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 연구 -당안관 자료의 외부 공개-

        안병삼 ( An Byung-sa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8 No.-

        본 논문은 중국 조선족학교를 대상으로 그 학교의 ‘울타리 문화’를 형성한 목적과 그 내용을 분석하였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울타리 문화’란 조선족학교가 교문을 포함하여 학교주변을 둘러싼 울타리(담장), 학교 게시판 및 학교 건물 외벽 등 사람이 많이 다니는 장소에 학교의 여러 가지 정보를 보여주고 있는 문화를 가리킨다.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에서 볼 수 있는 자료는 학교의 역사는 물론 상부에서 받은 표창, 공문서, 학교 규칙, 학생들의 수상내용, 시간표, 교표, 교가, 교훈, 상장, 활동 사진, 졸업 사진 등 실로 다양한 자료들이다. 또한 조선족학교가 ‘울타리 문화’를 통해 이루고자 한 목적은 내부 구성원들에게는 학교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외부인들에게는 학교를 알리는 홍보 역할과 더불어 정부의 정책을 선전하는 선봉의 역할을 하면서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충실히 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의 내용을 장소별로 크게 세 곳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교문과 학교를 둘러싸고 있는 울타리(담장)에 나타난 당안 내용이다. 교문에는 학교의 명패가 있다. 교문 바로 옆 경비실 주변의 울타리(담장)에는 상급 기관의 문건, 학교의 알림, 학생 규칙, 학교 당직자 및 휴식 시간표, 스쿨버스 시간표, 사회 안전 및 범죄예방 포스터, 학교 교과주임과 담임 배정표 및 각 과(科)와 실(室) 인원배치표, 일과표, 수업 시간표, 학비 공고 등이 있었다. 교문과 거리를 두고 있는 울타리(담장)에는 주로 공산당 및 사회주의 선전 문구, 전통문화 그림, 항일열사 소개 등이 있었다. 둘째, 학교 게시판의 당안 내용이다. 학교 내 설치 게시판에는 학교에 관한 내용인 학교의 역사, 학교 이념, 교훈, 교가 등 학교소개, 학교 관리 설명, 인성교육 자료, 민족교육 홍보, 선진문명 실천에 대한 포스터 등이 있다. 학교 외부에 설치한 게시판에는 학교 통지의 여러 문건이나 학교의 알림, 학교의 자랑거리, 스쿨버스 정보 등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밖에서 바라보이는 학교 건물 외벽의 당안 내용 등이다. 건물 외벽에는 각종 학교가 지향하는 배움의 방향을 나타내는 문구들이 있다. 중심 건물의 가운데에는 교표가 걸려 있고, 건물 벽에는 학교의 교훈, 학교가 내세우는 문구 등이 쓰여 있다.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는 여러 가지 특징을 내포하고 있었다. 첫째,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의 가장 많은 내용을 차지하는 것은 당정관리 자료(黨政管理類)였다. 이것은 당정관리자료의 당안 범위가 46가지로 가장 많은 종류를 포함하기 때문인 동시에 당·정의 공문서와 학교의 공문서들은 학교를 통해 반드시 학교 구성원들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구성들에게도 전달되어야 하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둘째,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에서 민족적 색채가 사라져가고 있다. 정문에서부터 울타리, 게시판, 외벽에서 보이는 변화들은 아무도 느끼지 못할 정도로 서서히 중국화가 되어 가고 있었다. 셋째,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 에 통일성이 없었다. ‘울타리 문화’를 구성하는 정문, 울타리(담장), 게시판, 건물 외벽의 내용들이 학교마다 서로 다른 장소에 배치되어 있었고, 서로 다른 내용들의 당안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넷째, 도시와 농촌 학교 간 ‘울타리 문화’의 격차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다섯째, 조선족학교는 ‘울타리 문화’를 통해 지역사회와 소통을 하고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in China. This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refers to a culture in which Chinese-Korean schools display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bout schools including fences, fences surrounding fences, school bulletin boards, and exterior walls of school buildings. The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have a lot of documentations. for example, the history of Chinese-Korean school, the direction of school, the contents of school administration, the contents of learning, information about students and teachers. The important fact that contents have been released through the fence cultures is the fact that documents of the Archive(檔案館, Dang An Gwan). In this paper, the content of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is divided into three places by place. First, the information shown in the fence surrounding the school and school gate. Second, it is the content of the school bulletin board. Third, it is the content of the Archive, including school buildings facades overlooking outside. The fence culture of the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had many characteristics. First, the most important contents of the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were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documents. Second, the ethnic color is disappearing from the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Third, there was no unity in the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Fourth, the gap of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between urban and rural schools was very large. Fifth, Chinese-Korean School is communicating with local community through ‘Fence culture’. I hope that the interest in various school culture of Chinese Korean schools and the systematic research and study in various angles will be actively pursued.

