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프랑스 아동보호법에 관한 연구 : 2007년 3월 5일 아동보호개정법(n°2007-293)과 관련해

        안문희 中央大學校 法學硏究所 2013 法學論文集 Vol.37 No.1

        La protection de l’enfance dans la société française, depuis la Déclaration des droit de l’homme et du citoyen, est une notion liée à la politique et à l’époque entant que critère à l’égard de la minorité sociale. La loi du 5 mars 2007 a réformé le dispositif français de protection de l’enfance. Le législateur de 2007 a clarifié dans le Code de l’action sociale et des familles, c’est-à-dire CASF, la définition légale de la protection de l’enfance, en y soulignant le caractère essentiel de la prévention. Cette étude envisage la notion de « la protection de l’enfance » et «l’intervention ». En premier lieu, pour révéler la notion de la protection de l’enfance dans la loi de 2007, il est nécessaire d’étudier l’histoire de la protection de l’enfance dans les lois successives et de clarifier l’enfant exigeant la protection, c’est-à-dire l’enfant maltraité ou l’enfant en danger. Le législateur de 2007 n’a pas défini précisément la notion de danger et de maltraitance mais, pour la mise en oeuvre de l’intervention judiciaire, il a disposé que si la santé, la sécurité ou la moralité d'un mineur non émancipé sont en danger, ou si les conditions de son éducation ou de son développement physique, affectif, intellectuel et social sont gravement compromises, des mesures d'assistance éducative peuvent être ordonnées par justice à la requête des père et mère conjointement, ou de l'un d'eux, de la personne ou du service à qui l'enfant a été confié ou du tuteur, du mineur lui-même ou du ministère public en vertu de l’article 375 du Code civil. En deuxième lieu, l’intervention pour l’enfant maltraité ou en danger prévue par la loi comporte trois observations : la protection administrative et judiciaire relevant de l’État et le Défenseur des enfants. La protection administrative est, d’abord, gérée par le conseil général de chaque département qui a la mission d’aide et d’action sociale comme ASE (le service de l'Aide sociale à l'enfance), PMI (le service de protection maternelle et infantile) et SSD (le Service Social Départemental). Ensuite, la protection judiciaire est plus généralement utilisée que l’intervention administrative, et organisée par le juge de tribunal pour enfant avec le moyen d’AEMO (les mesures éducative en milieu ouvert) et des mesures de placement. Enfin, le Défenseur des enfants(Défenseur des droits,) est une institution étatique qui bénéficie du statut d’autorité indépendante, au respect effectif des droits fondamentaux des enfant et aux dispositions de la Convention internationale des droit de l’enfant. En conclusion, la protection de l’enfance est une notion ou des termes très larges afin de justifier l’intervention administrative et judiciaire non seulement pour les mineurs, mais aussi pour les jeunes majeurs moins de vingt et un ans.

