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아의 유형에 따른 전근대 자서전의 분류와 그 형성 배경

        안득용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4 고전과 해석 Vol.17 No.-

        자서전은 작가 스스로가 自我를 대상화시켜 기록하는 장르이므로, 주체이면서 대상화되는 자아를 탐구하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때문에 본고는 자아의 양 상을 분류하고, 그에 따라 한국 전근대 자서전의 갈래를 나눈 뒤, 그 창작의 배경을 고찰하였다. 자아는 허구화의 여부에 따라 크게 虛構的自我와 歷史的自我로 나눌 수 있고, 이 중에서 역사적 자아는 다시 자아의 시선에 따라 記述的自我와 省察的自我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자아로써 나누어 본 한국 전근대 자서전의 갈래는 허구적 자아, 기술적 자아, 성찰적 자아 세 종류이다. 이 세 갈래 중에서 첫째, 허구적 자아 계열의 자서전은 주로 五柳先生傳의 마 스터플롯을 따르는 계열로서, 주로 托傳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둘째, 기술적 자아 계열의 자서전은 年代記형식으로 주로 공적인 官歷과 履歷등을 중심으로 글을 서술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성찰적 자아 계열은 특정한 시기나 시간의 흐름 속 에서 지난 삶을 반성하고, 그것을 통해 변모해가는 자아를 그리거나 사소한 자신의 주변을 서술한 경우가 적지 않았다. 한국의 자서전은 崔致遠에서부터 李奎報와 崔瀣를 거쳐 조선 중후기에 들어 왕 성하게 창작되었다. 이렇게 창작이 활성화된 배경으로 다음의 네 가지 원인을 지적 할 수 있다. 우선, 문학적 측면에 있어서 오류선생전 의 마스터플롯이 正典의 위 치를 차지하고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점, 개인의 일상과 생각을 기록한 기초 자료들이 스스로에 의해 적지 않게 수집되었다는 점 등이다. 다음으로, 사회적 측면 에 있어서는 학문적·문학적 논쟁의 증대와 가문 및 학통의 영향을 지적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사상적 측면에 있어서는 困知와 困學에 힘쓰던 性理學의 수행 태도 와 求道를 위해 나아간 佛敎의 영향을 적시할 수 있다. 물론 陽明學, 莊子, 天機論 등의 사상 역시 작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마지막으로 이 모든 것의 가장 기본이 되는 개인적 측면에 있어서는 스스로가 이 세상에 살다가 갔다는 것을 확인시키려 는 개인 존재 증명의 욕구가 자서전의 창작을 추동했고, 이보다 앞서 스스로에 대 한 자각, 즉 개인의 자각이 자서전 창작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Because the self is considered as target in an autobiography, researching the self is most important. So I classified the types of the self, categorized the sections, and studied the creation backgrounds. I divided the self into the fictional self and the historical self based on the fictionalized self or not, and divided the historical self into the descriptive self and the reflective self based on the self’s eyes. Thus the sections in Korean premodern autobiographical writings are the fictional self type, the descriptive self type, and the reflective self type. First, the fictional self type autobiographical writings go after the master plot of 〈Biography of master five willows(五柳先生傳)〉, and are made up allegoric biographies(托傳) in great part. Second, the descriptive self type autobiographical writings the chronicles that was placed emphasis on the work experience and the personal history. Third, the reflective self type autobiographical writings mainly describe the self who is self-reflective and self-examined. Korean premodern autobiographical writings was written by following reasons. First, the master plot of 〈Biography of master five willows(五柳先 生傳)〉had a beneficial influence on Korean premodern autobiographical writings. And there were massive material collection. In the second place, there were academic and literary arguments. In the third place, when Confucian scholars and buddhist monks regretted their wrongdoing by seeking the truth. in the last place, the gentlemen want to prove their identity. And they realized themselves. This self-awareness had a beneficial influence on Korean premodern autobiographical writings.