      • KCI등재

        중국 조선족학교 档案馆 운영 실태 및 그 특징

        안병삼(An, Byung-Sam)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한국민족문화 Vol.71 No.-

        본 연구는 중국 조선족학교의 역사, 교육방향, 학교행정, 학습내용, 학생 및 교사 등에 대한 정보, 교육국의 공문서 등 온갖 방대한 자료를 보관하고 있는 조선족학교 ‘당안관(档案馆)’을 대상으로 그 운영실태 및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모든 조선족학교 장정(章程)에는 당안관리규정이 들어있고 각 지역 교육국마다 당안 관리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조선족학교에서는 규정대로 운영되고 있지는 않았다. 당안관에 보관하는 당안들은 모두 7가지로 ① 상급기관이 반포한 학교와 관련한 지도성 문건. ② 매학기 교사와 학생들의 인명부. ③ 각 학년조, 담임, 교연조, 개인의 학년 혹은 학기 업무계획, 종결, 논문, 획득한 상장 등 자료. ④ 덕육재료, 각종 통계자료, 담임 업무수첩 등. ⑤ 학교 각 부서의 제도. ⑥ 학교 교육교학의 간략보고서, 비디오, 녹음, 사진 등. ⑦ 기타 교학활동과 관련한 중요한 자료 등이다. 조선족학교 당안관의 내용과 그 당안의 보존기한 역시 규정이 있었다. 이 규정에는 당안 유형을 크게 여덟 종류로 구분하였는데, 당정관리 자료(党政管理类), 교육교학 자료(教育教学类), 교과 연구 자료(科研类), 학교건물 관리 자료(基建类), 학교설비 자료(仪器设备类), 재무·회계 자료(财会类), 시청각 자료(声像类), 실물 자료(实物类) 등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영구보존이고 나머지는 장기보존, 단기보존으로 나누었다. 또한 조선족학교 당안관 운영의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어떤 자료보다도 당과 관련된 문서가 가장 양도 많고 중요하게 취급받고 있다. 둘째, 당안관에 보관된 당안들은 중문자료와 한글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셋째, 당안관 운영의 기준이 모호하였다. 넷째, 학교에서 당안 자료의 보관이나 관리 등은 교장이 가장 많은 결정권을 가지고 있다. 다섯째, 당안관 운영에 있어서 도시 학교가 농촌학교보다 상대적으로 잘 운영되고 있었다. 여섯째, 당안 기록과 관리를 위한 전문적인 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일곱 번째, 학교마다 당안관 자료의 분류는 통일되지 않았다. 조선족학교 당안관의 자료 발굴과 연구는 비록 매우 중요한 연구분야이지만 지금까지 전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조선족학교 당안관 연구는 지금이 바로 골든타임이다. 앞으로 중국 조선족학교의 당안관을 대상으로 여러 각도의 체계적인 자료 발굴과 연구가 요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Korean School’ Archive(档案馆, Dang An Gwan) in China. This Chinese-Korean School’ Archive have a lot of documentations. for example, the history of Chinese-Korean school, the direction of school, the contents of school administration, the contents of learning, information about students and teachers. All the Chinese-Korean Schools have a documentation management regulation. However, many Chinese-Korean Schools do not operate as prescribed by documentation management regul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of the Chinese-Korean School’ Archive were as follows. First, all documents related to the party are treated as being the most prevalent and important than any material. Second, the documentation stored in the Chinese-Korean School’ Archive are composed of Chinese documentation and Korean documentation. Third, the standard of operation of the Chinese-Korean School’ Archive was ambiguous. Fourth, the principal has the most decision - making authority in the archiving and management of documentation at Chinese-Korean School. Fifth, Urban schools were operated relatively better than rural schools in the operation of the Chinese-Korean School’ Archive. Sixth, the professional education for the record and management of the documentation was not done well. Seventh, the classification of the Chinese-Korean School’ Archive was not unified for each school. Although the research and study of the Chinese-Korean School’ Archive is a very important research area,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at all.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find out and study documentation at Chinese-Korean School’ Archive.