      • KCI우수등재

        벨기에 법정동거제도에 관한 연구

        안문희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4

        Recently, two bills with the same title, “Act on the Relationship of Living Companions,” were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but there was controversy over similar legislation in 2014, and at that time, they could not even propose it due to opposition from conservative groups. However, according to the “Family Diversity National Poll”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2020 targeting 1,500 adults, 69.7% of the respondents said, “Even if you are not married or related, you can think of it as a family.” In fact, 70.5% of respondents said it was necessary to abolish discrimination against marriages other than legal marriages, such as unmarried cohabitation, and 48.3% said it was acceptable to have children without marriage. As polls show, our society’s perceptions have already changed significantly, and there is a need or demand for institutions other than marriage. The demand for unions other than marriage is not unique to our society, and many European countries have already enacted institutions other than marriage. In the case of Belgium in particular, a law of 23 November 1998 introduced a system of “cohabitation légale”. The system was established in 1998, came into effect on January 1, 2000, and has been maintained to date after several revisions. The number of legal cohabitation agreements has gradually increased since its implementation in 2000 and has reached about 40,000 every year since 2011, which is similar to marriage, making Belgium's legal cohabitation system a success. Legal cohabitation is open to anyone who wants to live together in Belgium and wants to live “vie commune”, not only for same-sex and heterosexual couples but also for brothers, sisters, children or friends. Belgium formalized the relationship by granting the legal status of legal cohabitant through the legal cohabitation system, which is understood as a combination for the current living community because of its contractual nature rather than status. Nevertheless, the legal cohabitation system is being used as a preliminary marriage system, with about 60% of the two legal cohabitants getting married. 최근 ‘생활동반자관계에 관한 법률안’이라는 동일한 명칭의 법안 2개가 국회에 발의되었다. 그런데 이와 유사한 입법안에 대한 논의가 처음으로 있었던 것은 2014년으로, 당시에는 보수단체들의 반대로 발의조차 되지 못했다. 여성가족부가 2020년 성인 1,5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가족 다양성 국민 여론조사’를 보면, 응답자의 69.7%가 “혼인 · 혈연관계가 아니어도 주거 · 생계를 공유한다면 가족이라 여길 수 있다.”라고 답했으며, 사실혼, 비혼 동거 등 법률혼 이외 혼인에 대한 차별 폐지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70.5%, 결혼하지 않고 아이를 낳는 것도 수용 가능하다고 답한 비율은 48.3%로 나타났다. 여론조사에서 나타나듯이 이미 우리 사회의 인식은 많이 변화하였으며, 혼인 외의 제도에 대한 필요 또는 요구가 존재하고 있다. 혼인 외의 결합에 대한 요구는 우리 사회에서만 있는 것은 아니며, 유럽의 많은 나라에서 이미 혼인 외의 제도를 제정하여 시행해 오고 있다. 특히 벨기에의 경우 1998년 11월 23일 법을 통해 법정동거(cohabitation légale)제도를 신설하였다. 해당 제도는 1998년에 신설되어 2000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으며, 그 이후 몇 차례의 개정을 거치면서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법정동거의 체결 건수는 2000년 시행 이후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2011년 이후부터는 매년 약 4만 건에 이르고 있는데, 이는 혼인과 유사한 건수로 나타나고 있어 벨기에의 법정동거제도는 성공한 제도라는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법정동거는 벨기에에서 함께 거주하고, “공동생활(vie commune)”을 원하는 자에게는 누구에게나 허용되며, 동성 커플이나 이성 커플뿐만 아니라, 형제, 자매, 자녀 또는 친구 등과 같이 동거하는 2인의 성년자는 모두 대상이 된다. 벨기에는 법정동거제도를 통해 법정동거인이라는 법적인 지위를 부여함으로써 해당 관계를 공식화하였는데, 이는 신분 관계라기보다는 계약적 성격이 두드러지며, “현재의 생활공동체를 위한 결합”으로 이해된다. 그럼에도 법정동거 해소 원인 중에서 법정동거인 2인의 혼인을 목적으로 하는 비율이 약 60%에 이를 정도로, 법정동거제도는 벨기에사회에서 예비혼인제도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상 유족의 범위에 대한 검토

        안문희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22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25 No.2

        The Jeju 4·3 Incident was triggered by the firing of March 1, 1947 and the armed uprising on April 3, 1948., the destruction of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and the loss of buildings of public institutions such as schools and myeon offices, as well as about 40,000 houses, and in some cases the entire village was in ruins.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 law must conform to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above all, and must be premised on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that is, the understanding of the case or background that causes the establishment. Considering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4·3 Incident Act, it would be appropriate to limit the scope of the bereaved family so that no one is excluded from compensation as much as possible. Moreover, if it is understood that the actual compensation started at this point, about 70 years after the Jeju 4·3 incident, it is not suitable for the purpose of enacting the law to limit the subjects that can be recognized as survivors. Therefore, it seems that the grounds for expanding the scope of the bereaved family to the eighth degree are substantial. 제주4·3사건은 1947년 3·1절 발포사건과 1948년 4월 3일 무장봉기로 촉발되어,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무력 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가옥 4만여 채를 비롯해 마을 전체가 폐허가 된 경우도 있었다. 특별법의 제정은 무엇보다도 그 제정 목적에 부합해야 하며, 제정 배경, 즉 제정의 원인이 되는 사건이나 목적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4·3사건법의 제정 배경 및 제정 목적을 고려한다면, 유족의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보상에서 배제되는 자가 되도록 없도록 하는 것이 이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더구나 제주4·3사건 발생 이후 약 70년이라는 시간이 지난 현시점에서야 실질적인 보상이 시작되었다는 점을 이해한다면 유족으로 인정될 수 있는 대상을 제한하는 것은 해당 법의 제정 목적에 맞지 않는다. 따라서 4·3사건법의 유족의 범위를 8촌 이내의 혈족까지 그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제정 목적에 더 부합한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프랑스증거법의 특징과 서증우선의 원칙 – 2016년 2월 10일 법규명령을 중심으로 –

