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 예술의 수용 문제

        심혜련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2023 인공지능인문학연구 Vol.14 No.-

        인공지능이 시를 쓰고, 음악을 작곡하고 그림을 그리는 시대가 왔다. 예술가로인공지능을 인정해야 하는지 그리고 인공지능이 만든 제작물들을 예술로 인정해야 하는지의 문제가 중요한 논쟁이 되고 있다. 그러나 논쟁의 정도만 다를 뿐, 이러한 논쟁은 아주 새로운 논쟁은 아니다. 이미 사진과 영화가 등장했을 때, 이와 유사한 논쟁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사진이 예술인지 아닌지의 오래된 논쟁이그 예다. 궁극적으로 이 문제는 예술과 기술의 관계, 그리고 예술에서 기술의 역할을 어느 정도까지 인정할 것에 관한 것입니다. 이 글에서 나는 먼저 사진을 중심으로 기계-예술의 수용 문제를 살펴본 후, 인공지능 시대에 있어서 예술의 수용 문제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기계-예술의문제는 특히 벤야민의 시각적 무의식과 베르토프의 키노-아이의 개념을 중심으로분석할 것이다. 또 사진의 등장에 대한 예술가의 반응을 다다이스트들의 포토몽타주를 중심으로 분석할 것이다. 그다음 창의성 논쟁을 중심으로 인공지능을 창작 도구로 볼 것인지 아니면 독자적인 예술가로 인정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를다룰 것이다. 이와 더불어 이러한 문제들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들도 지적할 것이다. 이 논쟁의 근거가 되는 예술가와 예술 개념이 전통적인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할 것이다 The era has com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 write poetry, compose music, and paint pictures. The debate over whether AI should be recognized as an artist and whether its creations should be considered art has become important. However, only the degree of controversy is different, and these debates are not entirely new. Similar debates have been going on since the advent of photography and film. An example is the age-old debate about whether photography is art or not. Ultimately, this issue is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art and technology, and the extent to which we recognize the role of technology in art. In this paper, I will first examine the issue of machine-art acceptance, focusing on photography, and then analyze the issue of art acceptance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problem of machine-art will be analyzed, especially focusing on Benjaminʼs visual unconsciousness and Vertovʼs concept of Kino-Eye. In addition, the artistʼs response to the emergence of photography will be analyzed, focusing on the photomontage of the Dadaists. Focusing on creativity debates, I will then address the question of whether artificial intelligence should be regarded as a creative tool or an autonomous artist. Moreover, the limitations of these problems will be pointed out. It will be pointed out that the artists and art concepts that are the basis for this debate are not beyond the traditional boundaries, and alternatives will be proposed.

