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외 교과서 속 한국 관련 내용 고찰- 중국 교과서를 중심으로

        안병삼 재외한인학회 2024 在外韓人硏究 Vol.65 No.-

        본 논문은 한국, 중국, 일본이 자국 교과서 내용에 대해 각각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 초·중·고교 교과서에 수록된 한국 관련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 교과서에 한국 관련 내용을 제대로 담을 수 있는 다양한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중국 교과서의 한국 관련 내용에서 발견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관련 내용을 담고 있는 교과서가 매우 제한적이고 내용도 많지 않았다. 둘째, 중국교과서의 한국 관련 내용은 대부분 현재보다 과거의 내용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한국의 발전상 및 전세계적으로 유행인 K문화를 소개하는 내용은 찾아볼수 없었다. 셋째, 교과서가 국가적 관점에서 통일된 내용을 교육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특히 역사 교과서는 민족중심주의에 기초한 중화사상을 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중국에서는 애국주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교과서에 포함된 한국 관련 내용의 오류를 바로잡고 한국의 발전상을 중국 교과서에 수록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가장 중요한 것은정부가 국가이미지 제고를 위한 다양한 홍보사업을 수립하고 이를 여러 경로로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둘째, 한·중·일 공동 역사교과서를 통해 서로에게 객관적인 교과서를 만들어야 한다. 셋째, 정부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은 비공식민간외교를 통한 한국 관련 내용의 수록이다. 넷째, 교과서 관련 종사자들과 지속적인 협의와 회의를 진행해야 한다 This paper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re are few foreigners who have learned about the developed Korea through textbooks, and under the proposition that the image of a developed Korea should be made known by including it in overseas textbooks, what kind of Korea-related content is currently included in overseas textbooks, and based on this, We are seeking ways to include Korea-related content in overseas textbooks. In particular, this paper seeks to examine Korea-related content included in Chines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at a time when Korea, China, and Japan are each showing a sensitive response to the content included in their own textbooks. At the same time, we want to explore various ways to properly include 21st century Korea in Chinese textbooks. Through this, we hope to help ensure that textbooks contain fair and objective content as intended.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Korea-related content in Chinese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textbooks containing Korea-related content are very limited and the content is not much. Among Chinese textbooks, the only ones that contain a lot of Korea-related content are history textbooks and geography textbooks. Second, most of the content related to Korea in Chinese textbooks contains more of the past than of the present. Even excluding the uniqueness of being a history textbook, even in the modern history section, there is no trace of Korea’s development or the K culture spreading globally. Third, considering that textbooks are compiled from the country’s perspective, Chinese textbooks, especially history textbooks, contain Chinese ideology based on ethnocentrism and emphasize China’s love of peace. Although this kind of textbook compilation centered on ethnography may distort the facts or cause misunderstanding, it is currently being widely implemented in China under the Chinese government’s educational guidelines called patriotic education. Fourth, there is almost no Korea-related content in Chines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is is partly because they do not want to describe foreign cultures too much in order to sufficiently educate young students about their own culture, but also because when they mention the cultures of neighboring countries, they are limited to descriptions related to Japan. In order to correct errors in Korea-related content in these textbooks and include Korean development, the following efforts must be made. Firs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 government must establish various promotional projects to improve the national image and continuously promote them in various ways. Second, it is a plan to create objective textbooks for each other through a joint history textbook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Third, what can overcome the government’s limitations is improving Korea’s image through informal private diplomacy.