        안문희 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17 민사소송 Vol.21 No.1

        The French law of evidence in civil proceedings is governed by both the Code of Civil Procedure and the Civil Code. The former provides for the procedural law of evidence where as the latter sets down provisions on different forms of evidence with respect to specific legal acts. The particular and unique nature of the dualistic structure of French evidence law reflects the French approach towards the law of evidence as a field of law that lies at the crossroads between procedural and substantive law. Similar to Korean civil law, one feature of the French Civil Code is its recognition of informalism in contract formation. However it differs in that with regard to legal acts requiring intent, formalism is reduced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priority of written evidence, thereby recognizing formalism in respect of evidence. Similar to the provisions on the law of obligations, the better part of evidence law in the Napoleonic Code of 1804 was left intact until it was completely revised by ordinance No. 2016-131 on February 10, 2016. Although as a result of the sweeping revision the law of evidence in the Civil Code has been significantly modernized and streamlined, the principle of priority of written evidence that was introduced by the Edict of Moulins (1566) has been left untouched, along with such original forms of evidence as written evidence, testimony, admission and oath that were all recognized under the law of evidence before the revision. The characteristics of French evidence law can also be identified in disputes involving evidence in the Civil Code where the provisions of the Code of Civil Procedure on forgery lawsuits, expert appraisal and opinion evidence are applied. The fact that all but one provision of the Civil Code on testimony was abolished for the sake of harmonization with the Code of Civil Procedure attests to such characteristics of the French law. Ultimately, French evidence law can be defined as a composite outcome of historical developments, French particularities, practical need and other factors.

