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線)에 의한 직관세계와 조형적 표현 연구

        안미연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2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In recent days, as the art creation patterns are mechanized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in online media and digital technologies, it is more critically required the expression of line that becomes a base in the painting. The expression of lines is a part of the art creation expression method, and it handles the recognition and expression processes of the difference by separating them from intuition and mimesis-like. In addition, by visualizing the intuitive world and the appearance of the objects, it is artisticized as a representation of the spiritual world in a formative language. In this way, the expression by line explains that the formative expression itself can be a work of art, beyond simply expressing the object intuitively and being used as a tool for expressing the appearance.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now dividing the perceptional concept of line, which is a classical composition method in painting maintained even in modern art that is being digitized, into the East and the West. It confirms the shape expression according to intuition and mimesis as works of art and reveals that it continuously plays a role as a source of creation methods within modern art where the expression of lines is digitized. 오늘날 온라인 매체와 디지털 기술력이 발전함에 따라 예술의 창작방식도 기계화 되면서 회화에 기초가 되는 선의 표현이 더욱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다. 선적 표현은 예술창작 표현방식의 일환으로 직관과 미메시스적으로 구별하여 그 차이에 대한 인식과 표현과정을 다루고 있다. 직관적 세계와 대상물의 외형을 시각화하여 재현적 표현에 따른 조형연구는 예술로서 형상화 되고 있다. 이처럼 선에 의한 표현은 단순히 대상물을 직관적으로 형상화 하는 것과 외형적 묘사를 표현하는 도구로서 사용되는 것을 넘어 선에 조형적 표현 그 자체가 예술작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화 되고 있는 현대미술 안에서도 유지되고 있는 고전적 회화구성 방식인 선에 대한 인식개념을 동서양으로 세분화하여 설명하고 있다. 직관적 표현과 미메시스에 따른 형상적 표현을 예술작품으로 확인하며 고전적 예술표현의 일환인 선적 표현이 디지털화 되어가는 현대미술 안에서 창작방식의 근원으로서의 역할을 지속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Word-final Laterals: General American English vs. Metropolitan French

        안미연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2016 語學硏究 Vol.5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compare the acoustic properties of the lateral approximant /l/ in two different languages, English and French. Among various dialects of the two languages, General American English (GA) and Metropolitan French (MF) are explored. The two dialects are most commonly found in each language and, arguably, considered as standard in both languages. Based on a production study, several acoustic properties were compared, including temporal duration, the three formants - F1, F2 and F3 -, the trajectories of laterals and darkness of the lateral by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and the first formants. The experiment showed that unlike the English one, the French lateral approximant is characterized by significant consonantal release that is consistently found at the end of the lateral articulation. English lateral itself is mostly longer than French one while the combined length of the lateral and the release is longer in French. The F2 of the French lateral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English one. Also, English laterals are darker than French ones. Time-normalized trajectories showed that each formant value varies at the onset phrase of the lateral articulation but the various formant values become merged as the lateral articulation proceeds.

      • KCI등재

        산초나무(Zanthoxylum schinifolium) 신품종의 꽃과 열매에 기반한 형태적 특성 분석

        안미연,송현진,김기윤,이로영,양병훈,한치복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5 No.4