      • KCI등재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의 歌詞연구

        안병삼(An Byung-Sam)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9 No.-

        본 논문은 중국 조선족 집거지의 인구가 급격하게 감소하면서 빠르게 사라져가는 조선족학교의 교가에 대한 발굴 및 분석을 통하여 한민족 문화의 자산을 보존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2010년 8월과 2011년 1월 두 차례에 걸쳐 중국 길림성 각지를 돌아다니면서 저자는 현존하는 조선족학교의 교가를 비롯하여 이미 폐교된 조선족학교의 교가 130개를 수집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이렇게 수집된 중국 길림성 조선족학교 교가 130개이다. 연구대상 교가를 시대별로 살펴보면, 1940년대 설립된 조선족학교의 교가가 21개로 가장 많으며 이는 전체의 16.2%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1920년대 설립된 조선족학교의 교가로 19개이며 전체의 14.7%를 차지한다. 이외에도 1950년대가 18개로 전체의 13.9%이다. 교가를 현존하는 학교와 이미 폐교된 학교로 나누어 살펴보면, 현존하는 조선족학교의 교가는 71개로 전체의 55%를 차지하고 이미 폐교된 조선족학교의 교가는 59개로 전체의 45%를 차지한다.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에는 여러 교육목적은 물론 당시의 시대상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 먼저 1900년대부터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전까지 개교한 조선족학교 교가의 가사를 살펴보았다. 이 시기 조선족학교들의 교가는 중요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일제 강점기 조국의 현실을 반영하고 민족정신 함양과 민족수난 극복을 위한 가사라는 것이다. 이는 일본에 대한 적개심을 고취시키고 반일사상을 강화하여 독립쟁취의 의지를 북돋기 위함이었다. 다음으로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부터 2000년대에 개교한 조선족학교 교가의 가사를 살펴보았다. 이 시기의 교가는 주로 각 시기별 정치적 변화에 따라 공산당과 사회주의 찬양, 중화사상, 학교 자랑, 민족정신 고양 등으로 내용이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started as an endeavor to preserve Korean culture property through the discovery and analysis about school’s songs of Korean schools in the Chinese-Korean residence, of which population is quickly disappearing. Through two sessions in August 2010 and January 2011, authors collected 130 school songs from existing Korean schools to already closed Korean schools by going around China Jilin Province. This paper’s subject of research is the 130 songs collected from China Jilin Korean schools. By looking at the subjects of research by historical periods, the schools founded in the 1940s have 21 songs which accounts for 16.2% and the school founded in the 1920s have 19 songs which accounts for 14.7%. Other schools founded in the 1950’s have 18 songs which accounts for 13.9%. By looking at the school’s songs by closed schools and existing schools, the existing schools have 71 songs which accounts for 55% and closed schools have 59 songs which accounts for 45%. Chinese-Korean schools reflect the period’s background as well as serving various educational purposes. First we saw the school songs of the Korean school’s that opened between the 1900s and 1949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this period, Korean school’s songs had an important thing in common. They had lyrics that reflected on a Korea’s reality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o overcome suffering and cultivate national spirit. This was to raise the will for independence by strengthening anti-Japanese thoughts and hatred against Japan. Next, we looked at the school song’s lyrics of the Korean schools that opened in the 2000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school songs of this period, mainly depending on each period’s political changes, can tell us the information’s variety through parise of communist and socialism, China ideology, school pride and cultivating national spirit.