      • KCI등재

        상속결격제도에 관한 연구 - 2012년 12월 10일 및 2022년 1월 19일 벨기에상속법 개정을 중심으로 -

        안문희 한국법학원 2022 저스티스 Vol.- No.192

        The origin of the Belgian Civil Code is the French Civil Code called Napoleonic Civil Code. Since the Belgian Civil Code was enacted in 1804, it has been amended 35 times. Although the revision of the Belgian inheritance law on December 10, 2012 showed differences in the reasons for disqualification, in a fundamental aspect, it can still be seen that it was influenced by the revision of the inheritance disqualification through the law on December 3, 2001 law of France. The first influence can be found in the purpose of the revision. “Realization”, one of the legislative purposes of the amendment to the Belgian inheritance law on December 10, 2012, is one of the purposes of the amendment to the French inheritance law on December 10, 2001.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similar aspect to “recovery of efficiency”. The second influence can be found in the nature of the reasons for disqualification from inheritance and the classification of procedures. According to Article 727, Paragraph 1, Item 1 of the Belgian Civil Code, inheritance disqualification is established only with a conviction for murder or attempted murder, rather, the procedure is divided so that a judgment of conviction and a separate judgment of disqualification are required for Item 3 of the same article, which is a minor offense. The third influence is the provision of forgiveness for those who are disqualified from inheritance. Article 728 of the Belgian Civil Code allows the decedent to forgive the heir who is the main culprit, joint principal, or accomplice in the crimes stipulated in Article 727, Paragraph 1, Item 3 of the same Act, so disqualification from inheritance can be excluded. Article 728 of the French Civil Code also excludes disqualification from inheritance through the forgiveness of disqualified persons as stipulated in Articles 726 and 727 of the same Act. 벨기에민법의 연원은 나폴레옹 민법이라고 불리는 프랑스민법으로, 1804년 벨기에민법이 제정된 이후 36회 개정을 거듭하게 되어 현행 벨기에민법은 프랑스민법과 유사한 부분도 있고 달라진 부분도 발생하게 되었다. 2012년 12월 10일 벨기에상속법의 개정은 상속결격 사유에서는 차이를 보이기도 하지만 근본적인 측면에서는 여전히 프랑스의 2001년 12월 3일 상속법 개정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첫 번째 영향은 개정목적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12년 12월 10일 벨기에상속법 개정의 입법목적 중 하나인 “현실화”는 2001년 12월 10일 프랑스상속법 개정목적 중 하나인 기존의 상속결격 규정의 기술적 측면에서의 “현대화를 통한 상속결격 규정의 효율성 회복”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영향은 상속결격 사유의 성격 및 절차의 구분에서 찾을 수 있는데, 벨기에민법 제727조 제1항 제1호가 살해 및 살해미수에 대한 유죄 판결만으로 상속결격이 성립하게 되고, 이보다는 경한 범죄인 동조 제3호에 대해서는 유죄 판결 및 별도의 상속결격 선고가 필요하도록 절차를 구분하는 내용은, 프랑스민법 제726조에 해당하는 절대적 상속결격 사유에 대해서는 유죄 판결만으로 자동적으로 상속결격이 되지만, 동법 제727조가 규정하는 6가지 상대적 상속결격 사유의 경우에는 유죄 판결 외의 별도의 상속결격 선고를 요구하는 내용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세 번째 영향은 상속결격자에 대한 용서 규정으로, 벨기에민법 제728조에 따르면 동법 제727조 제1항 제3호가 규정하는 범죄의 주범, 공동정범이나 공범인 상속인을 피상속인이 용서하면 상속결격을 배제할 수 있는데, 프랑스민법 제728조 또한 동법 제726조 및 제727조가 규정하는 상속결격자에 대한 용서를 통해 상속결격을 제외하고 있어 벨기에상속법 개정에 대한 프랑스민법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프랑스 집행관(huissier de justice) 제도에 관한 연구

