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주남습지 지역의 육상 곤충상

        안수정,박정규,Ahn, Soo-Jeong,Park, Chung-Gyo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2

        경남의 대표적 습지인 주남습지를 구성하는 주남저수지, 동판저수지, 산남저수지와 인근의 인공 연꽃단지에서 2010년 5월부터 10월까지 육상 곤충상을 조사하고 군집특성을 분석하였다. 네 곳에서 총 12목 85과 268종, 5,730개체가 조사되었다. 조사된 종 수는 딱정벌레목 63종, 나비목 60종, 노린재목 37종 순이었다. 총 조사된 곤충 수에 대한 목별 개체수의 비율은 딱정벌레목 25.9%, 잠자리목 22.3%, 나비목과 메뚜기목이 각각 15.4%와 12.7% 이었다. 조사 저수지별로는 주남저수지에서 175종, 동판저수지에서 197종, 산남저수지에서 154종이 조사되어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인공 연꽃단지에서는 86종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4곳의 곤충상을 요약하면 딱정벌레목에서는 일본잎벌레, 잠자리목에서는 고추잠자리, 나비목에서는 네발나비가 우점종이었다. 조사 전(全) 기간에 대한 종다양성 지수를 분석한 결과, 우점도 지수는 인공 연꽃단지가 0.25로 가장 높았고 주남저수지가 0.08로 가장 낮았다. 다양도 지수는 주남저수지가 4.48, 동판저수지가 4.44, 산남저수지가 4.28, 인공 연꽃단지가 3.87로 모두 높은 편이었다. 각 습지의 곤충상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주남저수지와 동판저수지의 유사도가 0.96으로 가장 높았으며, 세 곳 저수지와 인공 연꽃단지의 유사도는 0.45~0.53으로 낮은 편이었다. Terrestrial insect fauna was surveyed in the Junam wetland area, which consists of the Junam, Dongpan, and Sannam wetlands, by visual counting and pictures. A sweep net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y to October 2010. A neighburing artificial lotus wetland was also surveyed for comparison. A total of 5,730 insects were surveyed, representing 268 species in 85 families and 12 orders. Sixty-three species of coleopterans were surveyed, followed by 60 species of Lepidoptera, and 37 species of Hemiptera. Coleopteran individuals were 25.9% of the total insect numbers surveyed, comprising most abundant group. This was followed by Odonata, Lepidoptera, and Orthoptera at 22.3%, 15.4%, and 12.7%, respectively. In total, 197 species were surveyed in the Dongpan wetland, 175 in the Junam wetland, and 154 species in the Sannam wetlands. However, only 86 species were surveyed in the artificial lotus wetland. Galerucella nipponensis in Coleoptera, Crocothemis servilia mariannae in Odonata, and Polygonia c-aureum in Lepidoptera were the most abundant in all four wetlands. Community analyses showed that the dominance index was highest in the artificial lotus wetland at 0.25 and lowest in Junam wetland at 0.08. Diversity indices were relatively high in all wetlands at 4.48, 4.44, 4.28, and 3.87 in Junam, Dongpan, Sannam, and the artificial lotus wetland, respectively. The insect fauna similarity index was highest in the Junam and Dongpan wetlands at 0.96. The lotus wetland showed the lowest similarity of the three wetlands with values of 0.45-0.53.

      • KCI등재

        생활권 가로수를 기주로 하는 나비목 곤충의 발생양상

        안수정,이수진,김준헌,남영우,최성환,정종국,Soojeong, Ahn,Sujin, Lee,Junheon, Kim,Youngwoo, Nam,Sunghwan, Choi,Jong-Kook, Ju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2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1 No.3

        In order to establish an effective pest control strategy, we investigated the occurrence of lepidopteran insects in the major trees growing in urban forests from 2019 to 2021. In total, we recorded 76 species of 14 families in Prunus spp., 40 species of eight families in Acer spp., 43 species of 10 families in Zelkova serrata, 28 species of seven families in Rhododendron spp., and 10 species of four families in Hibiscus syriacus. Among these, Hyphantria cunea and Lymantria dispar were recorded from all five tree taxa monitored.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species in the different tree groups were as follows: H. cunea and Phalera flavescens in Prunus yedoensis, Epinotia ulmicola in Z. serrata, and Rehimena surusalis in H. syriacus. H. cunea also occurred in Rhododendron spp. and Acer spp., although the numbers were lower than those recorded in Prunus spp. and Z. serrata. Our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focusing o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lepidopteran insects in Prunus spp. and Z. serrata, whereas the presence of these insects in both Acer spp. and Rhododendron spp. Appears to be less problematic. From the perspective of reducing the risks to human health,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application of pheromones for monitoring lepidopteran species and the use of mating disruptors would be desirable approaches that would contribute to minimizing the spraying of pesticides in urban forests.

