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일항체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의 In Vitro 화분발아에 대한 Boric Acid의 영향

        안미현,이경진,고기성,Ahn, Mi-Hyun,Lee, Kyung-Jin,Ko, Ki-Sung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7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4 No.4

        식물화분발아는 수분수정을 통한 식물의 종자형성과 식물개체의 지속적 세대유지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oric acid를 이용하여 형질전환 하지 않은 (NT) 식물과 항암활성 (anti-colorectal cancer mAb CO17-1A, anti-breast cancer mAb BR55) 혹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항체 (anti-rabies virus mAb57)의 유전인자를 발현하는 형질전환식물 간의 in vitro pollen germination과 Pollen tube growth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Boric acid의 화분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0, 5, 10, 15, 20, $40{\mu}g/mL$의 농도를 갖는 발아용액 (germination buffer)을 담배식물 화분에 처리하여 pollen germination rate을 본 결과 $20{\mu}g/mL$에서 가장 높게 발아율 (49.5%)을 보였다. Boric acid ($20{\mu}g/mL$)에 대해 형질전환식물과 NT 식물에서 화분발아율을 관찰한 결과, boric acid를 처리하지 않은 화분에 비해 형질전환여부에 관계없이 발아율이 3-10배 증가하였다. 또한, boric acid $20{\mu}g/mL$농도에서 형질전환식물과 NT 식물의 pollen tube length의 성장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간 별로 형질전환 식물들의 Pollen tube length를 확인 한 결과, germination buffer ($20{\mu}g/mL$)를 처리하고 난 후 3시간까지 가장 빠른 성장률을 보였으며, 3시간 후에는 그 성장률이 둔화됨을 확인하였다. Western blot를 이용하여 식물의 화분과 잎에서 황체유전자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화분과 잎에서의 발현을 비교해 본 결과, 잎에서 항체의 안정한 발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20{\mu}g/mL$의 boric acid가 항체발현 형질전환담배식물의 in vitro pollen germination을 보기 위해 가장 적절한 농도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의료용 항체유전자를 발현하는 형질전환식물의 in vitro pollen germination viability를 확인함으로써 형질전환식물의 화분의 안정적인 수분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제시하였다. Pollen germination viability is an essential factor to produce seeds from pollination and fertilization, which are required to maintain plant generation. In this study, we tried to identify the effect of boric acid on pollen germination and tube grouch in non-transgenic and transgenic plants expressing monoclonal antibodies (anti-colorectal cancer mAb CO17-1A, anti-breast cancer mAb BR55, and anti-rabies virus mAb57). The pollen of non-transgenic plant was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boric acid (0, 5, 10, 15, 20, $40{\mu}g/mL$) in germination buffer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in vitro pollen germination. At $20{\mu}g/mL$ of boric acid, tile pollen germination rate was the highest (49.5%) compared to other concentrations. In general, the germination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3-10 folds in boric acid ($20{\mu}g/mL$) treated group in non-transgenic and transgenic plants. Also, the pollen tube length increased in boric acid ($20{\mu}g/mL$) treated groups. In the treated group, the pollen tube length increased until 3 h boric acid treatment and decreased after the 3 h, indicating that the 3 h is the most appropriate incubation time period.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the mAb transgene expression was more stable in leaf than pollen in transgenic plants. This study suggested that $20{\mu}g/mL$ of boric acid is ideal concentration to induce in vitro pollen germination of transgenic plants expressing therapeutic monoclonal antibodies, indicating stable pollination and fertilization in transgenic plants.

