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단어 읽기 수준에 따른 단어 읽기 발달 양상

        안부영,윤준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8 No.-

        본 연구는 대구교육대학교에서 개발한 단어 읽기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대구광역시G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5월 초, 7월 초, 12월 중순 등 3차례 단어 읽기자료를 수집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단어 읽기 정확도가 높은 집단은 검사 시기와 관계 없이 높은 단어읽기 정확도를 유지하고 단어 읽기 정확도가 낮은 집단은 12월에도 정확하게 단어 읽기를 완전히 수행하지 못하였다. 둘째, 단어 읽기 정확도 상 집단과 중 집단의 경우 5월초와 7월 초 사이에 단어 읽기 정확도 변화가 크게 일어나지만, 하 집단의 경우 7월초와 12월 중순 사이 즉 2학기에 변화가 커짐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습자의 수준과관계 없이 검사 참여자들은 자소-음소 불일치 단어를 대체로 읽기 어려워하였다. 특히시간이 흘러도 정확하게 읽기 수행 변화가 눈에 띄게 달라지지는 않았다. 넷째, 셋째와관련하여 자소-음소 불일치 단어에서도 고빈도 단어를 저빈도 단어에 비해 좀 더 잘읽었다. 다시 말해, 자소-음소 불일치 단어를 모든 집단이 다 잘 읽지 못하였으나 그럼에도 모든 집단은 고빈도 단어를 저빈도 단어에 비해 더 잘 읽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초등학교 1학년 학습자들의 정확하게 읽기 능력을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어를 반복적으로 노출하는 것이 필요하며 단어에 대한 자소지식을 가지게 하는 것도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get hints about the problems that currently appear in reading education. To do this, this study used a word reading test tool developed by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collected data three times, early May, early July, and mid-December. The test was conducted on first-year students of G Elementary School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tudents with high word reading accuracy generally showed high accuracy regardless of the timing of the test, while students in the lower group of word reading accuracy were not completed accurately in December when the first grade was completed. Second, the timing of the significant change in word reading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group. Third, learners at the upper and middle levels were able to read low-frequency words accurately, but learners at the lower level were no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one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ccurate reading of first-year elementary school learners is vocabulary familiarity.

      • KCI등재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 구성 제언

        안부영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9

        Purpose: This study was planned for critical reading education to observe how proficient readers are reading critically in real life. And then I would like to analyze the critical reading patterns of proficient readers and obtain educational suggestions based on this. Methods: To this, I asked 24 college students classified as relatively skilled readers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I provided them with writings of unknown origin. They were asked to describe all the ideas that came to mind while reading the article. Results: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generally put a lot of effort into reading the text and understanding the content. Surprisingly, they rarely performed critical read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article. This study looked for contents related to critical reading in the 5th to 6th grade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As a result, the textbook revealed that it did not provide sufficient learning content related to critical reading. Conclusion: This study argues that in order for readers to habitually perform critical reading in real life, textbook must provide more learning opportunities related to critical reading. In addition, this study argues that for this,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and textbook system. 목적: 이 연구는 성인 독자가 실제 생활에서 비판적 읽기를 어느 정도 수행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비판적 읽기 교육에 대한 제언을 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방법: 이 연구는 성인 독자인 대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출처를 알 수 없는 글을 제공하고 그 글을 통해 비판적 읽기를 얼마나 수행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비판적 읽기 교육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이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 내용 확인과 관련한 생각은 많이 생성하였으나 비판적 읽기와 관련한 생각은 1인 평균 1.5개 정도로 떠올리는 것에 불과했다. 2015 개정 초등학교 국어 5~6학년군 교과서에서 찾은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은 자료의 출처, 저자의 전문성 등에 대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실제 생활에서 비판적 읽기 교육이 텍스트에 대한 내용 확인만큼 습관적으로 행해지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내용이 알맞게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또한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이 전학년에 걸쳐 수시로 반복적으로 제시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과 교과서 체제 개편이 필요하다.