      • KCI등재

        대중매체에 관한 발터 벤야민의 미학적 고찰의 지니는 현대적 의의

        심혜련 한국미학회 2001 美學 Vol.30 No.-

        Walter Benjamin hat keinen Zweifel daran, daß der Auraverfall die entscheidende Erscheinung im Zeitalter der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 vor allem in Bezug auf die Charaktervera¨nderung des Kunstwerks ist. Mit der Charaktervera¨nderung des Kunstwerks vera¨nderte sich auch die verschiedenen Attribute des Kunstwerks. Aus Benjamins Sicht hat sich das Kunstwerk mit dem Verfall der Aura vom Ritual emanzipiert und ist als neues Kunstwerk, welches mittels technischer Medien vermittelt wird, auf der Kunstebene zum Vorschein gekommen. Der Auraverfall als die Emanzipation des Kunstwerks vom Ritual bedeutet bei Benjamin die Wertvera¨nderung des Kunstwerks: Vom Kultwert zum Ausstellungswert. Der Auraverfall bei Benjamin bedeutet auch nicht nur eine Vera¨nderung des Charakters der Kunst, sondern solch eine These impliziert auch eine Vera¨nderung der Wahrnehmung. Vom a¨sthetischen Standpunkt aus sind diese Aufmerksamkeit von Benjamin sehr sinnvoll, weil er die neuartige Kunst im Zeitalter der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 wie Photographie, Film und Reklame auf der Ebene der wissenschaft anerkannt hat und das Verha¨ltnis zwischen Kunstwerk und Wahrnehmungsform zusammen gefaßt hat. Benjamins Erachtens hat eine ganz neue Phase im Bereich der traditionellen Kunst mit der Erfindung der Photographie begonnen, weil die photographische Reproduktion von Kunstwerken verwirklicht werden konnte, so daß die exklusive Position der u¨berlierten Kunst mit der Eigenschaft der Unnahbarkeiten in Gefahr geraten ist. Er macht darauf aufmerksam, daß man mit dem neuen Ausstellungswert des Kunstwerks die Mo¨glichkeit gewonnen hat, das Kunstwerk jedem nahezubringen, da man es nicht nur an einem bestimmten Ort wie dem Kloster oder dem Hof sehen kann, sondern auch an o¨ffenlichen Orten oder in den neuen Medien wie der Zeitschrift, Zeitung, in Bu¨chern und im Film. Diese bezeichnet Benjamin als die demokratische Zuga¨nglichkeit. Hier hat Benjamin schließlich betrachtet, daß das kultische Element des Kunstwerks durch die photographisch reproduzierten Kunstwerke erloschen ist. Erstaunlicherweise hat Benjamin schon die große Rolle der Massenmedein in Bezug auf den Sturkturwandel der Wahrnehmung antizipiert, anders als die anderen Theoretiker, die die Massenmedien im Bereich der Wissenschaft nachla¨ssig behandelt haben. Er versuchte Fim und Reklame in Bezug auf den Strukturwandel der Wahrnehmung zusammenzufassen. Aus seiner Sicht beforderten die traditonelle Kunstwerke eine kontemplative individuellen Rezeption. Im Gegensatz beforderten die neuartige Kunstwerke eine zerstreute taktile Massenrezeption. Fu¨r Benjamin sind Zerstreuung und Taktilita¨t mit der Massenrezeption eine neuen Wahrnehmungsweise im Zeitalter der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 und weitergehend bedeuten sie fu¨r ihn eine sehr positive Erscheinung. In der Zertreuung als eine Rezeptionsform hat er eine Vera¨nderung des Verha¨ltnisse zwischen der Kunst und dem Rezipienten bemerkt. Der Begriff der Zerstreuung zielt bei ihm auf eine Distanzierung zwischen Kunstwerk und Publikum. Ihm zufolge ko¨nnen sich die Rezipienten durch die Kontemplation in das Kunstwerk versenken. Dies ist fu¨r ihn eine unkritische Rezeptionsform, weil sie von dem Rezipienten fordert, daß er in das Kunstwerk einzubeziehen ist. Im Gegensatz sind die Zerstreuung und die Taktilita¨t durch Film und Reklame zum Vorschein gekommen. Und sie bedeutet bei Benjamin eine kritische Rezeptionsform, weil sie die Kontemplation und die Versenkung in das Kunstwerk verhindert werden kann und dadurch ko¨nnen die Rezipienten eine kritische Verhaltung behalten. Fu¨r Benjamin ist das Publikum zugleich ein Zerstreutes und ein kritischer Examinator. Diese Benjamins Theorie ist im Bereich der Mediena¨sthetik noch aktuell. Mediena¨sthetik begreift A¨sthetik als Wahrnehmungstheorie. Aus diesem Grund versucht sie das Verha¨ltnis zwischen Medien und Wahrnehmung. Aus ihrer Sicht ist Bejamins Aufmerksamkeit auf die Massenmedien und besonders das Verha¨ltnis zwischen Medien und Wahrnehmungsform sehr wichtig.