      • KCI등재

        『於于先生年譜』 譯註 : 柳夢寅의 출생에서 사망까지

        안득용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0 고전과 해석 Vol.32 No.-

        본고는 柳琹이 편집한 『於于先生年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및 연세대학교 소장본: 고서(I) 920 유몽인 어-년)의 譯註이다. 『어우선생연보』 중 柳夢寅이 태어난 1559년부터 사망한 1623년까지의 기사와 『어우선생연보』 에 첨부된 <於于柳先生世系>까지 모두 역주하였다. 『於于野譚』 의 작가로 주목받은 이래, ‘자부 / 一人으로서의 선택 / 좌절’이라는 그의 삶이 그려낸 悲劇性, ‘스스로의 견해[己見]’를 고수했던 태도가 야기한 孤獨, 고유한 文藝美 인식에서 발현된 難解性과 다양성, <與楡岾寺僧靈運書>로 대표되는 삶의 고백 등을 중심으로, 유몽인의 시와 산문과 비평의식이 조명되었다. 다만 연구의 기초라 할 수 있는 연보의 역주는 시도된 적이 없다. 이것이 본고가 『어우선생연보』 의 역주에 노력을 기울인 이유이다. 처음으로 결과 맺은 『어우선생연보』 역주인 만큼 사건과 사실의 확인 및 오류의 수정, 연보 기사의 출전과 해당 기사의 바탕이 되는 작품의 창작 연도 비정 등에 유의하였으므로, 유몽인 연구에 본 역주가 기여하게 될 바가 없지는 않을 것이다. This paper is a Translation and comment on the Chronology of Eowoo Ryu, Mong-in’s life edited by Ryu, Geum. Among the chronology of Eowoo Ryu, Mong-in’s life, all the articles from 1559, when the Ryu, Mong-in was born to 1623, when he died, and the pedigree of Eowoo Ryu, Mong-in attached to the Chronology, were all translated and commented. Ryu, Mong-in has been noted as a writer of the Eowoo’s unofficial version of a historical story. Since then, centering on aspects such as the tragedy portrayed by his life of ‘self confidence-choice as one person-frustration’, the loneliness caused by the attitude of sticking to his own opinion, a difficulty and a diversity expressed in the recognition of unique literary nature, and the confession of life, poetry, prose, and criticism were highlighted. However, the translation and comment on chronology of Eowoo Ryu, Mong-in’s life, has never been attempted. This is the reason why this paper put effort into the translation and comment on chronology of Eowoo Ryu, Mong-in’s life. As it was the first result of the translation and comment on chronology of Eowoo Ryu, Mong-in’s life, I paid attention to the confirmation of incidents and facts, correction of errors, the presentation of the annual report and the date of creation of the work that is the basis of the article. There won’t be nothing to do.

      • KCI등재

        陰崖 李耔 「自敍」 硏究 -「自敍」의 장르적 특성과 文學觀의 경향을 중심으로-

        안득용 우리어문학회 2020 우리어문연구 Vol.66 No.-

        This paper focuses on a study on Lee Ja(李耔)’s autobiographical preface. In order to examine his autobiographical preface from various angles, I placed his autobiographical preface in the context of the genre, autographical prefaces in the adjacent period, and contemporary literature theory. And then I studied characteristics of autobiographical preface, characteristics as self narrative, and characteristics of view of literature that Lee Ja shows through his autobiographical preface. With a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features. First, an implicit attribute that distinguishes autographical preface from other genres is that it is a combination of preface and self narrative. In addition, the autographical preface genre can extend the story to most genres of self narrative through the commonality of describing the author’s life history. Since the autographical preface is composed of the first half of ‘the family line-lifetime description-general review’ and the second half of the preface, it is close to the inherent inclination of the genre. Second, rather than addressing his ideals at a specific point in time, he wrote an autographical preface to reflect on the whole life and to describe the thoughts and emotions triggered by the main moments of life. This attitude made his autographical preface a narrated essay in chronological narrative, resignation and frustration, reflection and reflection. Third, Lee, Ja, who was a member of Gimyosarim(己卯士林) that emphasized the neo-confucianism and the view of literature, also resembles them. In particular, it was emphasized in the attitude of criticizing excessive rhetoric, focusing on harmony of content and form, and nature rightness, with the way of poetry and the direction of poetry that emphasize inner discipline. Thus, through self-examination and reflection, he created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himself and his readers, as well as the genealogy of autobiographical preface combined with self narrative and the preface, and he inherited and inherited the neo-confucian view of literature. This is the meaning found in autobiographical preface. 본고는 陰崖 李耔가 쓴 「自敍」에 대한 연구이다. 그의 「자서」를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보기 위해 자서 장르, 인접 시기의 자서들, 동시대 文學論의 맥락 속에 「자서」를 놓은 뒤, 「자서」의 장르적 성격, 自己敍事로서의 특성, 이자가 「자서」를 통해 보여주는 문학관의 경향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째, 자서 장르를 자기서사의 여타 하위 갈래와 구별시키는 內包的 속성은 序文과 자기서사가 결합된 형태라는 점이다. 또한 자서 장르는 저자 자신의 일생 事迹을 서술한다는 공유점을 통해 그 外延을 자기서사 대부분의 장르에까지 확장할 수 있다. 이자의 「자서」는 世系-生平-總評으로 구성된 전반부와 서문의 성격을 띤 후반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특성상 자서 장르의 고유한 성향에 가깝다. 둘째, 이자는 특정한 시점에서 자신의 이상을 말하기보다, 삶 전반을 반성적으로 성찰하며 인생의 주요 계기에서 촉발된 사유와 감정을 서술하기 위해 「자서」를 썼다. 이와 같은 태도가 자기서사로서 「자서」를 年代記的 記述, 체념과 좌절, 반성과 성찰이 교직된 글로 만들었다. 셋째, 性理學의 의리와 수양을 중시하던 己卯士林의 일원이었던 이자는 문학관 역시 그들과 닮았다. 특히 내면의 수양을 중시하는 詩道와 詩敎를 강령으로 삼아, 내용과 형식의 조화 및 性情之正을 중시하고, 과도한 修辭를 비판하는 태도에서 부각되었다. 이로써 볼 때, 반성과 성찰을 통해 이자 자신은 물론, 독자에게도 자기를 돌아보는 계기를 만들어주었고, 자기서사와 서문이 결합된 자서의 계보를 이었으며, 儒家的 文學觀을 계승해서 전수하는 역할을 했다는 점이 이자의 「자서」에서 찾을 수 있는 의미이다.