      • KCI등재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의 생활실태 고찰

        안병삼 한국동북아학회 2012 한국동북아논총 Vol.17 No.1

        In this paper,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to China, leaving the 197 seniors surveys conducted in China and how they live and what is the research on the living conditions. Old Korean Chinese Diaspora people who live with the wife or husband, 55.1% more than half of the response appeared, and Old Korean Chinese Diaspora usually have a day hanging out with friends 37.1%. Old Korean Chinese Diaspora smokers have never smoked once in the response was close to a majority of 49.2%, the result of their drinking and to drink and sometimes close to a majority of the responses was 42.5%. Old Korean Chinese Diaspora people suffering from stomach 19.3% and 13.7% in the joints, digestive system, such as 6.6%. Old Korean Chinese Diaspora people to spend about a month, look at most meals were close to a majority 48.2% of their income for one month Renminbi 1000 won over the majority, 68.9 percent were occupied. The current Old Korean Chinese Diaspora people life satisfaction are somewhat satisfied very satisfied with the positive response is not very happy about 73% are not satisfied with the approximately 3% higher than the overwhelming majority. 본고는 점점 사라져가는 한국의 근ㆍ현대사에서 중국으로 떠난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 197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생활실태를 조사한 논문이다. 이를 통하여 급격히 사라져가는 그들의 생생한 삶을 여러 각도에서 조명하여 기록으로 남기고자 하였다. 다음은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의 생활실태를 다섯 가지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이다. 첫째,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의 거주에 관한 생활실태이다. 그들 중 ‘아내 혹은 남편과 함께 산다’고 응답한 경우가 55.1%로 과반수로 나타났다. 그들이 주로 하는 일은 ‘친구들과 놀기’가 37.1%로 가장 높았다. 둘째,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의 건강에 관한 생활실태이다. 그들 중 ‘한 번도 담배를 피운 적이 없다’ 49.2%, ‘피다가 끊었다’ 31.1%이었다. 이는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들의 80.3%가 현재 흡연을 하지 않고 있음을 말해준다. 셋째,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의 수입과 지출에 관한 생활실태이다. 그들이 한 달에 가장 많이 지출하는 부분은 48.2%의 식사로 과반수 가까이 되었다. 이외에는 병치료(약값) 27.4%, 물건 구입 10.7%, 술과 담배 9.6% 순으로 나타났다. 한 달 소득에 대해 살펴보면 인민폐 1,000원 이상 68.9%, 인민폐 700원 이하 26.0%, 인민폐 500원 이하 4.6%, 인민폐 200원 이하 0.5%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의 경험에 관한 생활실태이다.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들은 ‘현재 생활에 만족한다’의 긍정적인 응답이 약 73%로 매우 높게 나왔다. 다섯째,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의 한국과 관련된 생활실태이다. 그들 중 ‘한국에 가 본 적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는 67.5%로, ‘가 본 적이 있다’의 32.5%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한국에 대한 소식은 ‘텔레비전을 통해 듣는다’가 65.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종합하면,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들은 과거 젊은 시절에는 수많은 고생을 하였지만 현재는 중국에 잘 적응하였고 경제적으로도 비교적 여유로운 삶을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에 많은 신경을 쓰면서 흡연과 음주를 줄이고 있으며, 대체로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왔다고 자부하였다. 이러한 노인세대의 삶을 바탕으로 그들의 자손들은 중국에서 더욱 더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다만 ‘한국에 가 본 적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67.5%로 높게 나타났는데 한국정부가 이들을 위한 모국 방문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해외 한민족학교의 교가 비교 연구