      • 새로운 매체 시대의 영상의 수용 문제에 관하여

        심혜련,Shim Hea-Ryun 한국조형예술학회 2003 조형예술학연구 Vol.5 No.-

        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t es um die Rezeptionsproblem des Bildes im Zeitalter der neuen Median. Heuzutage erleben wir einen Medien-Boom, bzw. digital-Medien. Manche Theoretiker diskutieren deshalb ueber das Problem der digital-Median in den verschiedenen Bereich. Im Bereich der Kunst und Kultur handelt os sich auch urn die Varaenderung des Kunstwerkes, der Rezeption und der Herstellung des Kunstwerkes. In dieser Fragestellung ist es wichtig, das Problem ueber Bild zu erlaeutern, weil das Bild abhaengig von den Medien ist. Durch Medien wird das Bild veraendern koennen. Und auch wird die Rezeption des Bildes veraendern muessen. In Zeitalter der neunen Medien, bzw digital Medien, veraenderten sich die Rezeption des Bildes von der konzentrativen Rezeption zur zerstreuuten und konzentrativen Rezeption. Diese erneuerte Rezeption nenne ich das zerstreuute Kontemplation. Das ist eine Rezeption im Zeitalter der neuen Medien.

      • KCI등재

        뵈메의 분위기 감성학과 디지털 매체예술의 수용방식에 관하여

        심혜련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9 감성연구 Vol.0 No.19

        이 글의 목적은 뵈메의 감성학을 중심으로 디지털 매체예술의 새로운 수용방식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디지털 매체예술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상호작용이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논의는 주로 기술적 상호작용에 맞추어져 있었다. 특히 매체감성학은 감성적 지각을 중심으로 하는 감성학임에도 불구하고 지각과 지각 주체의 문제를 소홀하게 다루었다. 기술적 상호작용 외에 다른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것이다. 디지털 매체예술의 수용문제를 협소하게 이해한 것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또 다른 감성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뵈메의 감성학이다. 그는 감성학이란 일반적인 지각이론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의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분위기 개념이다. 분위기를 지각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의 분위기 감성학은 예술뿐만이 아니라, 자연과 환경 그리고 디자인과 상품에도 적용가능하다. 이 모든 것들이 공간의 분위기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그가 분위기와 관련해서 특히 주목하는 것은 분위기 있는 공간과 그 공간에서 분위기를 지각하는 신체다. 이러한 그의 감성학은 디지털 매체예술을 해석하는데 새로운 이론적 틀로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먼저 그의 감성학을 소개하고, 이를 토대도 어떻게 디지털 매체예술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을지를 보여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 new way of accepting digital media art based on Böhme’s aisthetik. Interaction is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art. Nevertheless, previous discussions on digital media mostly focused on technical interaction. In particular, although media-aisthetik is an aisthetik centered on emotional perception (aisthesis), questions concerning perception (aisthesis) and its subject have been belittled. Excluding the technical interaction, other types of interaction have not been noted. A narrow perspective on the acceptance of digital media art has been adopted. Another emotional approach is need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at is just Böhme’s aisthetik. Böhme argues thant aisthetik is a general theory of perception. The concept of atmosphere is essential in his theory. It’s most important to be aware of the atmosphere. His aisthetik of atmosphere is applicable to not only art but also nature, environment, design and products, all of which formulate a spatial atmosphere. Above all, in relation to the atmosphere, he notes the space with the atmosphere and the body perceiving the atmosphere in the space. In that Böhme’s aisthetik is worth utilizing as a new theoretical frame for interpreting digital media art, this paper describes his aisthetik and demonstrates how to interpret digital media art based on the aisthetik.