      • KCI등재
      • KCI등재

        柳夢寅 末年 散文의 樣式과 그 의미

        안득용,An. Deuk-yong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3 No.-

        죽음이 눈앞에 있다는 절박한 상황 속에서 柳夢寅은 지난 삶을 반성적으로 성찰하고 자신의 삶이 담고 있는 사실과 진실을 꾸밈없이 전하려고 했다. 이 때문에 末年의 散文에서 우리는 그의 민낯을 보게 된다. 본고에서 유몽인 말년 산문의 양식에 관심을 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본고에서는 말년의 산문을 살피기 전에 우선 이 시기 산문의 주요 대상인 승려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몽인은 승려를 비판적으로 인식 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승려들의 청탁을 거절하기 힘든 상황이 었고, 贈序와 편지의 초점을 대상이 아니라 자신에게 돌려놓으면, 동시대 혹은 후대의 독자들에게 자신의 심경과 상황을 설명하고, 자신의 감정을 토로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승려들을 대상으로 글을 썼던 것이다. 이 글들은 크게 다음의 세 가지 樣式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첫 번째가 自己 解明과 自己 解說, 두 번째가 自負와 自嘲 및 出과 處의 갈등, 세 번째가 내면의 독백과 방백이다. 그 양상과 의미를 간략하게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몽인은 말년의 산문에서 오해받을 만한 행적을 해명하고 그 의미 가 모호하게 느껴지는 글의 의미를 직접 해설하려고 혼신의 힘을 기울였다. 그 이유는 자신의 인생 행적과 이력을 오해 없이 전달함으로써 立言垂後하 려고 했던 의지에 있다. 둘째, 말년에 이르러서도 대단한 자부를 견지했지만, 세상 사람들의 제대로 된 인식부재와 세상과의 불화에서 기인한 좌절 로 인해 자조 역시 빈번히 드러난다. 또한 이 시기에 발생한 仁祖反正으로 인해 出處 사이에서 실존적 선택을 강요받고 동요하는 모습을 선명하게 드러내 보인다. 셋째, 자신의 행적을 설명하거나 실존적 선택 사이에서 동요 하는 와중에 유몽인은 대상 승려가 아니라 여타의 독자에게 자신의 내면을 傍白하고, 지독한 고민과 지난한 自問自答 속에서 자신의 속마음을 獨白한다. 이로써 보자면 유몽인은 죽음을 목전에 두고 비틀거렸지만 ‘나 자신’에 초점을 두고 자기의 이야기를 풀어내면서 내면의 소리까지도 생생하게 전달하는 산문을 썼으며, 이러한 특징적 양식은 조선중기 한문학사를 한층 다양하게 만든 주요한 계기가 되었음에 틀림없다. Ryu, Mong-in(柳夢寅) wanted to write the fact and truth of his life and introspect his past life in his prose on the brink of eternity. So this report researched his late style. This report researched his attitude to buddhist monks first.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some features. First, he assumed a critical attitude to buddhist monks. Second, the reasons why he gave his prose to buddhist monk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circumstance made him accept requests. In the second place, He thought that he could explain his circumstance, and express his mind in the prose to Buddhist monks. This report researched his late style. And then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some features. Those are self-justification, self-explanation, and self-confidence, self-deprecation, the confliction between the position-finding and the retirement, lately the monologue and the stage whisper. First, he tried to justify the misleading behavior and explain the ambiguous writing. Because he wanted to divulge his identity and personal history. Second, the self-confidence and the self-deprecation took turns in his late prose. And because of King injo’s restoration(仁祖反正), he was tottered between the position-finding and the retirement. Third, he said his mind in an aside, and said his inner conflict and his heart in a monologue. Judging from these, although Ryu, Mong-in was tottered in his latter years, he wrote his life and inner voice. So he was full qualified for being the central figure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chinese.