        산초나무 5개 품종의 꽃과 열매에 대해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결과, 화서의 너비와 암꽃잎의 길이는 품종에 따라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각 특성에 대한 기여도 확인을 위해 주성분을 확인한 결과, 제3주성분까지의 누적 설명력은 71.0%였고, 화서의크기, 열매 송이의 크기, 암꽃잎의 크기, 종자의 무게, 종자 수는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러한 특성들은 품종을 설명하는데있어 중요도가 높다고 사료된다. 분산분석 결과와 주성분 분석결과에서 화서의 너비, 암꽃잎의 길이 특성이 공통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 특성들은 품종 특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중요 형질이라 판단된다. 유집분석 결과 거리 수준 15를 기준으로 Ⅰ그룹은 한초 915호, 1020호와 1030호로 가장 근접하였으며, 나머지 930호, 10호는 각각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그러나질적 특성 결과에서 개화기와 결실기 차이가 확연하게 나타남으로 품종 간 구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산초나무의 꽃과 열매의 형태적 특성에서 품종 간 유연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산초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다양한 품종에서 유연관계를 설명을 위해 데이터 처리에 대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Articulatory Training and Vowel Production: The Case of [i] and [ɪ]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안미연 한국영어학학회 2024 영어학연구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articulatory training by examining the acoustic properties of the English vowels produced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Focusing on the two high front vowels [i] and [ɪ], we compare the two acoustic properties of the English vowels - both temporal (i.e., durations) and spectral (i.e., F1 and F2) properties - in terms of the following two conditions: (i) trained vs. untrained, (ii) focused vs. unfocused. It was found that, in general, trained speakers played more distinct pronunciation between [i] and [ɪ] compared to untrained speakers, and that the speakers distinguished the two vowels more when they were focused than they were not. It was also found that speakers mostly distinguished the two vowels in terms of (i) duration and (ii) the backness of the vowels, i.e., F2 values, rather than the height of the vowels, i.e., F1. The results suggest that articulatory training might be beneficial for Korean speakers of English to produce English vowels in a more distinguishable way to lead to more successful communication.

      • KCI등재

        Language-dependent perception of lateral /l/

        안미연 한국음운론학회 2019 음성·음운·형태론 연구 Vol.24 No.2

        The presence of allophonic variation is known to be a strong cue to signal various linguistic constituents, and native listeners find the information useful during their perceptual process (Beddor and Krakow 1999, McQueen 2005, Newman et al. 2011). The same kind of information may be interpreted differently by nonnative liste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speaking listeners’ perception of English lateral-involved sequences (e.g., feel#ease vs. fee#lease). In this study, we cross-spliced clear and dark allophones and asked the listeners to identify word boundaries. In the perception task, the listeners performed more accurately when the degree of the darkness coincided with cues from word junctures, but they perceived much more l# (i.e., coda percept) when the acoustic details were not consistent with cues from word junctures. Based on a two-stage processing model (Kingston 2005, Coetzee 2010), we suggest that phonetically deviated representations (e.g., lC# and #lD) are phonologically repaired, which results in the listeners being biased toward a coda-percept which is well-formed in their native knowledge.

      • KCI등재

        산림 우점식생 변화가 온도에 미치는 영향

        안미연,홍석환 한국환경생태학회 201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2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forest type changes in Daegu, the hottest city in Korea, on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The LST change by forest type was analyzed by 2scene of Landsat TM image from 1990 to 2007. The land cover type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forest areas, urban areas, cultivated areas and other areas, and water areas. The forest areas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the coniferous tree areas and the broadleaf tree areas. The result of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LST change according to the forest type showed that the LST increased when the forest was changed to the urban area. The LST increased by about 0.6 ℃ when a broadleaf tree area was changed to an urban area and about 0.2 ℃ when a coniferous tree area was changed to an urban area. This was the temperature change as the result of the simple type change for 17 years. The temperature change was larger when considering both cases of the forest type being retained and changed. The LST increased by 2.3℃ more when the broadleaf tree areas were changed to the urban areas than when broadleaf trees were maintained. The LST increased by 1.9℃ more when the coniferous tree areas were changed to the urban areas than when the coniferous tree areas were maintained. The LST increased by 0.4℃ more when the broadleaf tree areas were destroyed than when the coniferous tree areas were destroyed.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protection of broadleaf trees in urban forests was more effective for mitigating climate change. 본 연구는 산림 우점식생 변화가 지표면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우리나라 대표적 혹서지역인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림 우점식생 변화 유형별 온도변화는 1990년과 2007년의 Landsat TM 영상 2scene 을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토지피복유형은 산림지역, 시가화지역, 경작지 및 기타지역, 수역으로 구분하였고, 산림지역의경우 침엽수와 활엽수로 구분하였다. 산림 우점식생 변화 유형에 따른 지표면 온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통계분석을실시한 결과 산림이 시가화지역으로 변화될 경우 온도는 높아지며, 유형별로 살펴보면 활엽수림이 시가화지역으로변화된 경우 약 0.6℃, 침엽수림이 시가화지역으로 변화된 경우 약 0.2℃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단순히 17년간 유형변화에 따른 온도 차이로 현재까지 유형이 유지된 경우와 변화된 경우를 동시에 고려할경우 온도는 더 높은 차이를 보였다. 활엽수림의 경우 활엽수림이 유지될 때 보다 시가화지역으로 변화 될 경우 온도는2.3℃ 증가하였으며, 침엽수림의 경우 침엽수림이 유지될 때 보다 시가화지역으로 변화될 경우 1.9℃ 온도가 증가하였다. 산림의 경우 시가화지역으로 변화될 때 온도가 상승하며 산림식생유형 중 침엽수가 파괴되었을 경우보다 활엽수가파괴되었을 때 0.4℃ 온도가 추가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기온 완화를 위해서는 도시림 내에서 활엽수림의 보호가 더 효율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도시 입지적 특성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과 농도의 관계 연구