      • KCI등재

        매체, 몸 그리고 지각

        심혜련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4

        이 논문의 주제는 매체, 몸 그리고 지각의 관계에 대한 연구다. 매체와 몸 그리고 지각의 관계 문제는 매우 중요한 문제임과 동시에 오래된 문제다. 특히 매체기술의 발전이후 이들의 관계는 늘 논쟁의 중심에 있었다. 그런데 디지털 매체가 등장한 이후, 매체와 몸 그리고 지각의 관계는 이전과는 다른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원격현존으로 존재하고, 또 사이버스페이스로의 탈신체화가 논의되는 지금, 다른 한 쪽에서는 신체에 대한 과도한 관심을 중심으로 과신체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몸의 꾸밈과 변형 또한 과거와는 달리, 쉽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 이러한 현상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있다. 이는 일종의 몸의 귀환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지금, 왜 몸이 문제가 되며, 몸담론의 재등장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매체담론 내부에서 논의되고 있는 몸과 지각을 둘러싼 문제의 핵심이 무엇인지를 논의했다. 문제의 핵심은 바로 매체화된 지각과 비매체적 지각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이 둘 다 몸과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신체의 소멸은 매체, 몸 그리고 지각의 관계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확장된 몸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신체화, 탈신체화 그리고 과신체화를 설명하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살펴본다. The present paper concerns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body and perception, which is a very important and long-standing issue. In particular, the advancement of media technology has made how they are related controversial. However, since the emergence of digital media,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body and perception has been discussed from an unprecedented perspective. In contrast to the current discussion on telepresence and disembodiment toward cyberspace on the one hand, hyperembodiment is arising in tandem with the excessive interest in the body on the other hand. Moreover, the diversifie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facilitated the decor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body, unlike in the past, which draws much attention.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return of the body. Thus, this paper delves into why the body is at the center of debate now and why meaning of the discourse on the body is revisited. Moreover, the paper sheds light on the essence of the issues regarding the body and perception as discussed in the discourse on media. The essence of the issues consists of medialized perceptions and non-medialized perceptions, with both associated with the body. However, the disappearance of the body derives from a mis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body and perception. The expanded body is identical. Therefore, this study explains embodiment, disembodiment and hyperembodiment and considers the future prospects.

      • 문화적 기억과 도시 공간,그리고 미적 체험 :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이론을 중심으로

        심혜련 한국문화교육학회 200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3 No.1

        도시 공간은 단순히 일상 생활을 위한 공간은 아니다. 도시 공간은 문화적 기억과 흔적을 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도시 공간은 문화적 기억을 위한 하나의 텍스트로 작용한다. 뿐만 아니라, 도시 공간은 이제 하나의 놀이 공간 또는 예술적 공간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공간에서 많은 사람들은 미적 체험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도시 공간은 그 자체가 하나의 예술적 텍스트로 작용한다. 이 글에서 필자는 바로 도시 공간을 하나의 문화적 기억과 미적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보고, 이를 이러한 관점에서 파악한 발터 벤야민의 이론을 중심으로 도시 공간을 파악하고자 한다. 벤야민은 도시 인상학자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많은 도시들을 하나의 텍스트로 여겨서 이를 분석한다. 특히 베를린, 파리, 모스크바라는 세 도시는 벤야민 사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이 세 도시를 중심으로 벤야민의 도시 사유에 대한 생각을 살펴볼 것이다. Der Stadtraum bedeutet nicht nur den alltägliche Lebensraum, sondern auch einen kulturellen Raum. Deshalb hat er die kulturelle Erinnerung und den kulturellen Spur. Und er bedeutet auch den neuen Spielraum und künstlichen Raum. Aus diesem Grund spielt er eine Rolle als den theoretischen Text. In dieser Arbeit handelt es sich um den Stadtraum als einen kulturellen Raum. Vor allem thematisiere ich die Theorie von Walter Benjamin im Bezug auf den Stadtraum.

