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arrageenan 을 이용한 포도 젤리와 몰드 샐러드 제조에 관한 연구

        심영자,전희정,백재은,주나미 한국조리과학회 1996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2 No.3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n sensory characteristics and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Grape jelly in various volume of adding carrageenan. The pH of Grape extract was 3.98. The viscosity was increased and the turbidity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concentration Grape jelly. The sensory evaluation of Grape jelly was the best with the ratio 0.5% carrageenan. The sensory evaluation of Grape jelly mold salad showed that the most preferable jelly was the one made by 0.9% carrageenan and 40% fruits(apple, orange and sweet persimmons).

      • Caffeine과 Nicotine이 미각역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심영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원우회 1990 원우논총 Vol.8 No.-

        A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ffeine and Nicotine on the taste threshold values for 70 Korean femail college students of 19 to 23 age using the Electrogustometer. 1) The mean threshold values of dorsal surface of tongue before treatments were for 4.44㎂ sweet taste area, 4.64㎂ salty taste area, 4.88㎂ sour taste area, 5.70㎂ bitter taste area and 11.87㎂ middle area respectively. 2) The sensitivity of each area of dorsal surface of tongue after treatment with 0.228% Caffeine was reduced: 5.15㎂ sweet taste area, 5.33㎂ salty taste area, 7.16㎂ sour taste area, 10.67㎂ bitter taste area, and 14.7㎂ middle area(p〈0.05). 3) The sensitivity of each area of dorsal surface of tongue after treatment with 0.128% Nicotine was much reduced: 7.43㎂ sweet taste area, 13.16㎂ salty taste area, 19.84㎂ sour taste area, 30.21㎂ bitter taste area, and 63.27㎂ middle area. 4) The reduced rate of threshold value by Nicotine was 2 to 6 time higher than that of threshold value by Caffeine.

      • KCI등재

        Carrageenan 과 Pectin 을 첨가한 오미자 젤리에 관한 연구

        심영자,전희정,백재은,주나미 한국조리과학회 199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1 No.4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n sensory characteristcs and physiochemical propertics of Omija jelly in various volume of adding carrageenan and pectin. The viscosity and the turbidity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concentration Omija jelly with pectin. The sensory evaluation of Omija jelly was the best with the ratio 0.5% carrageenan.

      • KCI등재

        쑥 첨가량에 따른 쑥설기와 쑥절편의 아미노산과 아밀로스 함량

        심영자 한국식품영양학회 199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7 No.2

        쑥은 옛부터 민간요법 및 한약제의 원료와 구황식품으로 사용해 온 야생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쑥의 유용식물 자원으로서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쑥첨가량을 0, 10, 20, 30, 40%로 하여 쑥설기와 쑥절편을 제조하여 아밀로스 함량을 정량하였고 가장 선호도가 높은 30% 쑥설기와 쑥절편의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30% 쑥설기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5.90㎎%로 백설기보다 약 4배 이상 많은 함량이었고, 30%쑥절편의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39.58㎎%로 백절편보다 약 11배 이상 많은 함량으로 아미노산 보강효과가 크다고 사료된다. 쑥첨가량에 따라 쑥설기와 쑥절편의 노화를 일으키는 아밀로스가 대조구에 비해 쑥설기는 7.58∼13.35%, 쑥절편은 0.82∼8.34%정도로 감소하였다. Ssooksulgies and Ssookjulpyuns made with different levels of mugworts were attempted to analyze the ingredients of amino acids and amylose. The contents of total free amino acids of 30% Ssooksulgi was 25.9㎎% which was four times as much as that of 0% Ssooksulgi and the ones of total free amino acids of 30% Ssookjulpyun was 39.58㎎% which was eleven times as much as that of 0% Ssookjulpyun. The more mugworts were added, the less amylose were contained.