      • KCI등재

        전공 수업 ‘초급중국어회화’에서의 PBL 적용 사례 연구

        안병삼(An, Byungsam)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0 No.2

        본 연구는 PBL 수업 방식을 중국어 전공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중국어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중국어 말하기와 그에 대한 평가를 시행 수 있는 수업을 만드는 데 그 학습 목표를 두고 있다. 이에 2020학년도 2학기에 1학년 중국어 전공과목으로 개설된 ‘초급중국어회화’ 교과목을 대상으로 12주차부터 16주차까지 총 5주간 PBL 방식을 수업에 적용하여 기존의 교수 중심 강의 방식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강의로 전환하고자 하였다. ‘중국어회화’라는 교과목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중국어 말하기를 어떻게 진행해야 본 교과목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지 문제를 제기하고, 이러한 문제 해결 방안으로 UCC 촬영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기로 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 스스로 중국어회화를 할 기회를 제공하며 특히 주어진 문제를 개인적인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팀플을 활용한 협업 방식으로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와 주도적인 팀 활동을 통해 학생 본인이 맡은 역할을 충실히 해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설문지 조사를 통해 의사소통능력 향상, 문제 해결 능력 향상 등의 긍정적 효과를 얻어 전반적으로 학생들이 만족하는 PBL 적용 전공 수업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objective of applying the PBL teaching method to Chinese major classes to induce students interest in Chinese and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lass, and to create a conversation-like class that enables Chinese speaking and evaluation. Therefore, for a total of 5 weeks from week 12 to week 16 for the first-year Chinese major course, Elementary Chinese Conversation , which was opene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the PBL method was applied to the class. I wanted to switch to learning. In the subject of Chinese Conversation ,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need to use a lot of Chinese speaking, a question was raised on how to achieve a speech-centered class, and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it was decided to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UCC filming. Through this, students are given an opportunity to speak Chinese on their own, and in particular, it is intended to help improve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collaboration through team members as well as personal problem solving for a given problem.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class as well as team activities to fulfill their role. In addition,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PBL application major class was satisfied with the positive effects of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 KCI등재후보

        한중 당대 소설 속의 여성성 감소 현상 비교 연구

        안병삼 ( Byung Sam An ) 한민족문화학회 2007 한민족문화연구 Vol.21 No.-

        본고는 한중 당대 소설 속에 나타난 여성들의 서로 다른 여성성 감소 현상을 비교 고찰하였다. 한중 두 나라의 여성성 감소 현상에서 가장 분명한 차이점은 한국여성의 여성성 감소는 여성 스스로 자신의 의지에 따라 여성성을 타파한 결과라면 중국 여성의 여성성 감소 현상은 국가에 의해 과도하게 남녀평등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여성성을 상실한 것이다. 또한 한중 여성성 감소 현상은 이러한 성격상의 차이점이외에도 공통적인 문화적 배경이 있었다. 즉 한국과 중국의 여성성 감소 현상 중심에는 두 나라의 남성 중심적인 사고방식이 자리잡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남성 중심적인 문화로 인하여 양국의 여성은 또 다른 길을 가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은 여성의 자각에 의한 스스로의 꾸준한 여성운동을 통하여 여성성 타파를 시도한 결과 여성의 권리를 회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와 반대로 중국은 남성 중심적 유교문화의 타파를 끊임없이 실시하는 과정에서 여성들은 여성성을 상실하였다. 1949년 중국 공산당 정부 수립이후 줄곧 정부 위주로 이루어진 중국의 여성운동은 문화대혁명을 정점으로 남녀평등을 실현한다는 미명 하에 성별의 차이가 무시된 남녀동등이라는 현상을 유발하여 여성으로 하여금 여성성 상실을 야기하였고, 여성성이 상실된 여성은 남성과 사회의 무관심으로 여성으로서 누릴 수 있는 행복한 삶의 권리마저 상실되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두 나라 여성들은 남성과의 원만한 관계정립을 하지 못하였다. 여성성 감소 현상은 전 세계적인 시대적 흐름으로, 한국과 중국의 여성 또한 예외는 아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한중 두 나라 작품에 나타난 여성성 감소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비교 연구하는 것은 한중 두 나라 여성 연구에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compares the works written by female writers in Korea and China. There is not only comparable similarity but also differences in different culture backgrounds between the two kinds of works. Thus, the thesis should concentrate on both similarity and differences, The purpose of the study named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decrease of femininity in the works of Chinese and Korean female writers" is to make a comparative study and understand how to reduce Korean and Chinese Female`s femininity. We can see things different decrease of femininity According as korea and China have a lot of cultural, historical, and ethnic background each other. As a result, Korean female continually tried to break her femininity, Chinese female loss her femininity. There is a common reason about reducing Korean and Chinese Female`s femininity. That is ``Confucianism``. Korean and Chinese Female all live in androcentric society. With the increasing economic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the intercourse between the two peoples and cultures become more and more frequent. Furthermore, the study of Contemporary Culture of Korea and China will enhance the mutual understanding on values, love, beauty and happiness, etc.