        안미연,로사,홍석환 한국대기환경학회 2021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2020~2024)에 따르면 2018년 초미세먼지의 연평균 농도는 제주가 19 ㎍/㎥로 가장 낮으며, 충북 · 전북 · 경기는 환경기준인 15 ㎍/㎥를 60%이상 초과하는 등 지역별로 편차가 컸다. 초미세먼지 배출량 또한 지역별 편차가 있었는데, 2016년 초미세먼지 배출량은 경북, 충남, 전남 순으로 높았으며, 기준연도는 상이하나 초미세먼지 배출원의 공간적 분포와 대기 중 초미세먼지 농도의 공간적 분포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상요인과 초미세먼지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일교차가 증가함에 따라 PM10과 PM2.5는 뚜렷하게 증가하는 양의 상관을 나타내었고, 특히 PM2.5의 경우 풍속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가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2.5 ㎛ 미만의 미세입자는 바람, 습도, 기온, 대기안정도 등 기상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이러한 기상조건은 도시의 입지적 조건과 관계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는 지형 굴곡이 심한 산지 면적이 넓어 전국이 동일한 기후 영향권이나 지역에 따라 대기흐름이 큰 차이를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을 대상으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대비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유형화하고, 도시 내 입지적 특성, 특히 지형특성이 대기오염물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댕댕이나무(Lonicera caerulea)의 대장암세포 생육억제 활성

        안미연,어현지,손호준,박광훈,정진부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3 No.4

        이상의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댕댕이나무 잎과 가지 추추출물은 대장암 세포주 HCT116과 SW480세포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나 열매추출물은 억제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잎과 가지 추출물은 cell migration과 wound healing assay를 통해 비정상적인 세포증식 억제를 확인하였으며, β-catenin과 TCF4 의 단백질 수준을 감소시켜 비정상적인 Wnt 신호전달을 억제를통해 대장암세포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댕댕이나무 잎과 가지는 항암을 위한 대체보완소재 및 천연 항암제 개발을 위한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the extracts from Lonicera caerulea leaves (LCLE), branches (LCBE) and fruits (LCFE) on the cell growth and migration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HCT116 and SW480 cells. LCLE and LCBE dose- and time-dependently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HCT116 and SW480 cells. However, LCFE did not affect the proliferation of HCT116 and SW480 cells. In addition, LCLE and LCBE dramatically cell migration and wound healing in HCT116 cells. LCLE and LCBE decreased β-catenin protein level but not mRNA level in HCT116 and SW480 cells. Furthermore, LCLE decreased TCF4 level in both protein and mRNA level in HCT116 and SW480 cells. However, LCBE decreased TCF4 protein level but not mRNA level in HCT116 and SW480 cells. Based on these findings, LCLE and LCBE may inhibit the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through blocking Wnt signaling activation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Therefore, LCLE and LCBE may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chemo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s for human colorectal cancer.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