      • KCI등재

        배수아의 (번역)글쓰기와 독일 체험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안미현 ( Ahn Mi-hyun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6 獨逸文學 Vol.57 No.4

        In diesem Artikel, dessen Schwerpunkte auf dem Deutschland-Bild in der zeitgenossischen koreanischen Literatur seit 2000 liegen, werden Suah Baes Texte als reprasentative Beispiele behandelt. Die Texte von Suah Bae, die zur Zeit als Schriftstellerin und auch als Ubersetzerin tatig ist, weichen in vielerlei Hinsicht von Normen des Schreibens in der koreanischen Literaturszene ab. In ihren Romanen sind beispielsweise traditionelle Plots großtenteils aufgelost und auch die grammatischen Regeln der koreanischen Sprache werden nicht streng eingehalten. Ihre literarischen Tatigkeiten erstrecken sich auch in den Bereich der Ubersetzung: In ihren Ubersetzungen zeigt sich die Tendenz, dass sie mehr die Lesbarkeit des Textes beachtet als den Originaltexten allzu treu zu bleiben: Sie will die Spur ihrer Ubersetzung nicht unbedingt verhehlen. In Texten Baes werden oft die realen Namen der deutschen Orte, Straßen und Menschen explizit erwahnt: Der Bezug auf Deutschland in ihren Texten stellt also eine Strategie ihres Schreibens dar, `das Fremde` zu thematisieren, das das Dogmatische, das Ideologische und das Dichotomatische der koreanischen Gesellschaft ersetzt.

      • KCI등재

        로베르트 발저의 동화극과 (반)연극성 - 상호텍스트성과 상호매체성의 관점에서

        안미현 ( Ahn Mi-hyun ) 한국독어독문학회 2020 獨逸文學 Vol.61 No.4

        연극에 관한 발저의 텍스트들은 때로는 연극비평의 형태로, 때로는 극장과 연극에 관한 짧은 감상평으로, 또 때로는 자신의 작품 줄거리 속에 에피소드 형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어떤 형태를 띠든 이 텍스트들은 연극에 관한 발저의 식지 않은 열정을 입증한다. 발저의 텍스트 전반에 나타나는 연극성 Theatralität 혹은 반연극성 Anti-Theatralität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는 본 연구에서는 우선 연극과 관련된 발저의 텍스트들을 다룬다. 나아가 초기 연극 대본 Dramolette을 중심 대상으로 삼고, 그중에서도 특히 그림형제의 『아동과 가정 민담 Kinder- und Hausmärchen』을 토대로 하는 동화극 Märchenspiel들을 분석한다. 발저는 실제로 그림 형제의 민담을 바탕으로 「백설공주 Schneewittchen」(1901), 「재투성이 하녀 Aschenbrödel」(1901), 「찔레꽃 공주 Dornröschen」(1920)와 같은 짧은 연극 대본들을 썼다. 그림 형제의 민담 중에서도 너무도 잘 알려진 것들을 택해 연극 대본으로 옮길 때 그는 과연 무엇을 의도했을까? 여러 사람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재맥락화, 재형상화, 콘텐츠화 되었던 그림 민담의 텍스트들이 발저의 동화극에는 어떻게 수용 혹은 변용되었는지를 상호텍스트적 맥락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이때 민담 텍스트가 연극 대본으로 바뀔 때 일어나는 줄거리, 인물, 공간, 언술의 변형 양상들을 상호매체성의 관점에서 논의한다. Robert Walser zeigt schon von früh auf großes Interesse am Theater und verfasst verschiedenartige theaterbezogene Texte einschließlich seiner kleinen Märchenspiele. Diese Studie ist in erster Linie den Texten von Walser nachgegangen, in denen er sich mit dem Theater befasst: Viele kurze Texte von ihm erscheinen oft als subjektive Skizze von Theateraufführungen oder als zeitgenössische Theaterkritik. Manchmal sind seine subtilen Beobachtungen über die Bühne aber als Bestandteile bzw. Episoden in größere Texte wie Prosastücke und Romane eingegliedert. Darüber hinaus ist die theateralische Attitüde seiner Helden augenfällig, mit der sie komische, lustige, sogar groteske Effekte erzielen. Insbesondere in seinen drei Märchenspielen wie Aschenbrödel, Schneewittchen und Dornröschen, die ursprünglich auf die Kinder- und Hausmärchen der Brüder Grimm zurückgehen, werden Charaktere und Handlungen der Prätexte unter intertextuellen sowie intermedialen Aspekten zitiert, variiert und transformiert. Dabei werden auch Wertvorstellungen sowie die Wertordnung der konventionellen Märchenwelt wesentlich in Frage gestellt. Diese Märchenspiele haben anstatt der realen Bühne eher eine imaginäre Bühne vor Augen. Trotz der Eloquenz ihrer Figuren schreitet die Handlung diesen Dramoletten nicht voran, sondern kreisen um sich herum. Theatralische Effekte werden dadurch eher reduziert, die anti-theatralen, lyrischen Effekte münden aber letztlich in eine meta-theatralische Ebene.

