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교회 사회복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대전지역 침례교회를 중심으로 -

        안대현 교회사회사업학회 2011 교회와 사회복지 Vol.0 No.16

        본 연구는 대전지역 침례교회를 중심으로 교회 사회복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을 식별하고, 이를 침례교회의 사회복지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대책과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있는 침례교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조사 결과는담임목사의 사회복지 실천정도가 높을수록, 교인의 교회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사회복지기관의 방문횟수가 적을수록, 교회의 사회복지 교육실시정도가 많을수록, 교회의 내·외부적 호응도가 높을수록, 교회의 사회복지예산이 충분할수록 교회 사회복지프로그램의 활성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목사 뿐만 아니라 모든 교인들이 사회복지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정기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교인들이 사회복지 인식을 높이고 지역사회복지기관과의 유대관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셋째, 체계적이고 활발한 사회복지활동을 위해 복지예산이 증가되어야 한다.

      • KCI등재

        점토석독구결의 점토 체계의 대칭성

        안대현 구결학회 2020 구결연구 Vol.44 No.-

        기하학적 대칭성(symmetry)은 자연물과 인공물에 존재하며, 이동 대칭, 회전대칭, 반사 대칭으로 나눌 수 있다. 문자나 기호에도 대칭성이 있는데, 우연한 대칭성도 있으나 한글, 한글 점자, 일본의 오코토점 등에서 발견되는 체계적으로 고안된 대칭성도 있다. 점토석독구결은 전체적으로 같은 모양이 여러 위치에 사용되는 이동 대칭이 적용되며, 주본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의 12와 14 위치 사이나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의 한자 외부의 가까운 위치와 먼 위치 사이에 부분적으로 적용되는 이동 대칭도 있다. 회전 대칭은 주본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의 같은 위치에서 ‘□/□’와 ‘□/□’를 포함하는 점토들 사이,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의 같은 위치에서 ‘□’와 ‘□’를 포함하는 점토들 사이에서 발견된다. 반사 대칭은 주본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의 51과 55 위치 사이에서 발견되고, 『화엄경』 계통과 『유가사지론』 계통 점도 사이에도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대칭성은 점토석독구결이 체계적으로 고안된 것임을 보여준다. 幾何学的対称性(シンメトリ)は自然物と人工物に存在し、移動対称と回転対称と反射対称に分けることができる。文字や記号からも対称性があり、偶然による対称性もあるが、ハングル、ハングル点字、日本のヲコト点などから発見される、体系的に考案された対称性もある。点吐釈読口訣は全体的に同じ形が複数の位置に使用される移動対称が適用され、周本『華厳経』点吐釈読口訣の12の位置と14の位置の間や、『瑜伽師地論』点吐釈読口訣の漢字外部の近い位置と遠い位置の間に、部分的に適用される移動対称もある。回転対称は、周本『華厳経』点吐釈読口訣の同じ位置では、「□/□」と「□/□」を含む点吐の間、『瑜伽師地論』点吐釈読口訣の同じ位置から「□」と「□」を含む点吐の間から、発見されている。反射対称は周本『華厳経』点吐釈読口訣の51の位置と55の位置の間から発見され、また『華厳経』系統と『瑜伽師地論』系統の間にも存在する可能性がある。このような対称性は点吐釈読口訣が体系的に考案されたものであることを示している。

      • KCI등재

        한국어 중앙어 ㄷ구개음화의 발생 시기

        안대현 국어학회 2009 국어학 Vol.0 No.54

        이 글은 한국어의 중앙어에서 ㄷ구개음화가 언제 발생하였는지를 명확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에서 중앙어의 ㄷ구개음화의 근거로 제시한 15~17세기 문헌 자료의 표기례들을 문헌학적·언어학적으로 정밀하게 검토한 결과, 17세기까지의 중앙어를 반영한 자료에서는 ㄷ구개음화가 존재하였다는 명확한 근거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1721년에 간행된 ≪오륜전비언해≫의 ㄷ구개음화와 과도교정의 비율을 계산하면 ㄷ구개음화가 발생한 초기의 모습을 보인다. 따라서 한국어의 중앙어에서는 ㄷ구개음화가 18세기에 발생되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KCI등재