        안병삼,임영언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chool song of Chinese-Korean schools in China and Chosun schools in Japa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song of the Chinese-Korean schools and Chosun schools are as follows. First, Most school song of the Chinese-Korean schools and Chosun schools have a strong political image. Second, There was a lot of racial awareness in the Chinese-Korean schools and the Chosun schools. Third, The purpose of learning in the Chinese-Korean schools and Chosun schools was clearly different. The purpose of learning Chinese-Korean schools was to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a socialist country, to contribute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China, to inspire Chinese thought and prosperity of the Korean people. At the Chosun schools in Japan, it was the purpose of learning to become the sons and daughters of North Korea’s Kim Il-sung, become the pillars of the country and become the protagonist of future unification. Fourth, Although it was difficult to find it in the Chinese-Korean schools, the idea of individual worship often appeared in the Chosun school. Fifth, Although it was difficult to find references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Chinese-Korean schools, it seems that the Chosun schools are frequently expressing plans for unification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Sixth, Both Chinese-Korean schools and Chosun schools have titles in the school song. 이 연구의 목적은 해외 한민족 중에서 중국의 조선족학교와 일본의 조선학교를 대상으로 교가를 비교 ․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중국 조선족학교와 일본 조선학교의 교가에 나타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조선족학교와 일본 조선학교 교가는 대부분 정치색이 매우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조선족학교와 일본 조선학교 교가에는 민족의식 고취 내용이 많이 나타났다. 셋째, 중국과 일본의 민족학교 교가에서 배움의 목적은 명확히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조선족학교의 배움의 목적은 사회주의국가 건설에 공헌, 중국 경제발전에 공헌, 중화사상 고취, 조선민족의 번영 등이었고 일본 조선학교에서는 북한의 발전과 김일성수령의 아들딸들이 되고, 나라의 기둥이 되며 장래 통일의 주역이 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삼았다. 넷째,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에서는 찾아보기 힘들었지만 일본 조선학교 교가에서는 개인숭배사상이 자주 등장하였다. 다섯째,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에서는 한반도에 대한 언급을 찾아보기 힘들었지만 일본 조선학교 교가에서는 한반도의 통일과 통일을 위한 방안들을 자주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와 일본 조선학교 교가 모두 교가의 제목을 따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 KCI등재

        中國 朝鮮族學校 校歌 分析 - 길림성을 중심으로 -

        안병삼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硏究 Vol.- No.62

        This paper studied the school song of the Chinese-Korean school in China's Jilin Province. For this paper, the authors in August 2010 and February 2011 for activities in China were collected 130 school song of the Chinese-Korean school. When the analysis period, the school was founded in the 1940s was the highest. To 21 accounted for 16.2 percent. Founded in the 1920s, the school's school song was the second highest percentage. To 19 accounted for 14.7 percent. Analysis of survival according to whether, The presence of the school song 71 for 55%. Schools have already gone into the school song 59 accounted for 45%. Features of the composer is as follows: First, the school song composers, most did not make much of a composer. Second, the Chinese-Koreans in school song writing, there were many people involved with. Third, there are Chinese-Koreans school song has multiple editions. features of the lyricist are as follows: First, The creative writers, many schools did not the school song. Second, the group took part in the lyrics work. Third, Through documents to find the lyricist had a number of the school song. 본 논문은 중국 길림성 조선족학교의 교가 130개를 다각도로 분석한 것이다. 교가를 시대별로 살펴보면, 가장 많은 학교가 있는 시기는 1940년대와 1950년대였다. 1940년대 설립된 조선족학교의 교가가 21개, 1920년대 설립된 조선족학교의 교가는 19개였다. 교가를 현존하는 학교와 이미 폐교된 학교로 나누어 살펴보면, 현존하는 조선족학교의 교가는 71개, 이미 폐교된 조선족학교의 교가는 59개였다. 조선족학교의 교가의 작곡가 현황을 통하여 알 수 있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가의 작곡가들은 여러 학교의 교가를 작곡하지 않았다. 둘째, 조선족학교의 교가의 작곡은 여러 명이 함께 참여한 경우가 많았다. 셋째, 조선족학교마다 몇 개의 교가 판본이 있다. 조선족학교의 교가의 작사가 현황을 통하여 알 수 있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가의 작사가들은 여러 학교의 교가를 창작하지 않았다. 둘째, 집체가 작사한 경우가 많았다. 셋째, 문헌을 통해 작사가만 알 수 있는 교가가 다수 있었다. 조선족학교의 교가의 박자를 살펴보면, 4/4박자의 곡이 67.6%인 88곡으로 가장 많다. 2/4박자는 12곡으로 9.2%를 차지한다. 3/4박자는 2곡이 있다. 변박자로 구성된 교가도 6곡이나 있다. 조선족학교의 교가의 가사에 나타난 인명을 살펴보면 주덕해, 한배검, 석가모니, 려금란, 뢰봉, 뢰녕 등이다. 지역적으로 보면 인명이 등장한 조선족학교의 교가는 모두 5개 학교이며, 이들 학교는 연변조선족자치주에 소재한 학교들이다. 중국 조선족학교의 교가의 가사에 나타난 지명을 살펴보면 모두 60여 곳이다. 가장 많이 언급된 지명은 장백(산) 즉 백두(산)로, 조선족학교 6개교의 교가에서 사용되었다.

