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FRP 쉬트의 부분적 박락이 RC 보의 내하력에 미치는 영향

        심원보,홍기남,연영모,정규산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2020 복합신소재구조학회논문집 Vol.11 No.2

        본 논문은 CFRP 쉬트로 휨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보강재의 탈락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적 그리고 해석적 연구결과를 보고한다. 실험적 연구로 CFRP 시트의 비부착 수준 및 위치를 실험변수로 고려한 실험체들에 대한 휨파괴 실험이 수행되었다. 중앙부에 비부착구간을 갖는 실험체의 경우 비부착구간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최대하중 및 강성의 변화는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단부에 비부착 구간을 갖는 실험체의 경우 비부착 구간이 증가할수록 최대하중 및 강성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것은 보강재의 작은 보강길이로 인한 정착력의 부족으로 인해 철근의 항복 이후 보강재가 조기 박리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와 기존 제안된 부착강도 모델을 이용한 예측 결과의 비교를 통해 기존 부착강도 모델들은 단부 비부착 실험체들보다 중앙 비부착 실험체들의 내하력을 더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reports the experimental and analytical resul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 sheet delamination on the load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CFRP sheets in flexure. As an experimental study, flexural failure tests were performed on specimens by considering the unbonded level and position of the CFRP sheet as experimental variables. For specimens with an unbonded section in the center, the maximum load and the stiffness did not decrease despite the increase in the unbonded section. However, for specimens with the unbonded section at the end, the maximum load and stiffnes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unbonded section increased. This could be because of the premature peeling of the CFRP sheet after the yielding of the rebar because of the lack of anchorage due to the small bond length of the CFRP sheet. The comparison betwe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prediction results using the existing proposed bond strength model showed that the existing bond strength models predicted the load capacity of the center unbonded specimens more accurately than the end unbonded specimens.

      • KCI등재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GAP모델 확립을 위한 사과 재배단계의 화학적, 생물학적 위해평가

        심원보,김경열,김정숙,윤요한,김장억,심상인,김윤식,정덕화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1

        본 연구에서는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사과 GAP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경남에 소재한 GAP 미인증 사과농장 3곳을 선정하여 재배단계에서 화학적(중금속), 생물학적 위해요소(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곰팡이)를 분석하였다. 화학적 위해요소인 중금속은 재배환경 중 토양에서만 국내 허용치 이하 수준으로 Cu, Pb, Zn 및 Ni이 검출되었다.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경우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은 재배환경에서 각각 0.8~6.1과 0.0~5.0 log CFU/g(or mL), 사과와 잎에서 0.4~3.6과 0.0~3.5 log CFU/g(or leaf), 개인위생에서 3.2~5.3과 0.4~2.7 log CFU/hand(or 100 cm2)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대장균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병원성 미생물은 S. aureus가 작업자의 손에서 최대 4.4 log CFU/hand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B. cereus는 사과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0.0~5.2 log CFU/g(or leaf, mL, hand or 100 cm2)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및 Salmonella spp.는 검출되지 않았다. 곰팡이는 모든 시료에서 0.0~4.9 log CFU/ g(or leaf, mL, hand or 100 cm2)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안전한 사과를 생산하기 위한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사과 GAP 모델 개발에 있어 재배환경 및 재배단계에서의 위해요소를 파악하고 분석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ssessed chemical(heavy metals) and biological(sanitary indications, foodborne pathogens and fungi) hazards at the growing stage of apple farms uncertified GAP for the establishment of GAP in the production of apple. A total of 96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 apple farms located in Gyeongnam and tested for the analysis of hazards. Heavy metals were detected in soil, but their levels were lower than Korean regulation. For biological hazards, APC and coliform were detected at the level of 0.8~6.1 and 0.0~5.0 log CFU/g(or mL) i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respectively. Also, they were detected at the level of 0.4~3.6 and 0.0~3.5 log CFU/g(or leaf) in the crops and 3.2~5.3 at 0.4~2.7 log CFU/hand(or 100 cm2) on the workers, respectively. But Escherichia coli was not founded in any samples. In case of major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was 4.4 log CFU/hand on the workers' hand and Bacillus cereus was detected at the level of 0.0~5.2 log CFU/g(or leaf, mL, hand or 100 cm2) in all the samples except the apples.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O157:H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The level of fungi were 0.0~4.9 log CFU/ g(or leaf, mL, hand or 100 cm2) in all the samples.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as basic data to understand and analyze chemical and biological hazards on the development of GAP model to produce a safe apple.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춘계학술심포지엄 : 곰팡이독소에 대한 최신 분석법 동향