      • KCI등재

        谿谷 張維 樓亭記 硏究

        안득용 한국고전문학회 2007 古典文學硏究 Vol.32 No.-

        This report aims to Rugeonggi(樓亭記)'s individuality in 17th century by researching Gyegok(谿谷) Chang, Yu(張維)'s Rugeonggi(樓亭記) . And this report researched Yi, sik(李植)․Ryu, Mong in(柳夢寅)․Lee, Cheong gu(李廷龜)․Shin, Heum(申欽)․Heo, gyun(許筠)'s works for wide vision. Chang yu's rugeonggi has following features. First, his works are allegorical. Second, he write his work characteristically. Especially, <shinrugi蜃樓記> is very characteristical. Third, he borrowed Book of change(周易)'s principal for comfort. Forth, his works are under bias toward usefulness.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some features in vicinity of 17th century's rugeonggi. First, there are imagination and the spirit of play. And then the spirit of art is based on these two features, so we suppose that these era's works may be characteristic. Second, the restful mind is humorous and light, so rugeonggi's character is apt to be humorous and light. In spite of his environment, he made his works characteristic, and he pursued usefulness. These features have important meaning, because he got down to brass tacks, he had literary taste in the same breath. 張維는 17세기 대표적 문인 중 한 명이며, 누정기는 작가적 개성이 비교적 잘 드러나는 장르이다. 이러한 작가의 무게와 장르적 특성으로 인하여 본고는 장유의 누정기를 주목하게 되었다. 장유의 작품이 지닌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寓言的 작품은 이해와 실천을 요구한다는 측면에서 哲理와 經世濟民을 추구하는 측면에 가깝다. 이러한 장유의 기본적 성향이 정신적 유희를 위한 상상력의 발현보다 교훈적, 실용적 목적을 위해 상상력을 발휘하게 하였다. 둘째, 장유는 당대 누정기 서술의 보편적 투식을 따르기도 하지만 개성적 글쓰기 또한 적지 않게 고려했다. 이것은 <蜃樓記>의 분석을 통해 어느 정도 알 수 있다. 셋째, 장유의 경우 불우에 대해 위로하고자 하거나, 鑑戒를 위해 周易을 인용하기도 한다. 주역의 인용은 天道의 합리성을 人事에 적용하였다는 측면에서 인간세상의 부조리에 대한 비판과 모범의 제시로도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인간세상의 부조리에 대한 비판과 모범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논리적 의론을 통한 실천의 촉구가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장유의 누정기 중에는 의론적 작품이 많다. 이러한 특징은 당대적 효용성, 즉 부조리에 대한 비판과 모범의 제시 등의 효용성을 추구하기 위한 서술의식의 발현이다. 이 점이 장유 누정기의 마지막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개성과 효용성 추구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17세기 전후 누정기의 특징을 의식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17세기를 전후한 시기의 일부 누정기에서 상상력과 자유로운 유희정신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상상력과 자유로운 유희정신은 예술정신의 근본이며, 문학적 개성창출에 어느 정도 기여한다. 둘째, 철리적․경세제민의 태도와 달리 閑寂精神은 희화적이고, 가벼우며, 유적하다. 이러한 특징이 소품적 성향을 발현시킨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장유의 누정기는 효용성을 추구하면서도 비교적 개성적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따라서 당대 문인지식으로서 외면해서는 안 될 사회적 부조리의 해결과 모범의 제시라는 난제를 해결하고자 하면서도 문학적 개성을 어느 정도 유지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金昌翕 <東遊小記> 연구 : 可遊者記의 서술 양상과 그 흐름에 대한 고찰을 겸하여