      • KCI등재

        Diversity of Insect Fauna in Junam Wetland of Korea

        안수정,카시나스 칠루왈,최성환,박정규,Ahn, Soo Jeong,Chiluwal, Kashinath,Choi, Sung Hwan,Park, Chung Gyoo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2

        주남 습지대($6.02km^2$) 곤충상의 다양도, 우점도, 풍부도 등을 습지대 내 3곳의 습지에서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육안조사와 쓸어잡기는 2010년, 말레이즈 트랩 조사는 2011년, 유아등 조사와 함정트랩 조사는 2012년에 실시하였다. 총 14목(目) 141과(科) 574종(種)의 9,269 개체 (딱정벌레목 36.3%, 나비목 21.3%, 잠자리목 13.9%)가 조사되었다. 종수(種數)로 비교해 보면, 나비목이 31.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딱정벌레목(28.0%) 노린재목(12.9%) 순이었다. 우점종(총 조사개체에 대한 각 종의 개체수 비율)은 애넓적물땡땡이(Enochrus simulans, 7.9%), 꼬마줄물방개(Hydaticus grammicus, 4.3%), 일본잎벌레(Galerucella nipponensis, 4.1%), 연물명나방(Elophila interruptalis, 3.1%), 양봉꿀벌(Apis mellifera, 2.2%) 순이었다. 세 곳의 습지에서 조사된 딱정벌레목, 나비목, 잠자리목 곤충의 수는 매우 많았지만 세 습지 간에 차이는 없었다. 주남 습지대의 곤충다양도(H'), 풍부도(RI)는 각각 5.04, 59.10이었다. A sampling survey was conducted at three reservoirs of Junam wetland ($6.02km^2$) in Korea to identify the wetland insect fauna along with their dominance, diversity, richness and evenness. Methods of monitoring were visual inspection and sweeping in 2010, Malaise trapping in 2011, light trapping and pitfall trapping in 2012. In total, 9,269 individuals (36.3% coleopterans, 21.3% lepidopterans and 13.9% odonates) were collected, belonging to 574 species, 141 families and 14 orders. For the number of species, lepidopterans shared the highest (31.2%), followed by coleopterans (28.0%) and hemipterans (12.9%). Dominant species were Enochrus simulans (Coleoptera) (7.9% of total individuals) followed by Hydaticus grammicus (Coleoptera) (4.3%), Galerucella nipponensis (Coleoptera) (4.1%), Elophila interruptalis (Lepidoptera) (3.1%) and Apis mellifera (Hymenoptera) (2.2%). Total counts of coleopterans, lepidopterans and odonates in the three reservoirs were quite high, but the cou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reservoirs. Insect diversity index (H') and richness index (RI) of the Junam wetland were 5.04 and 59.10, respectively.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근감소증 유병률, 인지기능과의 관계 및 중재연구 동향:

        안수정(Ahn, Soojung),추상희(Chu, Sang Hui),정혜정(Jung, Hyejeong)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3

