척도가 현대 사회에서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우리나라 어머니, 아버지들의 부모신념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부모신념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성별 및 연령을 중심으로

        안예슬,박성주 한국육아지원학회 2023 육아지원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부모신념이 유아의 성별, 연령별 자아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 220명과 그들의 부모 404명(어머니 208명, 아버지 196명)이었으며, 연구도구로‘유아기 자녀 부모용 부모신념 척도’와 ‘유아용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부모신념은 자녀본성 신념이 가장 높았고, 부모역할 신념이 가장 낮았으며,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남아보다 여아가 높았고, 3세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4세, 5세 순이었다. 둘째, 성별로는 남아의 자아존중감이, 연령별로는 3세와 5세의 자아존중감이 어머니, 아버지의 부모신념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신념이 유아의 성별, 연령별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남아의 자아존중감에는 어머니의 자녀발달 신념과 아버지의부모역할 신념이 영향을 미쳤으며, 3세의 자아존중감에는 아버지의 부모역할 신념이, 5세의 자아존중감에는 어머니의 자녀본성 신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유아의 성, 연령에 따라 다른 양상이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높은 자아존중감을 위해 유아의 성별, 연령에 따라 부모를 대상으로 한 지원이 달라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arental beliefs affect young children’s self-esteem based on their gender and ag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0 young children and their 404 parents (208 mothers, 196 fathers). To measure these main constructs, 'Parental Beliefs Scale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and 'Self-Esteem Scale for Young Children'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and fathers' parental beliefs were the highest in children's nature and the lowest in parental role. In addition, the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was higher in girls than in boys, which was the highest in 3-year-olds, followed by 4- and 5-year-olds. Second, boys' self-esteem (with respect to gender) and 3-year-olds’ and 5-year-olds’ self-esmeem (with respect to age) were partial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arental beliefs of both mothers’ and fathers’. Third,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parental beliefs on children's self-esteem by gender and age revealed: 1) mothers' beliefs in children’s development and fathers' beliefs in parental role affected boys' self-esteem; 2) father's beliefs in parental role had an effect on the self-esteem of the 3-year-olds; and 3) mother's beliefs in children’s nature had an effect on the self-esteem of the 5-year-olds. These results, which showed distinct patterns based on children’s gender and age, suggest that parental support should vary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and age to foster higher self-este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