      • KCI등재
      • KCI등재후보

        21세기 중국 조선족학교의 ‘학교문화(學校文化)’ 연구 - ‘학교문화’ 변형의 원인 분석 -

        안병삼 ( Byung-sam An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7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11 No.-

        본 논문은 21세기 조선족학교의 학교문화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급격하게 변형되는 모습을 살펴보고,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조선족학교 학교문화를 살펴보았고, 뒤에서 변형된 학교문화와 그 원인을 다각도로 접근하였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단순히 과거 조선족학교 학교문화로의 회귀가 아닌 21세기에 맞는 새로운 조선족학교 학교문화에 대해 생각하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현재 중국 조선족학교는 조선족 집거지의 붕괴와 그에 따른 학생 감소로 수많은 학교가 병합·폐교되면서 사라져갔다. 이에 그동안 지녀왔던 민족적 특색의 조선족학교 학교문화가 변형되거나 흔적도 없이 사라져가고 있다. 그 원인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가장 큰 원인은 역시 학생 부족이다. 둘째, 조선족학교의 정체성 혼란은 학교문화의 변형을 가져왔다. 셋째, 민족교육의 약화는 학교문화의 변형을 가져왔다. 넷째, 교원의 수급불균형과 노령화의 심각성은 학교문화 변형의 원인이 되었다. 다섯째, 조선족공동체 역할의 축소 및 붕괴가 학교문화 변형의 원인이다. 여섯째, 학부모가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것도 학교문화를 변형시킨 원인이다. 본 논문은 조선족학교 학교문화가 변형되는 원인을 다각도로 고찰한 연구이다. 지금의 조선족학교 학교문화의 변형이 앞으로 시대에 맞는 새로운 학교문화로 변화하기를 희망한다. 이를 위해서는 조선족학교가 단순하게 학생 부족만이 가장 큰 문제로 여겼던 기존의 생각을 버리고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여러 복잡한 문제를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고 그 해결 방안이 무엇인지를 고민해야 할 것이다. The school culture of the 21st century Chinese Korean school has been rapidly changing due to various cause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eason why the school culture of the Chinese Korean school is suddenly transformed into various causes. The causes were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cause is the lack of students. Second, the confusion of the identity of Chinese Korean schools has transformed the school culture. Third, the weakening of national education brought about a transformation of school culture. Fourth, the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of teachers and the severity of aging caused school culture change. Fifth, the reduction and collapse of the role of Chinese Korean community is the cause of school culture change. Sixth, the fact that parents do not live with their children is the reason for transforming school culture. The School culture of Chinese Korean school has been rapidly transformed for a long time because the Chinese Korean school has suffered many difficulties such as the abolition of students and the collapse of the Korean house. This paper is a study that investigates the causes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school culture of Chinese Korean schools. This paper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is concerned with what is the solution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school culture of the Korean school.

      • KCI등재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의 음악적 분석과 그 특징 연구

        안병삼(An, Byung-Sam),김수진(Kim, Su-Ji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6 No.-