      • KCI등재

        번역비평을 위한 한 시도: 『히페리온』 -문화의 이중굴절로서의 번역글쓰기-

        안미현 ( Mi Hyun Ahn ) 한국독어독문학회 2009 獨逸文學 Vol.111 No.-

        Bei der literarischen Ubersetzung ist es schwierig, objektive, quantitative Evaluationskriterien anzuwenden. Dieses geht, neben den Mehrdeutigkeiten des literarischen Textes, vor allem darauf zuruck, dass es sich um Schreiben in der Dimension des Zieltextes handelt. Das heißt, dass die Literaturubersetzung auch mit sprachlichen und asthetischen Gestaltungen des Ubersetzers verbunden ist, die uber partielle Genauigkeit und Texttreue hinauslaufen und teilweise der sprachlichen Kreativitat des Ubersetzers unterworfen sind. In dieser Hinsicht ist bei literarischen Ubersetzungen die umfangreiche Ubersetzungskritik noch hilfreicher als die Ubersetzungsevaluation, die eher der Bearbeitung eines Sachtextes gilt. Von dieser Erkenntnis ausgehend wird in dieser Studie versucht, die koreanische Ubersetzung von Holderlins Hyperion naher zu analysieren. Die Hyperion-Ubersetzung von Kyung-Ho Hong, die 1975 erschien, war bis vor kurzem die einzige Ubersetzung dieses Textes. Trotz einer Reihe kleiner bzw. schwerwiegender Fehler ist es nicht zu leugnen, dass Hongs Ubersetzung unverkennbar eigene Vorzuge bewahrt: Der Ubersetzer bemuht sich ausdrucklich, das heterogene Kulturgut den Lesern des Zieltextes zu Ubermitteln: das antike Griechentum, die kritische Lage Griechenlands im 18. Jh., den deutschen Idealismus, Ideen der franzosischen Revolution etc., deren Zusammenhange den koreanischen Lesern damals schwer zuganglich waren. Vor allem setzt der Ubersetzer große Muhe daran, dass die poetischen und metaphysischen Beschaffenheiten des Ausgangstextes nicht verloren gehen. Allerdings darf man einige fragwurdige Punkte nicht vollig außer Acht lassen: Die gezielte Lesbarkeit des Zieltextes nimmt z. T. die Transparenz bzw. die Wesenheit der holderlinschen Sprache in Kauf. Beispielsweise sind nicht selten Variierungen des Satzbaus und der Satzlange, sowie das Einsetzen zusatzlicher Satzzeichen etc. zu beobachten. Man findet auch Worter, die im Zieltext ausgelassen oder absichtlich hinzugefugt sind, um die poetische Stimmung zu betonen oder den Rhythumus der Zielsprache hervorzurufen. Dennoch stellt der Ubersetzer anhand seiner eindrucksvollen Tuchtigkeit den schwer rezipierbaren Text den koreanischen Lesern vor, indem er versucht, das Fremde der anderen Kulturen anhand verschiedener Hilfsmittel wie Vorrede, Fußnoten etc. dem Leser verstandlich zu machen, und lasst uns dadurch jahrzehntelang an den Namen des Autors Holderlin denken, der uns ansonsten nicht im Bewußtsein geblieben ware.