      • KCI등재

        확장된 도시 읽기-벤야민의 도시 인상학을 중심으로

        심혜련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22 도시인문학연구 Vol.14 No.1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이후, 일상공간에 큰 변화가 생겼다. 매체공간이 주요 공적공간으로 등장하고, 도시공간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라는 새로운 삶의 방식이 요청되었다. 현전과 대면 대신 원격현전과 비대면이 전면에 등장했다. 그 결과 도시공간은 매체공간과의 결합으로 인해 확장된 도시가 되었다. 현대 대도시들은 모두 이러한 확장된 도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매체공간과의 결합을 통해 도시공간이 어떻게 확장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벤야민의 도시인상학을중심으로 지금의 확장된 도시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도시에 대한 벤야민의 사유 그리고 그의 방법론은 확장된 도시를 분석할 때도 여전히 유효하다. 그는 다양한 방식으로 도시를 분석했다. 다공성도 그러한 분석 중 하나다. 벤야민은 나폴리를 분석할때, 다공적이라고 분석했다. 다공적 도시란, 고정된 장소와 그 장소에서 요구되는특정한 행위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다공적 도시에서는 공간적 변화가 자유롭고 용이하다. 기능에 따라 도시의 여러 장소들이 쉽게 변화할 수 있다. 확장된 도시또한 매우 다공적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벤야민의 다공성 개념을 중심으로 그의도시 인상학을 분석한 후, 이를 확장된 도시에 적용을 시도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매체와 이미지 생산에 관하여

        심혜련 철학연구회 2023 哲學硏究 Vol.- No.142

        Digital media has changed the way humans exist, think, and communicate. Not only that, it also brought about great changes in culture and arts. In fact, media and art are inseparable. Art can only exist by expressing something externally, and ‘tools’ are needed to express it. Therefore, art actively used new technological devices as tools for expression. However, as the proportion of media in art production gradually increased, media art emerged. The first media art was photography. While photography brought about the technical duplication and reproduction of images, digital media brought about the transformation of images. In the era of digital media, images irrelevant to originality sometimes appear, and images are freely transformed. Not only that, but hybridization of images and other genres of art is also done freely.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images, focusing on these changes, and criticize the problems of the controversy surrounding images in the digital media era. Next, I will try to forecast the function and value of digital images, focusing on the theories of Benjamin and Flusser.

      • KCI등재후보

        매체공간, 확장된 현실 그리고 헤테로토피아

        심혜련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2022 인공지능인문학연구 Vol.11 No.-

        Since the advent of digital media, space-time has been reorganized. In particular, recently, the phenomenon of hybridization between media space and real space has been remarkable. ‘Augmented reality’, ‘mixed reality’ and ‘expended reality’, which are being discussed in earnest beyond virtual reality, are the result. These spaces have already become everyday spa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media space centering on the existing space and place theory. In this article, I will define and analyze these media spaces as media heterotopia. To this end, I will first summarize Foucault's concept of heterotopia. Next, I will look at the media heterotopia by dividing it into before and after digital media. Finally, I will talk about the recognition of the hybridized subject as a resident in a digital heterotopia. This is because not only the identity of the subject is reconstructed in the digital heterotopia, but the body is also reconstructed through combination with other body images. 디지털 매체의 등장으로 인해 시공간이 재편된 지 이미 오래다. 특히 최근에는 매체공간과 실제공간의 혼종화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가상현실을 넘어 본격적으로 논의되는 ‘증강 현실’, ‘혼합 현실’ 그리고 ‘확장된 현실’이 그 결과다. 이러한 공간들은 이미 일상공간이 되었다. 따라서 매체공간을 기존의 공간과 장소 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 나는 이러한 매체적 공간들을 매체적 헤테로토피아라고 규정하고 분석할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정리할 것이다. 그 다음 매체적 헤테토피아를 디지털 매체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살펴 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헤테로토피아에서의 거주민으로서 혼종화된 주체의 인정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다. 디지털 헤테로토피아에서 주제의 정체성이 재구성될 뿐만 아니라, 신체도 다른 신체 이미지와의 결합을 통해 재구성되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