      • KCI등재

        한국의례음식과 상차림에 관한 인식과 실행 : 재미 한인 주부를 중심으로

        심영자,전희정,김정선 한국조리과학회 1999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뉴욕 뉴저지 주에 살고 있는 재미한인 주부들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 나라 의례음식과 상차림에 대한 의식과 실행을 알아보아 미국생활에서의 한국전통음식문화를 얼마만큼 보전 계승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1. 의례음식과 상차림의 중요성은 응답자의 57.9%가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의례음식과 상차림을 알게 된 경위는 49.8% 친정어머니, 24.7%가 시어머니한테 배웠다고 응답하였다. 2. 의례음식과 명절차례상차림에 대한 견해는 응답자의 78%가 간소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의례음식이 계승 발전하기 위하여 중점을 두어야 할 교육은 50.6% 가정교육, 27.3% 대중홍보교육으로 가정교육을 가장 강조하였다. 3. 재미 한인 주부들이 가장 잘 알고 있는 상차림은 생일상차림(66.8%), 돌상차림(43.5%), 백일상차림(42.4%), 설날과 추석의 차례상차림(52.8%)으로 나타났고, 장국상차림(21.0%), 주안상차림(23.6%), 혼례시 폐백상차림(21.4%), 제사상차림(29.2%)으로 나타났으며, 반상차림, 죽상차림, 교자상차림, 회갑상차림은 잘 아는 정도가 17% 미만이었다. 4. 자녀의 돌상차림에 관한 견해는 응답자의 60%가 평소보다 음식을 더 준비하여 가족과 함께 축하해 주었고, 38%는 전통적인 돌잡이 상을 차려 축하하였다. 자녀의 생일상차림은 응답자의 40%는 친구를 집으로 초대하여 생일 잔치해 주고, 37%는 간단하게 집에서 미역국 끓여먹고 선물해 준다고 하였다. 5. 어른들의 생신상차림은 49%가 친척 친지를 초대하여 식사를 대접하여 축하해 드리고, 38%는 집에서 가족끼리 축하해 드린다고 응답했으며, 부모님의 회갑상차림은 41.3%가 친척 친지와 연회장에서 축하해 드리고, 26.6%가 전통적인 큰상차림으로 친척 친지와 함께 가정에서 축하해 드린다하였다. 6. 결혼식의 폐백음식은 50.9%가 폐백을 준비해주는 집에 맡긴다고 하였고, 30.3%는 일부는 집에서 만들고 일부는 맡긴다고 했으며, 14%만이 전통적인 폐백음식을 집에서 준비한다고 하였다. 결혼식 때의 손님접대 음식준비에 관한 견해는 66.4%는 연회장에서 대접한다. 29.9%는 집에서 음식을 준비하고 연회장에서 대접한다고 조사된 것으로 보아 결혼음식 준비방식이 상업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7. 제사상차림에 관한 견해는 40.2%가 전통적인 상차림으로 제사를 지내고 32.5%가 교회 식으로 지내며, 설날과 추석의 차례상차림에 관한 견해는 41.7%는 전통적인 상차림을 하고, 31.7%는 조상 님들이 평소에 좋아하시던 음식을 간단하게 마련하여 지낸다고 했으며, 24.7%는 교회 식으로 지낸다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이들 음식은 집에서 전통적으로 차리는 주부가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재미한인 주부들의 우리 나라 의례음식과 상차림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은 편이나 알고 있으며 행하는 정도는 몇몇 상차림을 제외하고는 많은 상차림에 대하여 낮았음을 볼 수 있었다. 집안의 여러 가지 풍속과 생활습관, 음식솜씨들을 친정어머니와 시어머니를 통하여 물려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다양한 문화와 함께 살고 있는 재미 2세들의 한국 전통음식문화의 계승은 어려움이 많으리라 사료된다. 주부 자신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진정한 이해와 함께 우리 음식의 뿌리를 내리고 외국음식과 조화를 이루어 나가도록 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또한 재미한인 사회에서의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홍보, 교육 강화와 함께 재미교포들 모두 관심과 실행이 촉구되어져야 하겠다. The knowledge on Korean traditional ceremony foods was evaluated from 271 Korean American housewives residing in the New York and New Jersey metropolitan area.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collect information on demographic background of the subject and their knowledge on ceremonial foods and table settings. Over half of the respondents considered table settings for ceremonial foods are important and most of them knew and learned Korean ceremonial foods from either their own mothers or mother-in-laws. About three-quarters responded that traditional table settings need to be simplified and half of them stated that family education is the best way of proceeding knowledge on ceremonial foods. Most of them have knowledge of table settings for a child's birthday, a baby's first birthday, a baby's hundredth day after birth, New Year's and full moon days. However, few respondents were knowledgable about other ceremonial foods. Practically, they are more likely to simplify the table setting for Korean traditional ceremonies, such as child's birthday, 60th birthday, wedding, and memorial d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plan traditional 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immigrants in the U.S. so that they can make informed decisions in building cultural identities in the new environment.

      • KCI등재

        Carrageenan과 Pectin을 첨가한 오미자 젤리에 관한 연구

        심영자,백재은,주나미,전희정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99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1 No.5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n sensory characteristcs and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Omija jelly in various volume of adding carrageenan and pectin. The viscosity and the turbidity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concentration Omija jelly with pectin. The sensory evaluation of Omija jelly was the best with the ratio 0.5% carrageenan.

      • KCI등재

        쑥 첨가량에 따른 쑥설기의 텍스쳐에 관한 연구

        심영자,전희정,백재은 한국조리과학회 1991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7 No.1

        쑥은 옛 부터 민간요법 및 한약제의 원료와 구황식품으로 사용해온 야생식물로써 본 연구에서는 쑥첨가량을 0, 10, 20, 30, 40%로 첨가시켜 쑥설기를 제조하여 관능검사와 기계적 검사를 통한 텍스쳐 특성을 검사 하였으며 가장 선호도가 높은 쑥함량을 알아보았다. 0%, 10%, 20%, 30%, 40%쑥설기의 관능검사 결과 조직의 부드러운 정도, 조직의 쫄깃한 정도, 조직의 촉촉한 정도와 향기는 쑥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색깔과 전반적인 바람직한 정도는 30% 쑥첨 가군이 제일 높게 평가되었다. 쑥설기의 기계적검사의 경우 견고성은 쑥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탄력성과 응집성은 쑥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관능검사의 조직의 부드러운 정도와 촉촉한 정도는 기계적 검사의 응집성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견고성 점착성, 씹힘성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p<0.01). 쑥설기는 저장함에 따라 색깔변화는 거의 없었다. sooksulgis made with different levels of Mugworts were tested to investigate the texture characteristics by sensory evaluation and mechanical test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for Ssooksulgis with the levels of 0%, 10%, 20%, 30% and 40%, the consistency, texture, moistness and flavor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added Mugworts. In view of color and overall quality, 30% Ssooksulgis was preferable than those of other mixing levels. In the texturometer measurement for Ssooksulgis, hardness tend to decrease, whil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tend to increas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added Mugworts. As for Ssooksulgis, the consistency and moistness in sensory evaluation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cohesiveness and correlated negatively with hardness, chewiness, gumminess in mechanical test (p<0.01).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