      • KCI등재

        디아스포라와 번역: W. G. 제발트의 사례

        안미현 ( Ahn Mi Hyun ) 한국뷔히너학회 2016 뷔히너와 현대문학 Vol.0 No.47

        `디아스포라와 번역`이란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쓰여진 이 글에서는 W. G. 제발트의 디아스포라적인 삶과 그의 글쓰기를 대표적 사례로 분석하였다. 모든 사회적, 정치적 문제를 경제적 차원에서 해결하려는 전후 독일의 정책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던 제발트가 1978년 독일을 떠나 영국으로 이주한 것은 여러면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그가 생의 마지막까지 자발적 이주민으로 살았듯이, `기억`, `이주`, `고향 상실`, `정체성` 등의 주제는 작가 자신의 생애뿐 아니라 그의 등장인물들의 삶을 관통한다. 또한 그가 끝까지 독일어로 글을 썼다는 사실은 디아스포라적인 현실에서 자신의 언어적 정체성을 여전히 독일어에서 찾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주요 작품들은 영어로 번역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는데, 그의 글의 특징이 `멜랑코리적`이라고 불리게 된 데는 마이클 헐스의 영어 번역의 영향이 크다. 이런 점에서 이 글에서는 마이클 헐스의 번역본을 원문과 대조하여, 때로는 원 저자와 번역자의 문체적, 기질적 성향의 차이에서, 때로는 문화적 차이에서 비롯된 구문론적 현상들을 논의하였다. 나아가 제발트 자신의 창작적 글쓰기 또한 번역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데, 여기서는 텍스트 상호간의 차원과 예술 장르 간의 차원으로 구분하여 다루었다. 텍스트의 차원에서 보자면 그가 다른 작가들의 수많은 텍스트들을 자신의 작품속에 직·간접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유사-번역`이란 개념을 적용하였다. 이때 유사-번역의 개념에는 독창적인 문체나 주제를 실험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사용되는 번역문체라는 의미도 포함된다. 나아가 예술 장르 간의 번역은 제발트가 자신의 텍스트 속에 수많은 사진이나 그림 등을 삽입하여, 문자 텍스트를 시각적 이미지로 번역한 것을 가리킨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이 글에서는 `그림쓰기 Ekphrais`라는 수사적 개념과 `건축적 번역`이란 개념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제발트는 이 같은 글쓰기 방식을 통해 역사 속에서 잊혀진 인물이나 사건들을 다시 불러내고, 일어난 사실의 흔적을 지워버리려는 사람들의 의도적, 자연적 망각에 저항하며 독자들의 문화적 기억을 촉구한다.

      • KCI등재

        글로벌 도시, 지역적 삶 -카렌 두베의 『택시』에 관한 연구

        안미현 ( Mi Hyun Ahn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3 獨逸文學 Vol.128 No.-

