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야자와 겐지 宮澤賢治와 권정생의 동화 비교 연구

        심종숙(Shim, Jongsuk),박영기(Park, Younggi)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3

        존재가 스스로의 불완전성을 인식하고 자기 부정성에 눈 뜰 때 자신과 투쟁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존재는 도약함으로써 자기 희생의 과정을 수용한다. 본고에서는 한·일의 동화작가 미야자와 겐지 宮澤賢治 의「쏙독새별 よだかの星 」과 권정생의「강아지똥」을 중심으로 자기희생의 신념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알아보았다.「쏙독새별 よだかの星」에서 쏙독새는 자신의 외모를 비하하는 다른 새들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부정성을 알게 된다.「강아지똥」에서 강아지 똥은 더럽다고 자신을 피하는 참새나 흙덩이를 보면서 하잘 것 없는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게 된다. 쏙독새는 매에게 생명의 위협까지 받게 되지만 자신도 벌레들을 잡아 먹어야 살아가는 생물로서의 존재악을 깨닫게 된다. 이때, 생태계의 먹이 사슬을 끊고 스스로 희생함으로써 천상으로 비상하여 별이 된다. 강아지똥은 보잘 것 없는 존재이지만 어떻게 선한 존재가 될까 고민하다가 스스로 민들레의 거름이 되어줌으로써 새로운 생명, 아름다운 꽃을 피워낸다. 미야자와 겐지와 권정생은 각각 자신들의 신앙의 표상이었던 부처와 예수의 모습을 작품 속에 표현해 내었다. 가장 낮은 자의 모습으로 자기를 희생하는 쏙독새와 강아지똥의 모습은 존재의 불완전성을 극복하고 새로운 생명을 탄생하는 경지로 나아간다. When the existence realizes his own incompleteness and becomes aware of his negativity, the existence will struggle with himself. In that process, existence accepts the self-sacrifice process as his jump. In this paper, by reviewing ssokdoksaebyeol よだかの星 of Kenji Miyazawa 宮澤賢治 and Gangajiddong of Kwon Jeong-saeng, we looked into that how the faith of self-sacrifice is implemented in their literary works. In ssokdoksaebyeol よだかの星, ssokdok bird recognizes his existence and is aware his negativity given to him in relation to other birds which demean ssokdok bird. In Gangajiddong, Gangajiddong recognizes his worthless existence while he is watching the sparrow and a lump of earth which are avoiding dirty Gangajiddong. Although Ssokdok bird is being threatened his life by hawk, because he also catches and eats insects to survive, he also realizes him as the evil of existence. Gangajiddong agonizes to become a good existence and he produces new life and beautiful flowers bloom by becoming fertilizer for dandelion. Kenji Miyazawa has faith in Buddha and Kwon Jeong-saeng has faith in Jesus and they express Buddha and Jesus in their works. The scene of Ssokdok bird and Gangajiddong who sacrifices themselves proceeds to the stage of creating a new life by overcoming incompleteness of existence. 존재가 스스로의 불완전성을 인식하고 자기 부정성에 눈 뜰 때 자신과 투쟁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존재는 도약함으로써 자기 희생의 과정을 수용한다. 본고에서는 한·일의 동화작가 미야자와 겐지 宮澤賢治 의「쏙독새별 よだかの星 」과 권정생의「강아지똥」을 중심으로 자기희생의 신념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알아보았다.「쏙독새별 よだかの星」에서 쏙독새는 자신의 외모를 비하하는 다른 새들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부정성을 알게 된다.「강아지똥」에서 강아지 똥은 더럽다고 자신을 피하는 참새나 흙덩이를 보면서 하잘 것 없는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게 된다. 쏙독새는 매에게 생명의 위협까지 받게 되지만 자신도 벌레들을 잡아 먹어야 살아가는 생물로서의 존재악을 깨닫게 된다. 이때, 생태계의 먹이 사슬을 끊고 스스로 희생함으로써 천상으로 비상하여 별이 된다. 강아지똥은 보잘 것 없는 존재이지만 어떻게 선한 존재가 될까 고민하다가 스스로 민들레의 거름이 되어줌으로써 새로운 생명, 아름다운 꽃을 피워낸다. 미야자와 겐지와 권정생은 각각 자신들의 신앙의 표상이었던 부처와 예수의 모습을 작품 속에 표현해 내었다. 가장 낮은 자의 모습으로 자기를 희생하는 쏙독새와 강아지똥의 모습은 존재의 불완전성을 극복하고 새로운 생명을 탄생하는 경지로 나아간다. When the existence realizes his own incompleteness and becomes aware of his negativity, the existence will struggle with himself. In that process, existence accepts the self-sacrifice process as his jump. In this paper, by reviewing ssokdoksaebyeol よだかの星 of Kenji Miyazawa 宮澤賢治 and Gangajiddong of Kwon Jeong-saeng, we looked into that how the faith of self-sacrifice is implemented in their literary works. In ssokdoksaebyeol よだかの星, ssokdok bird recognizes his existence and is aware his negativity given to him in relation to other birds which demean ssokdok bird. In Gangajiddong, Gangajiddong recognizes his worthless existence while he is watching the sparrow and a lump of earth which are avoiding dirty Gangajiddong. Although Ssokdok bird is being threatened his life by hawk, because he also catches and eats insects to survive, he also realizes him as the evil of existence. Gangajiddong agonizes to become a good existence and he produces new life and beautiful flowers bloom by becoming fertilizer for dandelion. Kenji Miyazawa has faith in Buddha and Kwon Jeong-saeng has faith in Jesus and they express Buddha and Jesus in their works. The scene of Ssokdok bird and Gangajiddong who sacrifices themselves proceeds to the stage of creating a new life by overcoming incompleteness of existence.

