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빌립보서 4장 8절의 번역

        심우진 서울장신대학교 출판부 2019 서울長神論壇 Vol.27 No.-

        헬라어 원문 신약성경을 번역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우선 헬라어 원문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있어야 하고, 이것을 우리말로 번역할 때는 우리말 문법에 부합하면서 이해가 잘 될 수 있도록 번역문이 구성되어야 한다. 그런데 성서학이 발전할수록 성경에서 등장하는 개념 하나, 헬라어 단어 하나에 대한 이해가 얼마나 어렵고 깊이 있는 탐구가 필요한지 새삼 깨닫게 해주고 있다. 한때는 성경번역에 있어서 내용전달이냐, 원문충실도냐의 선택적인 문제를 중요하게 다룬 시기가 있었다. 이러한 성경번역의 원칙적인 문제가 여전히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은 당연하지만, 이와 병행해서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의 수준이 좀 더 기본적인 차원에서 연구되고 보강되어야 한다는 주장도 꾸준히 제기되어왔다. 이러한 주장과 함께 여러 연구들이 제시되었는데, 이런 연구들이 축적되면서 내용전달이냐, 원문충실도냐의 선택적인 차원이 보다 높은 수준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고, 더욱 다양한 주제들이 연구되어 학계에 제시되기를 기대하게 되었다.

      • KCI등재

        Use of Discourse Markers on the English Speaking Tests: Focusing on the Deixis and Cohesive Devices

        심우진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14 현대영어영문학 Vol.58 No.3

        This study has sampled fiftee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of various English speaking abilities, and has found patterns of discourse markers by selecting and implementing mock tests. According to Hatch's (1992) 5 deixis and 6 cohesive devices, the patterns of discourse markers were analyzed. Person deixis was used most frequently. Three kinds of mock tests assignments were set to introduce oneself, so the first person deixis was the most often used deixis. The least frequent deixis used was the discourse deixis. Since participants uttered the similar responses by repeating the same deixis and cohesive devices plainly, the use of discourse deixis was not various. The most used cohesive devices were conjunctions. Most questions were developed as one or more utterances, so the participants have intentionally and unintentionally used conjunctions for each sentence. The cohesive devices that were least or never used was the substitution, and only one ellipsis was used. Due to the participants' way of limited responding, deixis and cohesive devices were not used diverse.

      • KCI등재

        가이사의 친구와 예수의 친구

        심우진 한국신약학회 2009 신약논단 Vol.16 No.1

        Im Johannesevangelium kommt ein einziger Begriff vor, nämlich Freund des Kaisers. Freund des Kaisers war in der antiken Welt ein hoheitstitel, der nur nahen Anhängern des Kaisers verliehen wurde. Pilatus musste Jesus zur Hinrichtung übergeben, sobald er den Titel hörte, obwohl er ihn freilassen wollte. Der historische Hintergrund dieses Titels entspricht dem Johannesevangelium. Sicher spielt der Titel im Evangelium eine Rolle. Andererseits, man findet auch ein ähnlicher Begriff im Evangelium, nämlich Freund Jesu. Jesus nennt die Jünger nicht mehr Sklave, sondern Freund. Im Evangelium wird sowohl die Jünger als auch Johannes der Täufer und Lazarus als Freund Jesu gennant. Sie spielen eine unübersehbare Rolle im Evangelium. Diese Arbeit will untersuchen, wie Freund des Kaisers und Freund Jesu im Evangelium vorgestellt werden. Ist Freund Jesu ein zugeschlossener Begriff, der nur grossen Gestalten verliehen wird? Wenn er ein offener Begriff ist, wer kann Freund Jesu werden? Ausserdem will diese Arbeit die neue Beziehung zwischen Jesus und den Jüngern als Freund Jesu untersuchen. 요한복음서에는 가이사의 친구라는 독특한 용어가 등장한다. 이 용어는 빌라도로 하여금 예수를 석방하고자 했던 태도를 급격히 바꾸어서 예수를 처형하도록 순순히 넘겨준다. 가이사의 친구라는 용어는 고대사회에서 황제의 측근에게만 수여되었던 칭호였다. 이 칭호가 갖고 있는 역사적 배경은 요한복음서의 내용과 부합하고 있다. 또한 요한복음서에는 가이사의 친구와 대조를 이루는 개념이 등장하는데, 예수의 친구가 그것이다. 예수는 제자들을 더 이상 종이라고 하지 않고 친구라고 하겠다고 선언한다. 그런데 요한복음서에는 제자들 외에도 세례 요한과 나사로도 예수의 친구로 지칭된다. 이들은 모두 요한복음서에서 극히 긍정적인 인물로 등장할 뿐만 아니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요한복음서에서 예수의 친구로 지칭되는 인물들은 모두 초대교회에서 큰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던 인물들로 제한된다. 본 소론에서는 이처럼 서로 대조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는 가이사의 친구와 예수의 친구가 요한복음서에서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가를 연구한다. 또한 예수의 친구라는 개념이 가이사의 친구처럼 닫힌 개념인가, 아니면 열린 개념인가를 살펴본다. 만일 예수의 친구가 열린 개념이라면 어떤 조건을 통해서 예수의 친구가 될 수 있는지 요한복음서를 통해서 추적하고자 한다. 그리고 제자들이 종에서 예수의 친구로 격상되었다면, 이러한 격상 이후 예수와 맺게 되는 관계는 어떤 관계인지를 살펴본다.