      • KCI등재

        AFL(Assessment for learning)관점에서의 과정 중심 평가 개념 정립

        안부영 한국국어교육학회 2022 새국어교육 Vol.- No.131

        목적: 이 연구는 과정 중심 평가를 AFL(Assessment for learning)관점에서 살펴보고 과정 중심 평가 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연구되었다. 방법: 이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과정 중심 평가와 AFL(Assessment for learning)관점을 평가 목적, 평가 대상, 평가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결과: AFL(Assessment for learning)관점은 학생의 성취 수준 향상을 위해 교사의 교수 방법에 대한 적절한 변화 및 수정을 평가의 목적으로 보고 있으므로 평가의 대상이 교사와 학생 모두가 된다. AFL(Assessment for learning)관점은 또한 평가의 시기를 학습이 일어나는 전 과정이라고 보았다. 과정 중심 평가는 AFL(Assessment for learning)관점에 비해 학생의 성취 수준 파악을 그 목적에 두고 있고, 평가 대상을 학생으로 국한하였으며, 평가 시기를 수업 중으로 한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과정 중심 평가가 의미 있는 평가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 AFL(Assessment for learning)관점에서 얻은 시사점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표준어와 방언 관련 교육내용 개선 방향 연구

        안부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5 No.-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 This study examined how the meaning of the term ‘dialect’ changed based 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standard language. In addition, the reason why people understand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 in confrontation was analyzed through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riticized the fact that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 are recognized as a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t also criticized the fact that it was not used as educational content that standard language and Seoul language are not the same and that dialects are not treated as “language” used in life. Therefore, this study argued that dialect is also a language and used in the speaker’s language life so that the speaker can properly ‘select’ the standard language or dialect depending on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본 연구는 표준어와 방언에 대한 교육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표준어와 방언관련 교육내용을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표준어의 제정과정을 살펴보고 오늘날 언중들에게 깊이 인식된 표준어와방언의 대립적 관계에 대한 이유를 선행 연구물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제1차부터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까지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표준어와 방언 관련 교육내용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이것이 언중들이 가지고 있는 표준어와 방언에 대한 인식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과정에서표준어와 방언을 대립적 관계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 표준어와 서울말이 동일하지 않다는 사실을 교육내용으로 삼지 않은 점, 방언을 언중의 국어생활에 활용되는 ‘언어’로서다루지 않는다는 점 등을 비판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방언 역시 화자의 언어생활에 활용되는 언어이므로 화자가 어떠한목적으로 의사소통을 하는가에 따라 표준어나 방언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 표준어와 방언에 대한 국어교육의 주요한 교육내용이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1학년 한글 미해득 학생의 음독에서 나타나는 특징 분석

        안부영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3 한국교육논총 Vol.44 No.1

        This study analyzed errors in the reading fluency of first-year students and provided educational suggestions for its’ development. This study confirmed that prior research and reading fluency tests are empirical methods for predicting reading ability. Three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Hangul reading test program developed by the Curriculum Evaluation Institute participated in this study. One of them was found to not have mastered or supplemented Korean in September and completed it in December, whereas the other was found to have not.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lower the degree of understanding Korean, the more likely it was that the participant had interrupted reading or read by stretching the sound. Second, when they did not know the meaning or first encountered, they generally attempted to read the word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a pause. Third, the lower the degree of understanding Korean, the less accurate the reading sound. Fourth, the lower the degree of Korean language acquisition, the faster the reading lesser time.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한글 미해득 학생의 음독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읽기 유창성 발달을 위한 교육적 제언을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참여한 학습자가 흥미를 보였던 도서 1권을 정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는 9월 ‘한글 또박또박’ 검사에서 한글 미해득 판정을 받고 12월 동일 검사에서는 해득 중 완성 판정을 받은 1명, 해득 중 보충 판정을 받은 1명, 미해득 판정을 받은 1명이 참여하였다. 이들의 음독 분석 후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째, 한글 해득 정도가 낮을수록 끊어 읽기를 하거나 소리를 길게 늘여 읽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뜻을 잘 모르거나 혹은 처음 접하는 낱말이 제시되었을 때 대체로 입문기 학습자들은 잠시 멈추는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해당 낱말을 읽으려는 시도를 하였다. 그러나 한글 해득 학습자가 자기 교정을 통해 바르게 읽으려고 노력한 반면, 한글 미해득 학습자는 이미 알고 있는 소리와 비교하며 자신의 읽기를 점검하려고 노력한 점이 달랐다. 셋째, 한글 해득 정도가 낮을수록 연음 현상이나 사잇소리 현상이 실현되지 못하였고 특히 명사와 조사의 결합에서 나타나는 연음 현상은 거의 실현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한글 해득 학습자의 읽기 시간은 5차례 진행될 동안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한글 해득 정도가 낮은 학습자가 반복하여 읽을 경우, 읽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지속적으로 줄어듦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