        글로벌 도시, 지역적 삶- 카렌 두베의 『택시』에 관한 연구안미현 (목포대)카렌 두베의 소설 『택시』 (2008)는 1980년대 말 함부르크를 배경으로 한다. 자유 도시이자 한자 도시인 함부르크는 이 시기에 이미 글로벌 도시의 면모를보여준다. 소설의 주인공이자 화자는 야간 작업을 주로 하는 여성 택시운전사이다. 따라서 이 도시의 도로망과 소설의 서사구조는 서로 밀접한 연관 관계를 가진다. 곧 택시는 글로벌 도시의 상징이며, 화자가 택시를 몰고 움직이는 도시의구역과 거리는 일종의 서사 구조로 작동하는 것이다. 화자는 이 도시의 상이한인간 유형, 그들의 삶의 방식이나 행동 방식에 대해, 글로벌 도시의 구조나 그속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에 대해 에피소드 방식으로 기술한다. 이를 통해 작가는사실(주의)적인 도시사는 아니지만 글로벌 도시의 여러 면모를 보여준다. 글로벌 도시의 주민들은 지역적 차원의 삶을 살 때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누린다. 그들은 이전보다 더 많은 소비재와 문화적 혜택을 누리는데, 이때 그들의 동력은 자본이다. 다른 한편, 사람들의 삶이 세계화 흐름에도 불구하고 이전과 크게 달라지지 않는 것은 전통, 관습, 습관과 같은 삶의 기본적인 부분들이변하지 않은 채 지속적으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화자를 포함한 등장인물들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서로 간에 동료애, 인간적인 가까움, 성적 파트너 관계 등을원하면서 지역적 삶의 방식을 이어간다. 이는 물질적, 경제적인 차원과 같은 외부 세계와 비교해 사생활, 인간의 내면세계 등은 세계화에 덜 노출된다는 것을의미한다. 글로벌 도시는 소득이나 주거 지역, 문화적 혜택 등, 많은 부분에서 분산되고양극화된 이질적 공간이다. 예컨대 작가는 노숙자, 알코올 중독자 등 글로벌 세계의 경쟁 관계에 적응하지 못했거나 적응할 능력이 없는 사람들을 통해 도시의어두운 측면을 보여준다. 이처럼 이 소설의 글로벌 도시는 독자들에게 많은 행복이나 희망을 약속하지 않는다. 화려한 외양과는 달리 실제 사람들간의 관계는개선되지 않았고, 개인의 내적 분열이나 익명성은 극복되기보다는 오히려 심화된다. 외국인, 청소년, 젠더 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 또한 이윤의재분배가 합리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오히려 커져가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세계화와 지역화는 분리된 것이 아니라 서로 단단히 연결되어있고, 소설의 공간은 세계화와 지역화가 서로 교차하고 얽히는 일종의 유희 공간으로 나타난다.

      • KCI등재

        전염병 연대기: 런던에서 우한까지

        안미현 ( Ahn Mi-hyun ) 한국괴테학회 2021 괴테연구 Vol.- No.34

        이 글에서는 근대 이후의 역사에서 중대한 사건으로 기록되어 있는 1660년대 런던 대역병과 그것을 기록한 대니얼 디포 Daniel Defoe(1660-1731)의 『전염병 연대기 A Journal of the Plague Year』(1722), 1832년 파리의 콜레라를 보도하는 하인리히 하이네(1797-1856)의 『프랑스 상황 Französische Zustände』(1832), 2020년 우한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상황을 기록한 팡팡 Fang Fang(1955-)의 『우한일기 Wuhan Diary. Tagebuch aus einer gesperrten Stadt』(2020)를 중심으로 각 시대의 사람들이 대역병이란 전대미문의 사건 앞에서 취하는 태도와 그것을 바라보는 인식론적 토대, 그리고 대처 방안과 뒤따라오는 사회적 변화를 살펴본다. 나아가 이를 기록하기 위해 해당 작가들이 사용한 매체와 그들의 글쓰기 방식 등을 바탕으로 전염병에 대한 문학적, 문화적 기록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때 여론이 형성되는 과정과 사건의 기록을 통한 각 시대의 기억과 증언의 의미도 살펴볼 것이다. Diese Studie setzt sich zum Ziel der Frage nachzugehen, wie die Menschen in den verschiedenen Epochen auf die extremen Ereignisse von Pandemien reagiert haben. Zu diesem Zweck werden drei exemplarische Texte betrachtet: Daniel Defoes Journal of the Plague Year(1722), Heinrich Heines Französische Zustände(1832) und Fang Fangs Wuhan Diary Tagebuch aus einer gesperrten Stadt(2020). In der Zeit von Defoe dominiert der sogenannte Determinismus, nach dem tragische Ereignisse von Gott geplant bzw. vorausgesehen sind. Somit wird die Pest als Strafe Gottes angesehen. Nach der Heimsuchung der Cholera in Paris 1832 kommen Stadthygiene und Statistik als neu begründete Systeme zum Einsatz und verdrängen die Gottesvorsehung. Während Defoes Journal zwischen Fiktion und Chronik eines angeblichen Augenzeugen situiert werden kann, beruhen Heines Schriften auf internationaler Korrespondenz, die eine neue Art des Journalismus, das Feuilleton, etabliert. In der heutigen Zeit, in der die technische Entwicklung mit Digitalisierung und künstlicher Intelligenz kulminiert, übernehmen der (chinesische) Staat und die kommunistische Bürokratie eine Allmachtsrolle, mit der sich scheinbar die Möglichkeit der perfekten und kollektiven Kontrolle kritischer Zustände wie der Corona-Krise ergibt. Der sogenannte Online-Journalismus unserer globalisierten Zeit erlaubt es zahlreichen Usern, miteinander zu kommunizieren und sich simultan mit der Situation auseinanderzusetzen.