      • KCI등재
      • KCI등재

        과거 경로 연구를 위한 최소 비용 경로 방법과 확률론적 접근법의 활용성 평가: 조선 시대 10대로 중 봉화로와의 비교를 사례로

        심우진 국토지리학회 2022 국토지리학회지 Vol.56 No.4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fference, applicability, and utilization of each method according to spatial characteristics through comparison with the Bonghwa-ro of Joseon Dynasty Main Roads using basic least cost path(LCP) and Probabilistic LCP. This study employs the most fundamental and recent methods of least cost path research to determine the accuracy of each method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results through comparison with the Bonghwa-ro of Joseon Dynasty Main Roads, and it is possible to restore the past path through this method. This research would like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and efficiency in areas where it is difficult to retrace previous historical paths. According to the algorithm that accounts for the shortest distance and the travel cost determined by the topography, the path estimated through the least-cost path study clearly showed a distinction in accuracy between the area with a wide flat landforms and the area with a predominance of steep slopes. The probabilistic LCP has little natural cost difference, thus its applicability is better where a particular preference or stopover has a greater impact on the route.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shown that in areas where the path is constrained by physical restraint, even the most basic least-cost path method can yield a result with a sufficient level of accuracy. When researching the historical route, both the methods based on the restoration and identific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which has mostly been used in geography up to now, and the least-cost path method, which has been applied seldom, both offers certain advantages and limitations when researching the historical route. Howeve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two methods will allow a larger range of research than the earlier studies, though each limitation is correlated to the strengths of the other. 이 연구는 최소 비용 경로 연구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과 가장 최근의 방법을 활용하여 조선 시대 10대로 중 봉화로와의 비교를 통해 공간적 특징에 따른 각 방법의 차이와 그 적용성 및 활용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비교 결과, 최소 비용 경로 연구를 통해 추정된 경로는 지형에 의해 결정되는 통행 비용과 최단 거리를 고려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평탄한 지형이 넓게 펼쳐진 지역과 급경사가 우세한 지역에서의 정확도 차이가 명확히 나타났다. 이는 지형의 공간적 분포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 선택의 폭에 기인한다. 보다 구체적인 파악을 위해 확률론적 접근법을 통해 살펴본 결과, 확률론적 접근법은 자연적인 비용 차이가 거의 없어 개인의 선호나 특정 경유지가 경로에 더 크게 작용하는 지역에서 그 적용성이 더 높은 반면, 물리적인 제약에 의해 경로가 제한되는 지역에서는 기본적인 최소 비용 경로 방법으로도 충분히 높은 정확도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경로를 연구할 때 지금까지 지리학에서 주로 활용한 사료의 복원과 확인을 통한 방법과 이에 반해 거의 활용되지 않았던 최소 비용 연구 방법은 뚜렷한 장단점이 존재하지만, 각각의 한계점은 서로의 장점으로 연결되므로 두 방법의 조화로운 활용은 지금까지의 연구보다 더 폭넓은 연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 KCI등재

        헬라어냐 그리스어냐

        심우진 한국신약학회 2023 신약논단 Vol.30 No.2

        신약성경의 언어에 대한 명칭은 ‘헬라어’에서 ‘그리스어’로 바뀌고 있다. 대한성서공회에서 출간되는 우리말성경에서 헬라어라는 표기가 그리스어라는 표기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경에는 헬라어라는 표기가 부적절한 용어이므로 퇴출시켜야 한다는 학자들의 주장이 뒷받침하고 있다. 헬라라는 용어는 헬레니즘시대로부터 비롯된 것으로서, 그 이전 시대를 표현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서양고대사에서 통용되고 있는 그리스라는 용어로 통일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이에 대한 반론으로서 헬라라는 용어가 오히려 보다 적합한 용어임을 논증한다. 첫째, 헬라라는 용어는 헬레니즘시대로부터 비롯된 용어가 아니라, 그 이전부터 헬라스인들을 지칭하는 독보적인 표현이었다. 이것은 헬레니즘시대에도 지속되었는데, 신약성경에서 ‘헬라-’로 발음되는 단어들은 등장하지만, ‘그리스’로 발음되는 단어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 것이 그 예다. 둘째, 로마인들은 헬라스인들을 “그라이쿠스”(Græcus)로, 그리고 그들의 세계를 “그라이키아”(Græcia)로 불렀다. ‘헬라-’는 헬라어이고, ‘그리스’는 라틴어인 것이다. 훗날 로마 제국이 융성하여 지중해 세계를 제패한 후에는 라틴어인 그라이쿠스가 헬라스어인 ‘헬라-’를 대체하게 되었고, 이것이 오늘날까지 서양세계에서 ‘그리스’로 발음하는 기원이 되었다. 결국, 신약성경의 언어를 헬라어라고 표현할 것인지, 아니면 그리스어라고 표현할 것인지의 문제는 이 언어를 헬라스인의 언어, 즉 헬라어로 표현할 것이냐, 아니면 로마인의 언어, 즉 라틴어로 표현할 것이냐의 선택으로 귀결된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많은 것을 고려해서 판단해야 하지만, 현지의 발음을 중요시하는 추세와 한국교회의 전통을 고려할 때 헬라어라고 표기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 時間領域에서의 線形 粘彈性問題 解析을 위한 有限要素解法의 公式化 Ⅰ