      • KCI등재

        포스터를 통해 바라본 백제문화제 -최근 10여 년을 중심으로-

        안병삼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人文科學硏究 Vol.47 No.-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ekje Cultural Festival's official posters of the last 10 years as a research subject, and at the same time seek ways to develop the Baekje Cultural Festival into a more solid regional festival. To this end, after examining the changes of the Baekje Cultural Festival,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through the objective facts and metaphorical expressions shown in the official poster of the Baekje Cultural Festival. In terms of objective facts, changes in the supervision and hosting of the Baekje Cultural Festival, the timing and duration of the Baekje Cultural Festival, the use of the theme and subtitle of the Baekje Cultural Festival, and the excavation and publicity of the brilliant cultural heritage of Baekje were considered. In terms of metaphorical expression, it was examined that the poster of the Baekje Cultural Festival does not show the phenomenon or message it wants to convey as it is, but indirectly and implicitly by adding another image or replacing it with a completely different unrelated image. The Baekje Cultural Festival, which has been going on for nearly 70 years, is making various efforts to rediscover the true face of Baekje, a powerful cultural power in ancient East Asia 1400 years ago, and to look back at its history and culture in the 21st century, understand it, and enjoy it together. As a local festival, local residents enjoy it together, and as one of the few historical and cultural festivals in Korea, we are striving to develop it into a representative Korean festival that brings excitement, pleasure, and educational effects. Now, following the World Baekje Exhibition in 2010, we are preparing for the Great Baekje Exhibition again in 2023. At this time, it can be said that the work of looking back on the Baekje Cultural Festival of the past 10 years and making a better Baekje Cultural Festival based on this has a very important significance. 본 논문은 최근 10여 년의 백제문화제 공식 포스터를 연구대상으로 그것에 나타난 특성을 고찰하는 동시에 이를 통해 백제문화제가 더욱 공고한 지역축제로 발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백제문화제의 변천을 고찰한 후 백제문화제 공식 포스터에 나타난 객관적 사실과 메타포적 표현을 통해 나타난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객관적 사실에 있어서는 백제문화제의 주관·주최의 변화, 백제문화제의 개최 시기와 기간, 백제문화제의 주제와 부제의 활용, 백제의 찬란한 문화유산의 발굴과 홍보 등을 고찰하였다. 메타포적 표현에 있어서는 백제문화제의 포스터가 전달하고자 하는 현상이나 메시지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다른 이미지를 더하거나 완전히 다른 상관이 없는 이미지로 대체하여 간접적이며 암시적으로 보여주는 있음을 살펴보았다. 70년 가까이 이어온 백제문화제는 1400여 년 전의 고대 동아시아의 강력한 문화대국인 백제의 진면모를 재발견하고, 그 역사와 문화를 21세기에 다시 바라보고 이해하고 다 함께 즐기려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 축제로서의 지역 주민이 함께 즐기는 동시에 국내의 몇 안 되는 역사문화축제로써 감동과 즐거움, 그리고 교육적 효과 등이 함께하는 대표적인 한국의 축제로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금 2010년 세계대백제전에 이어 2023년 다시 대백제전을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지난 10여 년의 백제문화제를 뒤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좀 더 나은 백제문화제를 만들어가는 작업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말할 수 있겠다.