      • KCI등재

        미야자와 겐지와 권정생 동화의 전승성 연구 - 인물의 재창조와 환상성을 중심으로 -

        박영기 ( Park Younggi ),심종숙 ( Shim Jongsu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7 동화와 번역 Vol.34 No.-

        본 연구에서는 미야자와 겐지와 권정생 두 작가의 동화 중에 민담을 소재로 한 동화들을 대상으로 하여 인물의 재창조와 환상성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이 두 작가는 동화가 가지는 환상성을 부각시키고, 민간전승의 주인공의 재창조를 통해 민담에 새로운 생명력을 부여해 주었다. 미야자와 겐지(宮澤賢治)는 민간전승을 바탕으로 한 산사나이의 사월 과 『바람의 마타사부로』에서 소수자이며 경계인의 이미지가 강한 인물을 재창조했으며, 권정생은 동화 『밥데기 죽데기』, 『팔푼돌이네 삼형제』에서 변신한 존재 혹은 도깨비를 등장시켜 민중의 이야기를 대변하도록 하였다. 미야자와 겐지는 경계인 ‘마타사부로’나 ‘산사나이’의 인물 조형을 통해 근대의 지배적인 집단이나 사회, 도시와 농촌, 학교, 촌동 집단에서 이인(異人)으로서 지배 집단과 길항하는 근대적 경계인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권정생 역시 환상을 통해 변신된 인물 내지는 전승의 도깨비를 통하여 작가가 경험한 고통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용서와 화해, 그리고 한국 사회의 미래를 위해 통일 지향 문학의 성격을 보여주었다. 산사나이나 바람신의 아들 사부로, 그리고 권정생 동화의 늑대 할머니, 밥데기 죽데기, 팔푼돌이네 삼형제는 민담의 캐릭터를 변형한 것이며 순박하고 착해서 바보 같은 이미지를 지닌 인물들이다. 이들은 비록 집단에서는 소외된 자들이지만 힘을 형성하고 있는 집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경계인들이다. 또, 『바람의 마타사부로』의 ‘마타사부로’와 『팔푼돌이네 삼형제』의 ‘팔푼돌이 삼형제’ 톳재비 캐릭터는 각각 일본의 동북지방과 한국의 안동 지방의 민간전승이 다양성과 차이성을 지니면서 긍정적으로 재창조되는 측면을 보여준다. 인물의 재창조는 환상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두 작가의 환상은 공상적이거나 허무한 현실의 확인이 아니라 현실을 비추어내는 거울과 같은 역할을 담당하면서 현실의 문제점을 꼬집어 내고 보다 더 나은 세상으로 독자를 이끌어 낸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In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character reinvention and fantasy of the fairy tales which was written for the folktale by Miyajawa Kenji and Kwon Jeong-saeng. We searched Miyajawa Kenji's tale stories such as A Moumtain Man and Matasrbro. We also searched Kwon Jeong-saeng's tale stories such as Babdegyi gukdegyi and Palpundol's Three Brother. These tale stories are based on the folk lore. These two writers highlighted tale story's fantasy by characterizing the main character and recreated main character of folklore by showing their dynamic images. These characters such as Saburo who has unusual appearance, Babdegyi Gukdegyi, Palpundol's Three Brother’ and grandma wolf of Kwon Jeong-saeng tale story are modified characters of folk tale and they are characters who has a image of naiveness and idiot. Although they are minorities in the group, they have strong image of border rider who influences on the group. The ghost characters such as Matasaburo of Matasrbro and Palpundori of Palpundol's Three Brothers properly described diversity and difference of folklure of the northeastern district in Japan and Andong district in Korea. And these characters also well expressed the periodical agenda.