        본 논문은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 37개를 대상으로 음악의 3대 요소를 분석하고 그 속에 담겨있는 다양한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문에서는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를 음악의 3요소인 리듬, 선율, 화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리듬을 보면,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에서는 박자에 있어서 짝수 박자인 4/4박자를 사용한 교가가 28개로 가장 많았다.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 중 갖춘마디로 시작한 교가는 32개였고, 못갖춘마디로 시작한 곡은 5개였다. 다음으로 선율을 보면, 모든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에서 7음 음계를 사용하였다. 또한 음역을 살펴보면 최저음과 최고음의 음역대를 C’-D”와 C’-E”로 사용한 교가가 각 6개씩으로 가장 많았다. 그 중 최저음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 음은 C’음으로 14개의 교가에서 사용되었고, Bb음은 10개의 교가에서 사용되었다. 또한 최고음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 음은 D”음으로 12개의 교가에서 사용되었고 E”음은 9개의 교가에서, Eb”음은 5개의 교가, C”음은 4개의 교가에서 사용되어 이 네 음을 최고음으로 사용한 교가의 수는 30개였다. 전주를 사용한 교가는 8개였다. 마지막으로, 화성을 보면, 모든 교가의 조성이 장조의 조성을 사용하고 있었다. 성부는 32개의 교가가 제창의 형식으로 되어있었고 5개의 교가는 부분2부합창형식이었다. 또한 중국조선족학교 교가는 모두 정격종지를 사용하였다.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 37개를 음악의 3요소인 ‘리듬’, ‘가락’, ‘화성’을 기준으로 분석하면서 다음과 같은 음악적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교가 대부분 짝수 박자를 사용하였다. 둘째, 부점리듬을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 중 민음표 중심의 곡에서 당김음이 더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다양한 특색이 있는 리듬사용을 하였다. 다섯째,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에는 민요풍의 리듬을 사용한 교가가 있었다. 여섯째, 대부분 교가가 씩씩한 행진곡형이었다. 일곱째, 교가 악보의 오류가 많았다. 가장 많은 악보의 오류는 박자표에 표기된 박자와 맞지 않는 박을 사용한 것인데, 11개 학교의 교가에서 너무 많은 박을 사용하거나 박자를 부족하게 사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usical elements and others of the Chinese-Korean Schools’ 37 school songs and examine the diverse musical characteristics thereof. For this purpose, the school song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three major elements of music: rhythm, melody and harmony. Again, the rhythm was divided into beat, rhythm, complete or incomplete bar and beginning rhythm. On the other hand, the melody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scale, register, prelude or not. Lastly, the harmony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tonality, vocal part and fin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37 school songs of Chinese-Korean Schools in China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school songs used mostly even beats. Second, The school songs used a lot of spot rhythms. Third, The school songs used more pulls. Fourth, The school songs used rhythm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Fifth, There was a school song using folk song-style rhythm in the school building of Chinese-Korean School. Sixth, Most of them were streaked by the school song. Seventh, There were many errors in school song.

      • KCI등재

        중국 조선족학교의 "학교문화" 연구 -교표(校標)를 중심으로-

        안병삼 ( Byung Sam A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3 No.-

        본 논문에서는 중국 조선족학교의 상징체계로서 교표 도안과 그 특징 및 내용을 살펴보았다. 중국 조선족학교는 중국이라는 타국에서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조선족으로서의 민족정체성자각과 학생, 교사 그리고 학부모가 모두 단결할 수 있는 조선족 공동체의 결합을 이룰 수 있는 교표를 만들고자 하였다. 중국 조선족학교 교표의 특징과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먼저, 조선족학교 ‘학교문화’중 교표의 특징이다. 첫째, ‘학교문화’ 교표에 대한 기록이 없다. 둘째, ‘학교문화’ 교표에 대한 다양한 사용방법이 강구되지 않고 있으며 점점 중시도(重視度)가 사라져가고 있다. 셋째, ‘학교문화’ 교표 도안에는 도상(圖像)을 자주 사용하였다. 넷째, ‘학교문화’ 교표 도안에는 학교 영문이니셜을 이용한 상징체계로 조선족학교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다. 다섯째, ‘학교문화’ 교표도안에는 색깔마다 각각의 뜻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조선족학교는 교표에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첫째, ‘학교문화’ 교표에는 조선족학교의 민족의식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둘째, ‘학교문화’ 교표에는 교육적ㆍ지역적 특색을 모두 담고 있다. 즉, 해당 조선족학교의 교육적 이념 및 명칭, 그 지역적 특색 등 다양한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셋째, 조선족학교 ‘학교문화’ 교표에는 시련 극복의 메시지를 많이 가지고 있으며, 해석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조선족학교 폐교와 함께 사라져가는 ‘학교문화’ 중 교표(校標)에 관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는 조선족학교가 그동안 창조한 ‘학교문화’의 소실을 극복하는 의미 있는 작업이며 민족문화영역을 한반도 이외의 지역으로 확대하는 작업이다. 중국에서 한민족인 조선족이 그동안 창조한 다양한 ‘학교문화’가 조선족학교의 폐교와 함께 사라지는 것을 막고 보존되기를 바라며, 이 분야의 연구가 앞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바란다. I have studied the designs, the features, and the contents in the School Symbols of Chinese-Korean Schools in China. These schools have intended to make the students realize their own identity, and also make the students, parents, and all the teachers become one through ‘the School Symbol.’ To begin with, about the recent situations of the School Symbols of Chinese-Korean Schools in China, firstly, there are no written data about it. Secondly, there are no motivated intentions to use the school cultured school symbols in diverse ways, and eventually they have not been used. Thirdly, the iconography is often used. Fourthly, the English initials have been used to indicate that they are not Chinese Schools. Fifthly, there are different colours indicating different meanings.Then, I have studied generally in what the meanings of the School Symbols have. Firstly, the cultured school symbols put emphasis on the students being Koreans in diverse ways. Secondly, they contain a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and district such as the names and the philosophy. Thirdly, there are the messages of overcoming the hardships and trials which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I do hope that this report would motivate researchers to study more of the vanishing school symbol cultures of the Chinese-Korean Schools in China and to help the fewer number of the Chinese-Korean Schools in China to be successive. We Koreans should extend our school activities from South Korea to the Korean descendants outside of this country.