      • KCI등재

        中國 朝鮮族學校 校歌에 나타난 한민족공동체의식

        안병삼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4 민족문화논총 Vol.57 No.-

        This study used the school song of Chinese-Korean school in China. In this paper, Chinese-Korean School school song appears on Herditary identification, cultural identification, Linguistic identification, through the historical sense of community for the Korean people were investigated. Herditary identification means that Chinese-Koreans himself would want to say that the same ethnic race. the Korean people have been called the “white-clad race.” Cultural identification means that Chinese-Koreans also sharing traditional Korean culture. Linguistic identification means that the Korean people are one ethnic race speaking one language. Historical identification means that Chinese-Koreans have a shared history with the Korean people. 본 논문은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를 대상으로 조선족이 민족정체성 유지를 위해 민족의 동질성, 즉 모국과의 동일시를 추구하여 한민족공동체의식을 고취시켰다는 사실에 집중하였다. 다시 말해, 중국 조선족은 학교 교가를 통해 비록 민족은 한반도와 분리되어 있지만 조선족도 같은 한민족의 뿌리를 두고 있으며 같은 역사, 같은 민족, 같은 문화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학생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이러한 중국 조선족의 모국과의 동일시 현상은 한민족공동체의식을 형성하게 하였고 조선족의 민족정체성을 유지하는 기초가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에 나타난 종족적 동일시, 문화적 동일시, 언어적 동일시, 역사적 동일시 등을 통해 한민족공동체의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 KCI등재

        韩中当代女性作家笔下的女主人公“神经症”现象

        안병삼 한국비교문학회 2008 比較文學 Vol.0 No.46

        This paper comparative study on heroine's neuropathy in the works of Korean and Chinese female writers. As time and individual ideas changed, the female can not keep silent any more, they have to say “No”. They unconsciously felt uneasy while resisting the male chauvinism. This was considered as “neuropathy” by men. Female writers express about heroine's neuropathy in the their works. Many heroines have a Hypochondria、Hysteria、Anxiety、obsessive-compulsive neurosis、Phobia and so on. However, w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is that, in China, both unmarried and married females had mental problems while in Korea, most of the females who had mental problems were married wome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husbands deteriorated, so that they were either sent to a mental hospital or abandoned by their husbands. Some even tried to commit suicide. In Korea, most of those women would never live a normal life again in the real world. Put it this way:In a world where women are not understood by men, if they are judged to be having mental problems, women in Korea would live a much more cruel and miserable life than women in China. This thesis compares the stories written by female writers in Korea and China. There is not only comparable similarity but also differences in different culture backgrounds between the two kinds of love stories. Thus, the thesis should concentrate on both similarity and differences, especially the different culture background and national character. This paper comparative study on heroine's neuropathy in the works of Korean and Chinese female writers. As time and individual ideas changed, the female can not keep silent any more, they have to say “No”. They unconsciously felt uneasy while resisting the male chauvinism. This was considered as “neuropathy” by men. Female writers express about heroine's neuropathy in the their works. Many heroines have a Hypochondria、Hysteria、Anxiety、obsessive-compulsive neurosis、Phobia and so on. However, w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is that, in China, both unmarried and married females had mental problems while in Korea, most of the females who had mental problems were married wome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husbands deteriorated, so that they were either sent to a mental hospital or abandoned by their husbands. Some even tried to commit suicide. In Korea, most of those women would never live a normal life again in the real world. Put it this way:In a world where women are not understood by men, if they are judged to be having mental problems, women in Korea would live a much more cruel and miserable life than women in China. This thesis compares the stories written by female writers in Korea and China. There is not only comparable similarity but also differences in different culture backgrounds between the two kinds of love stories. Thus, the thesis should concentrate on both similarity and differences, especially the different culture background and national character.