        문화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중학교 역사교육과정기준 개발 방안 연구

        안대현,홍후조 국립문화재연구원 202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4 No.3

        Since the advent of tertiary curriculum, middle school history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political history, but many students perceive history as a simple memorization subject and complain about difficulties in abstract learning. The researcher saw this problem as caused by the history curriculum, and carried out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proposing a revitalization of cultural property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history curriculum.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prior research, the usefulness of cultural property education, such as nurturing creative talent and realizing interactive history classes, was revealed, an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political historycentered middle school history curriculum were pointed out. Afterwards,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opinion survey on middle school 3rd grade students and social studies teachers, it was found that first, both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teachers thought that the current political history-centered history had much room for improvement . Second, all groups agreed on the necessity of cultural property education in history education. However, in reality, it was found that it was not easy to sufficiently educate students about cultural property in a political history-centered curriculum. Third, teachers thought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ent history curriculum in order to enhance cultural property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 suggested an improvement plan for the 2015 revised history curriculum. First, in the 'nature of the subject' section, cultural properties and historical materials should be included, and in the ‘objective' section,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should be included. Contents related to cultural properties should be added to the sub-themes in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cultural propertiesrelated contents should be further reinforc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It was suggested that this section should include cultural property learning and historical material learning, and guidance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ultural property education should be added. If these aspects are reflect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at is currently being developed, cultural property education will be improved, and more lively history education will be provided to students. 3차 교육과정 이후 중학교 역사교육은 정치사 중심으로 실시되어왔으나 많은 학생들은 역사 과목을 단순 암기 과 목으로 인식하며 추상적인 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점이 역사교육과정기준에서 비롯되 었다고 보고 중학교 역사교육과정기준에서 문화재 교육 활성화를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창의적 인재 양성과 학생 참여형 역사 수업 구현 등 문화재 교육의 유용성을 밝히고 현행 정치사 중심의 중학교 역사교육과정기준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후 중학교 3학년 학생들과 사회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역사교육 및 문화재 교육에 관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학생들은 현행 정치사 중심의 역 사를 학습량이 많다고 생각하며 교사들도 이에 대해 동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집단에서 역사교육에서 문 화재 교육의 필요성을 공감하였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정치사 중심의 역사교육과정에서 문화재 교육을 충분히 하기 가 쉽지 않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은 문화재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정치사를 중심으로 구성된 현행 역사교육과정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2015 개정 역사교육과정기준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성격’ 부분에서는 문화재 관 련 내용을 추가할 것과 역사 자료에 문화재를 포함할 것, ‘목표’ 부분에서는 정치·경제·사회·문화를 포함할 것과 문화재 학습을 통해 우리 민족의 전통과 문화를 계승·보존·발전시켜 나간다는 것을 추가 기술할 것,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부분에서는 소주제에 문화재 관련 내용을 추가할 것과 성취 기준에 문화재 관련 내용을 좀 더 보강할 것, ‘교수·학습 및 평가’ 부분에서는 사료 학습에 문화재 학습을 포함할 것과 문화재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안내를 추가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이 현재 개발 중인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다면 문화재 교육이 강화되어 보다 생동 감 있는 역사교육을 학생들에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IB MYP 수행 지시어(Command Terms)를 준용한 사회 및 도덕 교과 성취기준 개선 연구

        안대현,홍후조 안암교육학회 2024 한국교육학연구 Vol.30 No.1

        In Korea, subject educational goals were presented as achievement standards after the 7th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re standards that must be achieved in the classroom for each subject and must be presented in detail so that teachers and students can easily understand and grasp them. However, Korea's achievement standard performance verbs have been criticized for not functioning properly as objective 'standards' or 'reach points' due to the use of ambiguous verbs or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between teachers of each subject regarding the same performance verbs. Eve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many performative verbs that do not meet the purpose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found.On the other hand, IB MYP provides 62 command terms that direct clear actions to design learning goals and evaluations, and provides definitions for each. Accordingly, the researcher attempted to improv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Korea's social and moral subjects by applying command terms of the IB MYP. For this purpose, a study was conducted by borrowing the deliberation process of the bridge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First, after investigating all performance verbs for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nd moral subject group, we developed a <First Draft> that improved the achievement standards by applying the IB MYP command terms to performance verbs that did not fit the purpose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response to this, we conducted a preliminary opinion survey and interviews with 15 current teachers and developed an improvement plan. Afterwards, we received advice from 14 PhD in Curriculum Studies regarding the <Revised Draft> and presented the <Final Draft> with improved achievement standard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of a draft nature, and is significant in that it points out problems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d utilizes IB's command terms for improvement.

      • KCI등재

        신미의 언어에 대한 방언사적 고찰 - 『목우자수심결언해』와 『사법어언해』를 대상으로 -

        안대현 국어사학회 2020 국어사연구 Vol.0 No.31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linguistic features of Mogujasusimgyeol-eonhae and Sabeobeo-eonhae approaching from historical dialectology. First, adverbs with ‘ㅸ’ reflect ‘ㅸ[ß]>ㅂ[b]’ and ‘비(誹謗)’ reflects ‘ㅂ[b]>w’ as hypercorrection of ‘ㅸ[ß]>ㅂ[b]’, we can attribute these examples to Gyeongsang dialect. Second, ‘몬저’ and ‘이졔’ reflects /j/ deletion and /j/ addition respectively related to ‘ㅈ’ palatalization, we can attribute these examples to Southern dialect known as epicenter of palatalization. Third, ‘지다’ and ‘사름’ reflects the change of ‘ㆍ’, we can interpret these as the influence of the Southern dialect. Fourth, ‘모롬’, the nominal form of ‘모다’, and ‘재’, the synonym of ‘ᄀᆞ자ᇰ’, may have been influenced by the Southern dialect. These linguistic features can be interpreted in relation to the fact that Yeongdong(永同) and Boeun(報恩), native region and active region of the translator Sinmi(信眉), adjacent to Gyeongsangbuk-do. 이 논문은 『목우자수심결언해』와 『사법어언해』의 언어적 특징을 고찰하고 그것을 방언사적 관점에서 해석한 것이다. 첫째, ‘ㅸ’이 쓰인 부사들과 ‘비’은 각각 ‘ㅸ>ㅂ’을 반영한 것과 그 과도교정인 ‘ㅂ>w’을 반영한 예로서 경상 방언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몬저’와 ‘이졔’는 각각 ㅈ구개음화를 보여주는 j탈락 및 j첨가의 예로서 구개음화의 진원지인 남부 방언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셋째, ‘ᄀᆞ지다’와 ‘사름’은 ‘ㆍ’의 변화와 관련된 이른 예로서 남부 방언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넷째, ‘모다’의 명사형 ‘모롬’과 ‘ᄀᆞ자ᇰ’의 동의어인 ‘재’도 남부 방언의 영향일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언해자인 신미의 출신 지역인 영동과 활동 지역인 보은이 경상북도와 인접한 지방이라는 점과 관련된 것으로 해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