        안문희 한국민사집행법학회 2020 民事執行法硏究 : 韓國民事執行法學會誌 Vol.16 No.-

        프랑스의 집행관은 법무부 소속의 공무수행인을 뜻한다. 프랑스의 집행관제도는 로마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의 집행관 또한 현재와 마찬가지로 판사의 결정에 대해 집행하는 업무를 수행하였다. 이전의 시기에 집행관은 법정 안에서 심리나 재판에서의 질서 유지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던자인 법정 내부 집행관(huissier)과 법정 외부에서 사법적 또는 비사법적인 행위를 집행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자인 법정 외부집행관(sergent) 으로 구분되었다. 당시 법정 내부 집행관을 가리키는 huissier라는 용어가 프랑스 고어(古語)인 huis(門)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이었다. 점차적으로 법정 내부 집행관이 외부 집행관의 업무를 계수하게 되어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프랑스에서 집행관이 되기 위해서는 최소한 법학석사 1년차 이상 또는 이와 동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학위가 필요하며 2년간의 실무연수 및 지격시험의 조건이 요구된다. 2년간의 실무연수는 전국부가 감독하며 집행관이 되기 위한 자격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집행관이 되면 전국 단위의 전국부(chambre nationale) 아래에 각 지방이나 도 단위의 지방부(chambre regionale)나 도부(chambre departementale)에 소속된다. 집행관이 수행하는 가장 주된 2가지 업무는 첫째 법원의 결정에 대한 집행, 둘째, 공정증서의 작성으로 볼 수 있다. 물론 이외의 다른 업무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민사상 강제집행과 관련해서는 첫째 귀속을 통한 압류(saisie-attribution), 둘째 급여에 대한 압류(saisie sur remuneration), 셋째 경매를 통한 압류(saisie-vente), 넷째 동산 인도 및 반환을 통한 압류(saisie-apprehension)의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집행관의 보수는 여러 가지 사항과 규정에 따라서 다르게 책정된다. 프랑스의 집행관의 보수는 국가나 정부로부터가 아닌 고객이라 불리는 자신을 선임한 소송당사자나 업무를 위탁한 자로부터 수수료 형식의 보수를 받게되며, 집행관의 보수의 지급과 관련한 세부사항이 기재된 명세서가 고객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사법관의 지위에 관한 2016년 6월 2일 법규명령’은 2022년 7월 1일 부터 기존의 집행관이나 경매인이라는 직업을 사법관(Commissaire de justice)이라는 직종으로 통합하고 업무와 지위를 명확하게 규정하여 기존의 복잡한 권한 업무 등의 내용을 정리하고 있다. 새로운 사법관 제도는 3단계에 따라 진행될 예정이다. L'huissier de justice est un officier public ministé riel en France. L'huissier est le successeur des lointains executores de l'Antiquité , qui é taient chargé s d'appliquer les dé cisions des juges. Les huissiers, les officinales romains devinrent sergents et huissiers dans la socié té franç aise. Les sergents devaient mettre en forme les demandes des plaideurs et exé cuter les dé cisions rendues par les juges. Les huissiers, dont le nom vient de “l'huis”, la porte, avaient la mission du service inté rieur des audiences et de la police des tribunaux. Progressivement, les huissiers devinrent les officiers des juridictions importantes tandis que les sergents furent relé gué s aux juridictions de second ordre. Le candidat à la profession d'huissier doit ê tre de nationalité franç aise, avoir obtenu au minimum une maî trise de droit, ou son é quivalent(bac4+ ), et avoir fait un stage d’au moins deux ans dans une é tude d'huissier. Il est obligé de ré ussir à l'issue de cette formation l'examen professionnel d'huissier de justice. La profession des huissiers est organisé e en chambres, aux niveaux dé partemental, régional et national. Ses deux missions principales consistent à exé cuter les dé cisions de justice et à é tablir des actes authentiques. Il exerce de nombreuses autres missions, en lien ou non avec une procé dure judiciaire. On distingue ensuite differents types de saisie: la saisie-attribution(l’huissier recupere la creance sur le compte bancaire du debiteur), la saisie sur salaire(le debiteur recupere sa creance sur les remunerations du debiteur, avant meme que celui-ci les percoive), la saisie conservatoire(le creancier immobilise les biens du debiteur, afin que ce dernier ne puisse pas provoquer son insolvabilite), la saisie-vente(les biens du debiteur sont immobilises puis vendus) et la saisie-apprehension(un bien est restitue ou livre au proprietaire qui le reclame). La ré muné ration de l'huissier comporte plusieurs é lé ments, dont certains sont ré glementé s. Il doit fournir au client le relevé dé taillé de sa ré muné ration. L'ordonnance n° 2016-728 du 2 juin 2016 relative au statut de commissaire de justice a cré é la profession de commissaire de justice, ré sultant du rapprochement entre les huissiers de justice et les commissaires-priseurs judiciaires. La cré ation de cette nouvelle profession doit s'opé rer en trois é tapes.

      • KCI등재

        프랑스와 한국의 아동보호에 관한 비교법 연구

        안문희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학연구 Vol.60 No.1

        The concept of child protection is changed in the field of child protection, private service with social support and legal protection, and a subordinate position in the tradition of State protection. The protection of children in modern terms began with the Geneva Declaration in 1924, and today is reaffirmed by the 1989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s a General Protocol. In the past, there was no concept for children, and children were not considered to be independent subjects. The protection of children in modern terms is developed and transformed because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Korean War. France has unified the laws relating to the protection of children for the Family and Social Assistance Code and defined the age of the child for the young person under the age of 21. In South Korea, many relative child protection laws exist and each law defines different ages of children for protection. As regards the rights of the child, which guarantees Article 12 of the UN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France guarantees the right to express its opinion. In South Korea, however, the rules on the right to express one's views on children limit the age of the child to over 13 years. Articles 9 and 10 of the UN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guarantees the right to personal relationships for children and France respects this rule and authorizes this right for third person. Yet South Korea accepts this right for grandparents in very limited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