        심원보 대한보건협회 2013 대한보건협회 보건종합학술대회 Vol.2013 No.-

        EU, 미국, 일본 등을 포함한 200개국에 가까운 나라에서 다양한 곰팡이독소를 관리하고 있고, 식품 및 농산물에서 다양한 곰팡이독소의 오염이 보고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곰팡이독소 분석법 개발 분야에서 신속, 동시, 현장검출이 가능한 분석법의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다. 과거 TLC, HPLC, GC, 그리고 LC-MS법 등의 기기분석을 이용하여 단일곰팡이독소분석법의 개발이 활발했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다종의 곰팡이독소 분석이 가능한 기기분석법의 개발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수의 시료의 분석에 있어 많은 시간이 요구, 훈련된 분석자와 고가의 기기 필요, 많은 량의 유기용매 사용으로 인한 실험자의 안전부재, 현장분석의 어려움 등은 해결해야할 문제점들이다. 효소면역분석법(ELISA)법이 기기분석법을 대체할 수 있는 분석법으로 부각되고 aflatoxin과 ochratoxin 효소면역분석법이 AOAC에 등재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까지도 다양한 항체와 면역분석법이 곰팡이독소 분석을 위해 개발되고 있으나 여전히 1종의 곰팡이독소만을 분석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2000년 이후부터 바이오센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현장에서 신속하게 다종의 유해물질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의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바이오센서로는 immunochromatography법을 이용한 strip 타입센서이다. 이 분석법은 고도로 훈련된 실험자가 아니더라도 10-15분 이내에 분석이 가능하며, 현장에서도 분석이 가능한 방법으로 현재 Neogen을 비롯한 다양한 검출 kit 판매업체에서 개발되어 분석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면역분석법에서 사용되는 항체 및 항원에 대한 보관 중 안정성 문제제기와 새로운 진단시약의 후보로 압타머(aptamer)가 소개되면서 면역분석법을 대체할 수 있는 aptamer assay 또는 aptasensor의 개발이 2005년 이후부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압타머는 1990년대 Szostak과 Ellington에 의해 발견된 단일가닥 DNA 또는 RNA로 항체와 같이 특정 target과 친화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항체를 대체할 수 있는 진단시약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까지 ochratoxin A, aflatoxin B1, zearalenone, fumonisin B1, ergot 등의 곰팡이독소에 대한 압타머가 보고되어 바이오센서 개발에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최근 소개된 곰팡이독소 압타머와 이를 활용한 다양한 aptasensor와 바이오센서에 관한 연구 동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복숭아 GAP모델 개발을 위한 재배단계별 미생물 오염도 조사

        심원보,김정숙,김경열,윤종철,정덕화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icrobiological safety of peach farms, a total of 240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 peach farms located in Yeongdong, Chungbuk provinces. Aerobic plate bacteria(APC) and coliform were detected at the level of 1.0~7.4 and 0.0~5.4 log CFU/g(or mL, leaf, hand, 100 cm2), respectively. Five(2 agricultural water, l leaf, 1 cloth and 1 glove) of 240 samples collected were revealed to be Escherichia coli positives. In case of major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was detected 0.3~0.9 log CFU/hand(or 100 cm2) on the workers’ hands and gloves. Bacillus cereus was maximum detected level of 6.4 log CFU/g in soil. However,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O157:H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Fungi were detected at the levels of 0.0~5.1 log CFU/g(or mL, leaf, hand, 100 cm2) in all the samples.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복숭아 GAP 모델 개발에 필요한 미생물 위해분석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충북 영동에 소재한 3곳의 복숭아 농장을 대상으로 재배단계별로 총 240점의 시료를 수집하여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은 모든 시료에서 1.0~7.4 및 0.0~5.4 log CFU/g(or mL, leaf, hand, 100 cm2)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대장균은 240점의 시료 중 농업용수 2점, 복숭아 잎 1점, 작업복 1점, 장갑 1점 등 총 5점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은 S. aureus는 작업자 개인위생에서만 0.9 log CFU/hand(or 100 cm2) 이하로 검출되었고, B. cereus는 토양에서 최대 6.4 log CFU/g까지 검출되었으며,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및 Salmonella spp.는 검출되지 않았다. 곰팡이는 모든 시료에서 0.0~5.1 log CFU/g(or mL, leaf, hand, 100 cm2) 범위로 검출되었다.