        본 연구는 국내 외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근감소증과 인지기능에 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 고찰이다. 본 연구의 선정 논문은 국내 외 문헌 중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근감소증의 유병률 또는 근감소증과 인지기능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거나, 근감소증 완화 목적으로 시행된 중재 연구로, 총 43편의 논문이 포함되었다. 국내 외 근감소증의 유병률은 총 25편의 논문에서 2.5-42.4%의 다양한 범위로 보고되었으며, 인지기능과의 관계를 분석한 6편의 논문 중 4편에서 근감소증과 인지기능 저하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보고되었다. 근감소증 개선을 위한 중재 연구 12편에서 근육량, 근력 또는 신체 기능 향상에 대한 중재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근감소증 결과지표로 인지기능 평가를 시행한 논문은 없었다. 지역사회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근감소증을 예방 및 개선하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진단을 적용한 지역 사회 내 근감소증 감시체계와 신체기능 뿐만 아니라 인지기능 평가를 포함하는 포괄적이고 지속적인 근감소증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또한 지역사회 기반 근감소증 예방을 위한 근거를 생산하기 위해 지속적인 중재연구의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 This systematic review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sarcopenia and cognitive function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Studies which reported prevalence rates of sarcopenia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relationships between sarcopenia and cognitive dysfunction, or effective interventions in alleviated symptoms of sarcopenia were selected. Of 43 studies reviewed, prevalence rate of sarcopenia ranged from 2.5-42.4% in 25 studies, and 4 studies reveal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rcopenia and cognitive dysfunction. Among 12 randomized-control trials (RCTs), exercise intervention was used in 2 studies; nutrition intervention in 6; and 4 studies included both the exercise and nutrition interventions. All interventional studies reported positive effects on muscle mass, muscle strength, or physical function. However, only 6 studies met the high quality criteria of Risk of Bias, and there was no study which evaluated cognitive function as an outcome measure. Therefore, this study draws attention to the lack of high-quality RCTs and exclusion of cognitive function as an outcome measure in the research of sarcopenia. A comprehensive and sustained system including standardized sarcopenia screening, assessments of cognitive functioning, and evidence-based intervention programs is needed in order to prevent and manage sarcopenia amongst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갱년기 증상의 척도로서의 심박 변이도의 활용에 관한 연구

        안수정 ( Soo Jeong Ahn ),황재호 ( Jae Ho Hwang ),최정은 ( Jung Eun Choi ),조정훈 ( Jung Hoon Cho ),장준복 ( Jun Bock Jang ),이경섭 ( Kyung Sub Lee )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05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Vol.18 No.3

        Purpose: To investigate relation between Heart rate variability(HRV) and Kupperman`s index. Methods: From 2004, 3, 15 to 2004, 4, 10, a total 18 female patients(age 40-61) was recruited. but 2 patients was excluded. one was under hormone raplacement therapy, the other was under drug treatment. We measured patient`s HRV by SA-2000E(Medicore Co., Ltd., Korea), and they fulfilled kupperman`s index and qustionnaire. Results: The mean age of patient was 50.13±5.78 years. 6 of 16 patients was menopause, 12 of 16 patients had menstruation. half of 16 patients had a understanding about climacteric syndrome. Investigating relation between HRV and kupperman`s index, kupperman`s index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rt rate significantly. Kupperman`s index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SDNN significantly. Kupperman`s index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RMS-SD significantly. Conclusion: In this study, we presented relation between HRV and kupperman`s index. Furthermore, large scale study is required.

      • KCI등재

        종교를 넘어선 신념: `영성`을 주제로 한 2010년대 할리우드 영화 고찰

        안수정 ( Ahn,Soojeo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7 No.-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할리우드에서 영적 주제를 다루는 영화가 크게 증가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이런 주제가 등장하게 된 배경과 맥락을 밝히고, 이러한 새로운 흐름이 함의하는 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종교와 문화, 그리고 예술의 관계를 탐구한 신학자 틸리히와 종교현상학자 반 데르 레우후의 연구를 이론적 틀로 차용하였으며 이들의 관점을 근거로 영화매체에 나타나는 영적 주제의 의미를 풀어내고자 한다. 2010년대 이후 제작된 할리우드 영화 중에서 다각도로 영적 주제를 다루고 있는 작품들을 추려보면 이들을 아우르는 몇 가지 공유점을 찾아낼 수 있다. 이 작품들은 관객에게 친숙한 대중적인 내러티브를 통해 본질적인 문제에 대한 보편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으며, 실존인물 혹은 실화 같은 리얼리티를 영화 속에 재현함으로써 `역사적 진실성과 신빙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주인공들은 할리우드 수퍼 히어로의 전형성에서 탈피한 `승리한 패자`로 그려지며, 끊임없이 절대자에게 `질문하는` 인간의 모습이 반복적으로 보여진다. 이런 특징을 분석해보면 할리우드에서 영적 주제를 다루고 있는 최근 작품들이 선교나 신앙을 넘어선 보편적인 신념과 가치의 문제를 형상화하면서 기존 종교 영화와의 차별화에 성공하고 있으며 관객과의 공감대를 확장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고는 이런 분석을 통해 현대 과학과 지식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대중은 여전히 영적회복과 인간구원에 대한 갈망이 있으며 영화매체는 관객의 이런 욕구를 표출할 수 있는 잠재적인 원천으로 기능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This paper studies the recent surge in the number of faith-based films in Hollywood, with the aim to explore the context and implications of this new trend. By us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study of the Tilich and Van der Leeuw, who hav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culture and art, this article discusses the meaning of the spiritual theme in the film. A couple of common points can be found among the faith-based films that have been produced since the 2010s. While these films attempt a universal approach to the fundamental theme of spirituality through popular narratives familiar to the audience, they also stress `historical truthfulness and credibility` by representing the reality, such as a featuring real person or a true story in the film. The main characters are depicted as “victorious loser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the typical Hollywood superhero and the films repeatedly show the human being constantly `asking` questions to God. By analyzing these characteristics, the paper demonstrates that recent Hollywood faith-based films have successfully differentiated themselves from existing religious films while symbolizing the universal beliefs and values beyond the religious message so as to attract more audiences to this field. The paper also suggests that despite the advances in modern science and knowledge, the public will always yearn for a spiritual recovery and salvation through the film medium, serving as a potential source that provides an outlet for spiritual experience.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영산 조용기의 삼위일체적 공동체 신학