        안득용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6 고전과 해석 Vol.20 No.-

        林霽光의 <丹陽山水可遊者記>에서부터 여행의 체험보다 산수의 안내에 초점을 둔 일련의 山水遊記 作品群이 우리 山水遊記史에 등장했다. 본고는 이러한 작품군에 可遊者記라는 명칭을 부여하고, 그 서술양상과 역사적 흐름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와 같은 목적에 효율적으로 도달하기 위해 본고는 金昌翕이 동일한 시기에 같은 공간을 여행하고서 쓴, ‘일기체 산수유기’인 <雪岳日記>와 ‘가유자기’인 <東遊小記>를 비교함으로써 그 장르적 특징 및 서술 양상을 살펴보고, 가유자기의 흐름을 시대별로 살펴봄으로써 김창흡의 <동유소기>가 서있는 위치를 상정해 보려고 했다. 그 결과, 우선 <동유소기>에는 탐승의 과정이 생략되고 勝景에 대한 정보가 강화되어 있었으며, 승경의 소개에 초점을 맞추려고 했기 때문에 산수를 비교하여 品等을 정하는 山水品題가 적지 않게 보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산수를 좀 더 효과적으로 소개하고자 하는 의도, 자연에 내재한 哲理보다 자연 그 자체를 완상하고자 했던 자연 인식, 당대 중국 산수유기의 독서를 비롯해서, 여행과 그 기록을 선두에서 이끌었던 가문의 영향 등에서 발현된 것이다. 다음으로 시대별 가유자기의 흐름을 살펴본 결과, 그것이 처음 출현한 16세기부터 조선후기까지 시대별로 구분되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중 16세기의 가유자기는 여전히 일반 산수유기의 특징과 가유자기의 특징을 함께 담지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점은 장르가 아직 완전히 정착되지 못했던 당대 상황에서 발현된 결과이다. 아울러 철리적 경향을 띠던 동시대 일반 산수유기의 경향과 마찬가지로 이 시대의 가유자기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후 장르가 안착된 17세기의 가유자기뿐만 아니라 18세기 이후에 창작된 가유자기에서도 역시 김창흡의 <동유소기>에서 보이듯 자연 자체를 완상하고, 품제를 통해 승경을 효율적으로 소개하려는 태도가 부각되었다. 하지만 자연 그 자체뿐만 아니라 地理, 生利, 人心, 風俗 등까지도 가유자기의 주요한 소재로 편입한 점은 18세기 이후의 가유자기만이 지닌 고유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변화 역시 당대의 實學的 山水觀으로부터 도출된 것으로 보인다. 김창흡의 <동유소기>가 서있는 지점은 바로 여기이며, <동유소기>에서 소개한 승경이 후배들의 다양한 여행기록에 다시 등장하고, 그의 품제 역시 회자되고 있다는 사실을 통해 그 영향력 역시 작지 않았다는 점 역시 알 수 있다. This report researched Gayujagi(可遊者記. it is similar to travelers’ guidebook) in Joseon Dynasty, and focused on description aspect and the history of Gayujagi. Most of all for this aim, I focused Kim, Chang-huep’s Dongyosogi(東遊小記 : The Eastward travels) and The Diary in Mt. Sorak(雪岳日記). Because these works were written in same time, and these works focused on same space.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features. First, Dongyosogi(東遊小記) focused on guiding landscapes and evaluating landscapes. These features resulted from his intention of effective landscapes guiding, enjoying landscape itself. And these features also resulted from his family’s tendency that loved reading Chinese travels and traveling. Second, A Gayujagi(可遊者記) was not well established in 16th century, so Gayujagi in 16th century was a travel book(山水遊記) as well as a travelers’ guidebook. And like a travel book in 16th century, Gayujagi in 16th century was philosophically colored expression, this feature also is meaningful. A Gayujagi(可遊者記) in 17th and 18th century showed us the features focused on evaluating landscapes and enjoying landscape itself like Dongyosogi(東遊小記). But only Gayujagi(可遊者記) in 18th century focused on geography, comfortable residence, humaneness, and public morals as well as landscapes. these feature result from the view of recognizing landscape of each era. Judging from these, this is the very position of Dongyosogi(東遊小記). And by looking at Kim, Chang-heup’s juniors’ modeling his Dongyosogi(東遊小記), this work had great influence on Gayujagi(可遊者記)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謏聞 錄』 校勘·譯註 2