      • KCI등재

        중국 지역 한국 호남향우회 활동과 그 특징 고찰

        안병삼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본 논문은 중국 지역 12개의 호남향우회를 대상으로 그 활동사례 등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통해 지역향우회의 지속적 발전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중국 지역 호남향우회의 모든 활동을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최대한 많은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중국 호남향우회의 주요 활동은 지역사회에서의 봉사, 향우회간 협력을 위한 교류, 타 기관과의 업무 협약 체결, 중국 정부와의 상호 협조 구축, 북한돕기 활동, 5・18기념행사 개최, 정기적 행사 실시 등이었다. 중국 호남향우회의 특징은 호남향우회 숫자의 적음, 폐쇄적으로 운영, 회원 수의 정체와 노령화, 통합기구의 운영, 향우회 수입원의 부족, 향우회의 소규모 운영, 정기적 발행 소식지 부재 등이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호남향우회가 앞으로 해결해야 할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해서 개선점을 제시하였고 지자체에게도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ase studies of 12 Honam hometown association(湖南鄕友會) in China and to find out how to develop them continuously through its characteristics. As for the research method, all activities of the Honam hometown association in Chin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nline and offline as much as possible. The main activities of the Honam hometown association in China are volunteering in the community, exchanges for cooperation among the friends, signing business agreements with other organizations, establishing mutual cooperation with the Chinese government, helping North Korea, holding May 18th anniversary events, and conducting regular events Etc.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nam hometown association in China were Fewer association groups, the number of members operating closed, stagnating and aging members, the operation of an integrated organization, the lack of income sources, the small-scale operation, and the absence of regular publication news. In addition, based on this, the Honam hometown association presented improvement points for various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future, and also presented policy directions to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중국 영화검열에 나타난 배타성 연구

        안병삼 한국동북아학회 2010 한국동북아논총 Vol.15 No.1

        This thesis study on the exclusivism of censor a film in China. In order to study this paper, I started to investigate law of censor a film and movies in China. And I tried to find that why exclusivism came out from censor a film in China. I think that The exclusivism of censor a film have two type. One is exclusivism of ideology and the other is exclusivism of expression. If that is the case, We need to analyze the cause of the exclusivism. First, Because China is a socialist state. So the Chinese Communists can not accept a new ideology. Second, Because Things are trending toward nationalism in China. So the Chinese Communists can not accept a new culture. Consequently, simply spurs increased and dangerous nationalism among the Chinese people. Most importantly, Nationalism is based on Sinocentrism in China. Sinocentrism is any ethnocentric perspective that regards China to be central or unique relative to other countries. In pre-modern times, This took the form of viewing China as the only civilization in the world, and foreign nations or ethnic groups as barbarians of different degrees, a distinction known in Chinese as the Hua-Yi distinction. Third, Because Chinese peoplehood have a strong leaning towards conservatism. 본 논문은 중국 영화검열에 나타난 배타성을 연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영화를 검열하는 관련법과 검열에 통과하지 못한 영화들의 실제 사례를 통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고 이러한 영화검열에 왜 배타성이 나타나는지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중국 영화검열에 나타난 배타성은 두 가지로 표출되고 있다. 하나는 이데올로기적인 배타성이고 또 다른 하나는 표현적인 배타성이다. 전자는 중국 공산당이 정권의 안정과 사회 질서를 목적으로 다른 사상적인 부분을 배척하는 것이고, 후자는 중국 정부가 자국의 전통적 풍속과 문화를 보전하기 위해 서양의 과감한 예술적 표현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처럼 중국 영화검열에 배타성이 나타나는 원인은 2,000여 년간 계승되어온 역사에 근거하여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첫째는 중국식 사회주의 체제의 특성 때문이다. 즉 중국 공산당은 공산당의 집권을 반대하는 어떠한 사상도 용납하지 않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는 중국의 민족주의적 성향 때문이다. 중국에서의 민족주의적 성향 강화는 두 가지 역사적 경험에서 출발한다. 하나는 19세기 이후 서구 열강의 침탈로 인한 중화주의의 심각한 손상과 자존심의 상처로 인해 생긴 피해의식과 그것을 극복하고 다시금 중국 중심의 세계질서를 만들겠다는 민족적 자존심, 그리고 강대국의 지위를 회복하겠다는 심적 요인이 작용한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1980년대 개혁개방이래 연평균 10%가 넘는 고속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데 원인이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 모두가 중화사상에 기초한다는 사실이다. 셋째는 중국인의 보수적인 민족성 때문이다. 중국인의 보수적인 민족성은 중국인들로 하여금 새로운 사상과 문물을 받아들이는 데 적극적이지 못하게 만들었고, 이러한 결과는 영화검열에서 중국 공산당의 헤게모니에 일반 중국인들이 그대로 순종하게 하였고, 전통적 풍속과 다른 서구에서 들어온 사고와 행위는 전통적인 사상이나 관념의 보호차원에서 철저하게 배척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의 민족정체성 연구: 중국 연길시를 중심으로