        안수정 ( Ahn¸ Soojeong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1 영산신학저널 Vol.- No.56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통해 더 나은 삶을 추구하는 것을 넘어 영생을 꿈꾸고 급기야 신의 자리까지 넘보는 이 시대의 혼란스러운 인간관 및 가치관 문제의 극복을 다루며, 이를 위한 단초로서 삼위일체의 창조성 안에서 회복과 영생을 제안한다. 특별히 본 논문은 기독교 삼위일체론 중 영산 조용기의 삼위일체적 신학 사상을 중심으로 그가 형성한 다양한 공동체를 통해 기독교가 다시 한번 갱생할 수 있는 시대적 플랫폼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영산의 설교와 목회 속에 녹아 있는 신학 사상의 중심은 ‘삼위일체 신학’이며, 그 위에 세워진 다양한 공동체는 결국 ‘삼위일체적 공동체’이다. 영산의 공동체는 영원히 변하지 않는 피조세계의 원리인 삼위일체의 신비를 시대 속에서 표현해 왔고, 사회참여를 통해 삼위일체의 풍성함을 사랑의 연합과 일치의 공동체 안에서 꾸준히 실현해 왔다. 이에 본 논문은 영산의 삼위일체적 공동체는 궁극적으로 전인회복을 통한 ‘전인구원’의 계시를 담고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영산이 강조하는 전인구원은 좋으신 하나님, 갈보리 십자가의 예수님, 그리고 관계적 성령의 삼위일체 하나님을 근거로 우리의 영, 혼, 육을 변화시켜 결국 개인적 구원에서 사회적 구원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초인류와 초연결을 꿈꾸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속에서도 삼위일체의 생명력과 페리코레시스적인 연합의 원리는 여전히 적용되는 연속성이 있음을 논증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recent problem of confusing human views and values concerning the dream of eternal life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Humanity is going beyond mere pursuit of a better life; it is attempting to take over God’s position. As a critical response to this, I propose recovery and eternal life within the creativity of the Trinity.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latform of an era in which Christianity can be revived once again through the various communities formed by Youngsan Yonggi Cho. In this regard,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his trinity theory. ‘Trinity Theology,’ which has been consistently articulated through Youngsan’s preaching and ministry, is the key idea of his theological thought. Various communities built on this theological foundation can be defined as ‘Trinitarian Community’. Youngsan’s community expresses the mystery of the Trinity, which is an unchangeable principle of the creation of the world. This community also has consistently realized the richness of the Trinity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of communion of love and union. Therefore, this study argues that Youngsan’s trinitarian community ultimately contains the revelation of the ‘whole salvation’ through whole recovery. The whole salvation, which lies at the center of Youngsan’s Gospel-centered teaching, is extended from personal salvation to social salvation by transforming our spirit, soul, and body on the basis of the triune God of the good God, Jesus on Calvary’s cross, and the relational Holy Spirit. Therefor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vitality of the Trinity and the principle of perichoresis’ union still have an applied continuity, eve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le dreaming of super-humanity and super-conn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