        안득용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4 고전과 해석 Vol.43 No.-

        본고는 『謏聞 錄』 校勘·譯註 1에 이은 『謏聞 錄』 校勘·譯註 2이다. 교감․역주 1의 경우, 『寒皐觀外史(一)』(金鑢 編)에 『謏聞瑣錄』 권1에 해당하는 부분이 누락된 관계로 교감과 역주에 활용하지 못했으나, 본 교감․역주 2의 臺本에 해당하는 『소문쇄록』 권2는 수록되어 있기에 본 교감과 역주에 활용할 수 있었다. 이에 본 교감․역주 2에서 대본으로 삼은 5종의 『소문쇄록』은 다음과 같다. ① 李佑成 編 『謏聞 錄(外一種)』(이하 서벽외사본), ② 일본 동양문고 소장본 『謏聞 錄』(이하 동양문고본), ③ 金鑢 編 『寒皐觀外史』(이하 한고관외사본), ④ 편자 미상의 『稗林(第五輯)』(이하 패림본), ⑤ 沈魯崇 編 『靜嘉堂本 大東稗林(二十八卷)』(이하 대동패림본). 아울러 『소문쇄록』의 대본은 ①②(이하 서벽외사본 계열)와 ③④⑤(이하 한고관외사본 계열) 두 계열로 나누어진다. 본고에서는 ‘서벽외사본’ 계열 上卷의 후반부, ‘한고관외사본’ 계열로는 2권에 해당하는 기사의 字句를 교감하여 번역하고, 분명한 이해를 돕는 주석을 병기하였다. 그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우선, 두 계열이 조금씩 다르게 단락을 구분했지만, 전체 기사의 수는 두 계열 모두 총 53개로 구성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전체 기사를 조금 더 세분화해 보면, 記事에 해당하는 항목이 32則(서벽외사본 계열)/32則(한고관외사본 계열), 記人은 15則/16則, 記物의 경우 6則/5則이었다. 마지막으로, 敍事로 구성한 기사가 15則/13則, 敎述의 성격을 띤 기사가 38則/40則이었으며, 詩話는 모두 13則이었다. 본 교감․주석의 결과는 향후 筆記 연구는 물론, 조선 전기의 정치․경제․사회․문화를 이해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is the proofreading, translation, and commentary of Miscellaneous words and trifles(謏聞 錄) 2, following the proofreading, translation, and commentary of Miscellaneous words and trifles(謏聞 錄) 1. the proofreading, translation, and commentary of Miscellaneous words and trifles(謏聞 錄) 1, it could not be used for proofreading, translation, and commentary because the part corresponding to Volume 1 of Miscellaneous words and trifles was omitted in Hangogwanoesa(寒皐觀外史) edited and commented on by Kim, Ryeo(金鑢), but Volume 2 of Miscellaneous words and trifles, the part corresponding to translation 2, is included in Hangogwanoesa, it could be used for proofreading, translation, and commentary. Accordingly, the five types of Miscellaneous words and trifles used as the original text in this proofreading, translation, and commentary 2 are as follows. ① Miscellaneous words and trifles edited by Lee, Woo-seong(李佑成) has beem handed down, and there is ② Miscellaneous words and trifles owned by Dongyang Bookstore in Japan. And ③ Miscellaneous words and trifles in Hangogwanoesa(寒皐觀外史) edited and commented on by Kim, Ryeo(金鑢), and ④ Miscellaneous words and trifles included in paerim(稗林), and there are ⑤ Miscellaneous words and trifles in Jeonggadangbon Daedongpaerim(靜嘉堂本 大東稗林) compiled by Sim, Ro-sung(沈魯崇). In addition, the manuscript of Miscellaneous words and trifles is divided into two series: ①② and ③④⑤. In this way, after dividing the manuscript of Miscellaneous words and trifles into two series, the articl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half of the upper part of the ‘Seobyeokoejanubon’ series and the second volume of the ‘Hangogwanoesabon’ series were translated. Of course, to ensure an accurate translation, the characters were communicated prior to translation, and annotations were added to aid clear understanding.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t the composition level. First of all, although the two series divided the paragraphs slightly differently,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in both series was 53. Next, if we break down the entire article a little further, the records about events are 32 paragraphs(‘Seobyeokoejanubon’ series)/32 paragraphs(‘Hangogwanoesabon’ series), the records about people are 15/16, and the records about things are 6/5. Lastly, the articles composed of narrative description were 15/13, the articles composed of thematic description were 38/40, and the total number of note on poetry was 13 paragraphs. The results of this proofreading, translation, and commentary of Miscellaneous words and trifl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future miscellanies research as well as to understanding the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