      • SCOPUSKCI등재

        한국흑염소에 있어서의 Neomycin Sulfate에 의한 신증유발에 관하여

        심원보,최희인,Shim Won-Bo,Choi Hee-in 한국임상수의학회 1989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6 No.2

        In order to study the effects of neomycin sulfate on the kidney of Korean black goats after dosing at 36mg/kg(A group) or 18mg/kg of body weight (B group) twice a day, serum chemical values(BUN, SCr), urinary enzyme(GGT) excretion and urinary analysis were checked and renal lesions were observed by light microscope. The proteinuria and granular casts were observed on the 5-6th day and 7th day of treatment with neomycin respectively in the A group. While these changes were observed on the 4th day and the 6th day respectively in one goat of the B group. Urinary GGT excretion began to increase from the 9th day and reached to maximum concentration on the 15th day of treatment with neomycin in the A group. Thereafter, GGT excretion began to decrease and reach to normal level on the 21th day. But GGT excretion increased on the 9th day in only one goat of the B group. Concentrations of BUN and SCr increased on the 12th day in the A group and in one goat of B group. The kidneys were swollen gross pathologically and the renal tubular epithelial cell changes were noticed histologically in the A group and in one goat of the B group. These changes were included degeneration with hyaline droplet formation, flattened epithelial cells and necrotic epithelium. Granular casts were showed in many tubular lumens. Prfesent results indicated that nephrotoxicosis would not occured in Korean black goats dosing with neomycin sulfate less that 36mg/kg of body weight a day.

      • KCI등재

        서부경남 재래시장을 대상으로한 유전자 재조합 대두의 모니터링

        심원보,남백상,최주미,정순천,정덕화,Shim Won-Bo,Nam Baek-Sang,Choe Ju-Mi,Jeong Soon-Chun,Chung Duck-Hwa 한국환경보건학회 2006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2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monitoring of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by PCR and ELISA. We collected 60 soybean samples from the open markets located in Western Gyeongnam (Sacheon, Hamyang, Hadong, Sanchung, Uiryung, Geochang, and Hapcheon). A total of 60 soybeans was examined and 14 genetical modified soybean (GMS) were detected by PCR. The GMS rate of selling soybean in Uiryung, Hadong, Sacheon, and Hapcheon was 50.0%, 37.5%, 33.3% and 25%, respectively. The 7 of 14 GMSs were positive by ELISA and most of positive samples were below 3% GMS but 1 (Uiryung 1) of the positive samples was over the 3% which is maximum permit limit in Korea. These results mean that merchants of open market did not express for selling soybean mixed with GMS, so consumers did not recognize GMO. Therefore, we thought that education of GMO for merchant of open market need to recognize about GMO maximum permit limit.

      • KCI등재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Immunoglobulin yolk (IgY)의 생산과 특이성

        심원보,김혜정,박선자,강동훈,강진순,정덕화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3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면역 글로블린 Y(IgY)플 생산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Vibrio parahaemolyticus는 중요한 병원성 균이며. 위장염을 유발시키는 원인 균이다. 따라서, 난황에서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체를 생산하기 위하여 항원 LPS(lipopolysaccharide)를 암탉에 주사하였다. 면역은 2주 간격으로 4차까지 실시하였으며, 추가면역으로 2주 간격으로 3차 까지 긴시한 후 ELISA로 그 항체 역가를 측정하였다. 난황에서의 항체생성은 1차 면역 후 1주일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7주에 최고 역가에 도달하였고, 이러한 역가는 13주 이후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혈청에서의 항체 역가노 난황에서의 경향과 유사하였다. 정제시킨 IgY를 본 연구의 water-dilution 방법과 상업용 IgY분리 kit로 그 정제 정도를 비교해본 결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Vibrio parahaemolyticus외의 다른 Vibrio 속 및 세균들과의 교차반응성 조사에서 특별한 교차반응이 없었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로, 아주 적은 양의 LPS 항원으로 역가가 높은 항체의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들을 보아 난황은 유행성 위장염을 유발하는 병원성 균의 특이 항체 개발을 위한 좋은 공급원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the egg yolk immunoglobulin (IgY) on Vibrio parahaemolyticus from immunized hen with lipopolysaccharide (LPS). Ebrio parahaemolyticus is considered as a potentially pathogenic bacteria, the causative agents of the gastroenteritis. According as the LPS antigens were injected into laying hens in order to produce antibodies against Mbrio parahaemolyticus in egg yolk. After chickens were immunized four times in 2 weeks interval and three times booster in 2 weeks interval, the profile of antibody production was examined by ELISA. The production of antibody in egg yolk was started in 1 week after the first immunization, reached peak in 7 weeks and maintained until 13 weeks later. The antibody titre in serum showed similar tendency as Ig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tibody titre when the titre compared to water diluted IgY and commercial IgY kit. Purified IgY reacted with only Vibrio parahaemolyticus, but other Mbrio species and food-bome pathogenic bacteria. In conclusion, we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 antibody titre in chicken with quite low amounts of LPS antige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gg yolk antibodies could be a good source for production of specific antibodies to pathogenic bacteria inducing epidemic gastroenterit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