        심우진 金烏工科大學校 1991 論文集 Vol.12 No.-

        A general finite element formulation in integral type is presented for the time domain analysis of isotropic, linear viscoelastic problems. The semi-discrete variational approximation and elastic-viscoelastic correspondence principle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present method. In the solution procedure of the final, linear algebraic system equations, only the repeated computations for the past history are required since the stiffness matrix is constant for a constant time increment. The stress computation algorithm in matrix form is given with detail explanations.

      • KCI우수등재

        카테나 개념을 이용한 사면유형화 방법의 개발과 평가

        심우진,박수진 대한지리학회 2020 대한지리학회지 Vol.55 No.3

        In this study, using the concept of Catena, which is the defin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and relief, we developed the classification method UcaP (Upslope Contribution Area Priority Decision Tree) and compared it with three existing methods (PrcP: Profile Curvature Priority Decision Tree; SlgP: Slope Gradient Priority Decision Tree; ReeP: Relative Elevation Priority Decision Tree) to examine its applicability to the Korea Peninsul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four different methods targeting mid-sized basin units classified the same hillslope differently. The difference of distribution of the Summit, Backslope and Toeslope was noticeable in the upstream basin,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between Shoulder and Footslope distributions was large in the downstream basin. Second, since the ‘mountain top’ area of Forest Soil Digital Mapping is considered as a summit and shoulder in the Catena hillslope position, in these criteria, the Ucap results were the highest in comparison to summit and shoulder ratios within the ‘mountain top’ area. However, when we looked at the ratio of the corresponding hillslope to the entire Korean Peninsula, the ReeP method demonstrated the highest accuracy of the calculation classification. Third, the comparison with the channel network map of the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was carried out with at the toeslope, which is formed along the river side. Although the SlgP method demonstrated the highest ratio of toeslope in the area of the channel network, the UcaP results showed the highest accuracy when considering the proportion of relevant hillslope for the entire Korean Peninsula. Fourth, a comparison with the soil erosion model results to explore how best to reflect the internal process of the landform among the four methods, showed that the UcaP method best reflects the flow of water and materials. Because it is a simplified method of identify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it will be more significant to the recent trend of requiring simple and fast information. However, rather than simply applying the existing methods,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problems and differences of the various methods and finding a better one must be preceded. 이 연구는 토양과 지형의 관계에 대한 정의인 카테나 개념을 이용하여 사면유역지수를 중심으로 한 사면유형화 방법(UcaP, Upslope Contributing Area Priority Decision Tree)을 개발하고, 이를 기존의 방법인 단면곡면률 우선 분류방법(PrcP, Profile Curvature Priority Decision Tree), 경사도 우선 분류방법(SlgP, Slope Gradient Priority Decision Tree), 상대 고도 우선 분류방법(ReeP, Relative Elevation Priority Decision Tree) 등의 세 가지 방법들과 비교・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반도의 중권역 경계를 대상으로 한 네 가지 사면유형화 결과는 같은 사면을 서로 다르게 분류한다. 이를 대하천 상・하류 유역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상류 유역에서는 Summit과 Backslope, Toeslope 사면의 분포 차이가, 하류 유역에서는 Shoulder와 Footslope 사면 분포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산림입지토양도의 ‘산정’영역은 사면의 유형 중 Summit과 Shoulder에 해당하므로 이를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산정영역 내의 Summit과 Shoulder비율 비교에서 UcaP 결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한반도 전체 해당 사면 비율을 같이 살펴볼 때, ReeP방법이 가장 산정 분류의 정확도가 높았다. 셋째, 수자원조사의 하천망도와의 비교는 하천변에 형성되는 사면인 Toeslope과 비교를 진행하였다. SlgP 방법이 하천망도 영역 내 Toeslope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한반도 전체의 해당 사면 비율을 함께 고려하면 UcaP 결과가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넷째, 네 가지 방법 중 지형의 내부 프로세스를 가장 잘 반영하는 방법을 탐색하기 위해 토양침식모형 결과와 비교한 결과, UcaP 방법이 물과 물질의 흐름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면을 유형화하는 것은 환경정보를 단순화하여 파악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간편하고 빠른 정보를 요구하는 최근 흐름에 더욱더 유의미할 것이다. 그러나 기존 방법을 단순히 적용하기 보다는 여러 방법들의 문제점과 차이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더 나은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