        안병삼,허성태 한국동북아학회 2011 한국동북아논총 Vol.16 No.2

        The point of this study is about ethnic identity of old korean diaspora in China. After analyzing the ethnic identity of old korean diaspora in Chin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ld korean diaspora in China who use a Korean alphabet their everyday life. The portion of using Korean alphabet accounted for 84.3 percent. Second, When looking about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ethnic identity id indicated to be higher when they can freely use Korean language, enjoy korean diaspora's food, and well keep korean diaspora's traditional customs and festive days. Third, old korean diaspora in China who gradually assimilated into the China culture. they also agree with this opinion in principle. Fourth, old korean diaspora in China who do not agree that their sons and daughters married with Chinese race, because they think marriage have to do same race each other. What Diaspora in the age of Globalization should do is not only to adapt to the politics, economics, and society of the host country, but also to play an important role to both the host country and homeland while maintaining their cultural identity. in the environment of Globalization both the host country and homeland of diaspora aim to pursue their benefits by using Diaspora. And the Diaspora also hope to main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host country and homeland. 본 논문은 한국의 근ㆍ현대사에서 중국으로 떠난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 197명을 대상으로 중국 현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들이 가지고 있는 생활 인식과 민족정체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에 따른 생활 인식의 설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들은 중국에서 살아오면서 가장 힘든 시기로 72.4%가 문화대혁명시기를 꼽았다. 둘째,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들이 중국에 살게 된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는 71.6%가 중국이 고향이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셋째,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에게 중국은 조국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50.3%를 차지하였다. 넷째,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들이 소수민족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당한 적이 있는 지에 대해서는 ‘전혀 없다+별로 없다’의 응답이 약 52%로 ‘약간 있다+매우 많다’의 약 19%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에 따른 민족정체성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생활에서 주로 사용하는 언어는 조선어라고 응답한 경우가 84.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들의 한국어 실력은 ‘약간 잘 말할 수 있다+아주 잘 말할 수 있다’의 응답이 약 55%로 ‘전혀 말하지 못한다+약간 말할 수 있다’의 약 19%보다 휠씬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가 점차 한족과 동화되어 간다고 생각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약간 그렇다+매우 그렇다’라고 인정하는 응답이 약 67%로 ‘전혀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라고 부정하는 약 15%의 응답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의 자녀가 한족과 결혼했는지 여부를 보면,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75.6%로 ‘그렇다’의 7.6%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아직까지 많은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이 결혼할 때에는 다른 민족보다는 민족적 동질성이 강한 같은 민족과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의 자녀가 한족과 결혼하는 것을 반대하는지 여부에 대해 살펴보면, ‘매우 반대한다+약간 반대한다’의 부정적인 응답이 약 69%로 ‘찬성한다+매우 찬성한다’의 약 13%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들은 자식들이 타민족과 결혼하는 것에 반대하는 이유는 민족동질성이 강한 같은 민족끼리 결혼해야 한다는 것이었는데 45.9%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찬성하는 의견으로는 ‘민족은 중요하지 않다’가 19.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가 생각하는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시급한 문제로는 ‘한족으로의 동화’로 33.2%가 응답하였다. 여덟째,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의 민족에 대한 자부심은 ‘그렇다+매우 그렇다’의 긍정적인 응답이 약 76%로 ‘전혀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의 약 6%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홉째,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가 민족의 역사, 전통, 관습 등에 대해 이해도는 ‘그렇다+매우 그렇다’의 긍정적인 응답이 약 81%로 ‘전혀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의 약 1%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열째, 중국 코리안 디아스포라 노인세대는 한국으로 돌아가서 말년을 보내고 싶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