      • KCI등재후보

        韓中 當代小說 속의 女主人公 '幸福' 追求 比較

        안병삼(An Byung-Sam)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5

        본 논문은 한중 당대 여성작가 소설 작품 속에 나타난 서로 다른 여주인공의 '행복' 추구 양상에 대해 비교 · 연구한 것이다. 한중 당대 여성작가 소설 작품 속 여주인공의 '행복' 추구양상에서 가장 분명한 차이점은 한국 여성작가 작품속의 여주인공은 가정으로부터 탈출을 통하여 자아성취를 이루면서 행복을 추구한 반면에 중국 여성작가 작품 속의 여주인공은 자신의 사회적 임무에서 벗어나 가정으로의 복귀를 통하여 자신의 행복을 추구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한중간의 차이점은 한중 양국사이의 정치·사회적 요인에 근거한다. 한국의 경우,정치·사회적으로 유교문화가 지배하는 가운데 여성의 자아실현을 통한 행복추구는 가정 안에서는 도저히 이루어질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여성들은 가정을 박차고 나와 자신의 행복을 추구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와 반대로 중국의 경우, 공산주의 중국정부는 지속적인 남녀평등의 기조를 유지하면서 여성들이 사회로 나와 일을 하도록 유도하였다. 이에 중국 여성들은 가사일에서는 일찍 벗어날 수 있었지만 사회 속에 너무나 많은 임무를 가지게 되었고, 이에 가정의 행복에는 점점 소홀해져갔다. 따라서 여성들은 사회적 임무에서 벗어나 가정으로의 복귀를 통하여 그동안 느끼지 못했던 행복을 추구하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중간의 '행복' 추구 양상의 차이를 통해 당시 서로 다른 사회적 분위기 속에 전개된 한국과 중국의 '정서'를 확연히 보여주고 있다. 한국과 중국에 나타난 여성들의 행복추구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한중 양국의 사회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그 속에 살고 있는 여성들의 사회관이나 행복관 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작업이라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named A comparative Study on Li, Kyung-ja's 『The survival』 and Chen Rong's 『The middle years of life』 is to compare and understand how to pursuit heroine's happiness used in both The survival and The middle years of life received the live of the Korean and Chinese people from the late 20th century. Thus, this study concentrates on both similarity and differences, especially th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and national character. Because different native literature shows different cultural tradition, this study examines not only the similarity, but also the difference in the way of analogy and comparison. In this reason, the further study can be made on the national and cosmopolitan literature. This study is based on comparing research theory, and analyzes the pursuit of happiness in Li, Kyung-ja's The survival and Chen Rong's The middle years of life written by Korean and Chinese female writers in the 80's and 90's of 20th century.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heroine of The survival tries to escape from home, but the heroine of The middle years of life tries to escape from social. This research gave us a better understanding of literature, happiness, consciousness, deep-seated cultural background and philosophy in Korea and China. With the increasing economic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the intercourse between the two peoples and cultures have become more and more frequ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