      • KCI등재

        고전설화의 수용과 변용

        강소영(Kang Soyoung),심종숙(Shim Jongsook) 인문콘텐츠학회 2017 인문콘텐츠 Vol.0 No.45

        이 글은 아쿠타가와 류우노스케의 단편소설 「라쇼몽」을, 고전설화집인 『곤쟈쿠모노가타리슈』의「라쇼몽 윗층에 올라가서 죽은 이를 본 도둑의 이야기」와 관련하여 원전의 수용과 변용의 입장에서 상호텍스트성을 논하였다. 구승된 이야기임를 암시하는 가타리베가 아쿠타가와의 소설에서는 나레이터가 그 역할을 하고 있으나 거기에는 어디까지나 작가를 배제 하고 구승의 가타리베와는 달리 나레이터의 영향력이 이 작품의 전반에 작동하고 있다. 원전 설화가 도둑의 이야기라면 소설은 근대인의 불안의식을 주인으로부터 해고된 하인의 심리에 투영하여 점차로 도둑이 되어 인간성을 상실하고 반윤리적 반도덕적으로 전락해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었다.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이 처음 영화를 제작하기로 마음먹었을 때는 단편소설 ‘덤불 속’ 하나만을 각색한 시나리오였으나 영화로 제작하기에는 매우 짧은 분량이었기 때문에 또 다른 단편 ‘라쇼몽’을 엮어 하나로 구성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이 감독의 영화 <라쇼몽>은 동 작가의 원작「덤불 속」을 뼈대로 하여 전후의 암울함을 재현하면서도 나뭇꾼이 버려진 아이를 스님으로부터 넘겨받는 엔딩 장면에서 전후의 폐허와 암울한 현실이 무너져가는 라쇼몽으로 상징되면서도 원작이나 소설에서의 인간성 상실이 희미하지만 인간성 회복으로 변용 주체인 구로사와 감독은 의도하고 있다고 사려된다. 그러면서도 영화 속에서 진실을 규명하려는 켐비이시(오늘날 경찰과 같은 역할)와 각자 자기 주장을 하는 배역들을 통해 말만이 무성하고 진실은 밝혀지지 않은 채 혼돈에 빠지는 것은 패전으로 황무지로 변한 일본 사회의 절망과 공허함을 암시하기도 하면서 진술하는 가타리베의 공허한 울림과 겹쳐지고 있다고 하겠다. This article discussed intertextuality in Akutakawa Ryunoske’s short story, 「Rashomon」 from the perspective of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work in relation to 「the story of a thief who went upstairs of Rashomon and saw a dead person」 of 『the Konjaku Monogatari Shu』 which is a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Regarding Kataribe implying a story that has been handed down, a narrator plays its role in the novel of Akutagawa, bu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writer and unlike Kataribe that has been handed down, narrator’s influence goes all the way in the overall work. While the story of the original work is about a thief, the novel describes the process of gradually becoming a thief, losing humanity and falling into anti-ethical and anti-moral by projecting the anxiety of modern people into the spirit of the servant who is fried from the owner. However, while the movie, <Rashomon> directed by Kurosawa Akira is based on the original work, 「In a Grove」 and reproduces the post-war’s darkness and the ruins and dark reality of the post-war are symbolized by the collapsing Rashomon, it was thought from the ending scene where the woodcutter received the abandoned child from the monk that director Kurosawa intended it as dim but recovering humanity from the loss of humanity in the original work or novel. And, through the role of Kembishi(the same role as the police today) and self-assertive individuals, going into chaos while words are going around but the truth has never been revealed may imply despair and emptiness of the Japanese society that turned into a wilderness and it may overlap with the empty sound from Kataribe’s speaking.

      • SCOPUSKCI등재

        조기위암을 동반한 원발성 십이지장 구부선암 1예

        김승호,유병철,박인원,박용욱,종숙,박실무,이호,상준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1989 Clinical Endoscopy Vol.9 No.1

        The occurence of multiple primary malignant tumor is cansidered infrequent and the primary adenocarcinoma of the duodenal bulb is a rare conditian. The autopsy incidence of duodenal adenocarcinoma is between 0.019 and 0.5%. The first documented case of duodenal carcinoma was described by Hamburger in 1746. Increased awareness of the condition, improvement in diagnostic technics and a more aggressive surgical approach have changed this disease from a postmortem curiosity to a condition that can be treated with satisfactory results. There are several reports on the high incidence of second additinoal cancer in patients with small intestinal cancer.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primary duodenal bulb adenocarcinoma with early gastric cancer in a 68 year old male patient with complaints of epigastric pain, diarrhea and body weight loss. So we report the case of primary duodenal bulb adenocarcinoma combined with early gastric cancer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