      • KCI등재

        형질전환 식물체에서의 복합 단일 항체 단백질 생산

        안미현(Mi-Hyun Ahn),오은이(Eun-Yi Oh),송미라(Mira Song),Zhe Lu,김현순(HyunSoon Kim),정혁(Hyouk Joung),고기성(Kisung Ko)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1

        식물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해 인간에게 유용한 치료단백질 및 백신을 생산하는 것은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연구 분야이다. 식물을 이용한 유용 단백질 생산은 다른 시스템에 비하여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병원성 인자에 대한 안전성이 있어서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암세포 표면에 특이적으로 발현하고 있는 분자 와 당 구조를 각각 인지할 수 있는 두 종류의 항체를 동시에 투여하는 면역 치료는 질병의 치료를 유도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에 본 연구팀에서 확보하고 있었던 두 종류의 항체 단백질(mAb CO17-1A, mAb BR55) 생산 형질전환 식물체를 이용하여 상호교배를 통하여 한 식물에서 두 종류의 항체 단백질을 모두 생산하는 식물발현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이다. 각기 다른 유전자를 갖고 있는 식물체로부터 수분을 유도하여 씨앗을 얻고 이 씨앗을 배양하여 완벽한 식물 개체로 성장시켰으며, 그 식물체로부터 DNA, RNA, 단백질을 분리하여 형질전환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개체에 차이는 있지만, 한 식물에서 두 항체 유전자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유전자는 식물체 내에서 안정적으로 transcription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 종류의 항체를 동시 생산하는 식물체에서 분리한 단백질은 한 종류의 항체 단백질만 생산하는 식물체에 비하여 수용성 단백질 단위당 항체 발현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식물을 이용한 유용 단백질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을 확립하였으며 앞으로 추가적으로 생산한 항체의 생물학적 활성 및 항암 효능, 당 구조 분석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면, 식물생명공학적 방법을 통한 항체 생산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roduction of highly valuable immunotherapeutic proteins such as monoclonal antibodies and vaccines using plant biotechnology and genetic engineering has been studied as a popular research field. Plant expression system for mass production of such useful recombinant therapeutic proteins has several advantages over other existing expression systems with economical and safety issues. Immunotherapy of multiple monoclonal antibodies, which can recognize multiple targeting including specific proteins and their glycans highly expressed on the surface of cancer cells, can be an efficient treatment compared to a single targeting immunotherapy using a single antibody. In this study, we have established plant production system to express two different targeting monoclonal antibodies in a single transgenic plant through crossing fertilization between two different transgenic plants expressing anti-colorectal cancer mAbCO17-1A and anti-breast cancer mAbBR55, respectively. The F1 seedlings were obtained cross fertilization between the two transgenic parental plants. The presence, transcription, and protein expression of heavy chain (HC) and light chain (LC) genes of both mAbs in the seedlings were investigated by PCR, RT-PCR, and immunoblot analyses, respectively. Among all the seedlings, some seedlings did not carry or transcribe the HC and LC genes of both mAbs. Thus, the seedlings with presence and transcription of HC and LC genes of both mAbs were selected, and the selected seedlings were confirmed to have relatively stronger density of HC and LC protein bands compared to the transgenic plant expressing only each mAb.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1 seedling plant with carrying both mAb genes was established. Taken together, plant crossing fertilization can be applied to generate an efficient production system expressing multiple monoclonal antibodies for immunotherapy in a single plant.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