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년대 경북 북부지역 유학적 지식인들의 사회주의운동과 성격

        심상훈(Shim Sang-hun) 한국국학진흥원 2004 국학연구 Vol.4 No.-

        이 글은 1920년대 경북 북부지역의 유학적 지식인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주의운동이 지역적으로 확산되어가는 과정과 그것이 어떻게 이식되었는가를 정리한 것이다. 유학의 본 고장인 안동문화권은 양반특유의 보수적 성향에 기인하는 항일의식과 사회주의 지식인들의 영향이 결합함으로써 다른 지역에 비해 사회주의가 유난히 일찍 유입되었으며, 대중운동이 강세를 보인 곳이다. 이 지역의 사회주의 운동의 대두는 3ㆍ1운동을 전후한 시기의 독립운동의 연장선상에서 출발하였다. 안동을 비롯한 이 지역은 비교적 한국 사회주의 운동이 빨리 흡수된 곳이며,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즉, 한국사회주의 각 계파의 이론적인 틀을 정리하는 실험장이었던 것이다. 안동문화권 사회주의운동의 중심에는 이곳의 명문가 집안 출신들의 유학적 지식인들이 서 있었고, 그들은 지역적인 기반을 매개로 다음 세대를 이끌어갈 사회주의자들을 양성해 나갔던 것이다. 어쩌면 이들은 전통과 권위가 허물어져 가는 당시의 시대적인 아픔을 유교를 대신해 사회주의라는 새로운 이론으로 달래고자 했을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이상향의 실천을 사회주의의 민족해방운동으로 표출하고자 했던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of the process and perception of the socialist movement that spread among the Confucian intellectuals in the northern Gyeongbuk in the 1920s. As the resistance spirit against the Japanese based on the unique noblemen's conservative tendencies in the Andong area, which was the home of Confucianism in Korea, met together with the influences of the socialist intellectuals working in the area, Andong was particularly early to accept socialism compared with other regions and saw the popular movements develop strong. The rise of the socialist movement in the area followed the independence movements right before and after the March 1 Movement. Andong and the adjacent areas played a certain role in accepting the socialist movement earlier than other areas in Korea, being the testing ground where the theoretical frames of various socialist groups were examined. In the center of the socialist movements in the area were there the Confucian intellectuals of high birth, who educated future socialists to lead the next generation based on the local foundation. It might have been the case that they tried to appease themselves suffering from the pain of the times with the traditions and authority giving their ways away with the new socialism rather than Confucianism. And they wanted to build a new ideal world through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of socialism.

      • KCI등재

        일제강점기 문경지역의 민족운동과 성격

        沈相勳(Shim, Sang-hun) 동아인문학회 2012 동아인문학 Vol.23 No.-

        이 글은 문경지역의 민족운동을 1920년대 사회주의운동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1920년대 사회운동단체의 결성과 초기 활동 그리고 사상단체의 출현, 그리고 사회주의사상을 유입한 사상단체의 활동으로 문경지역 사회운동단체의 성격 변화와 운동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1920년대 문경지역 민족운동의 성격을 정리하였다. 사회주의는 우리 역사에서 가장 암울했던 식민지시기에 민족해방ㆍ계급해방, 나아가 인간해방을 약속하는 이념으로 이 땅에 모습을 드러냈다. 한국에 사회주의가 수용되고, 변화해가는 과정에서 그것은 아무런 여과장치 없이 지방으로 확산되어 갔다. 문경을 비롯한 경북북부지역은 비교적 한국 사회주의운동이 빨리 흡수된 곳이며,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즉, 한국사회주의 각 계파의 이론적인 틀을 정리하는 실험장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 성장한 사회주의자들을 공급받아 새로운 형태의 민족운동을 추진해 나갔던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문경지역의 사회주의운동은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산청년회 야체이카, 농민운동, 노동운동, 청년운동, 형평운동 등 다양한 형태의 민족해방운동으로 이어져 나갔다. 이 지역 사회주의운동의 중심에는 유학적 지식인들이 서 있었고, 그들은 지역적인 기반을 매개로 다음 세대를 이끌어갈 사회주의자들을 양성해 나갔던 것이다. 어쩌면 이들은 전통과 권위가 허물어져 가는 당시의 시대적인 아픔을 유교를 대신해 사회주의라는 새로운 이론으로 달래고자 했을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이상향의 실천을 사회주의의 민족해방운동으로 표출하고자 했던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nationalist movement in the area of Mungyeong, focusing on the socialist movement in the 1920s.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and their aspects in the area of Mungyeong as ideological organizations followed socialism. The research of these activities l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ist movement in the area of Mungyeong in the 1920s. Socialism emerged in Korea as an ideology which would promise the liberation of the nation, its classes and human beings from the darkest colonial period of Korean history. While socialism was accepted and modified, this ideology disseminated into regional areas without any filtration. The northern part of Gyeongbuk Province including Mungyeong was a place which absorbed socialism relatively quickly and played a role in the social movement. In other words, this area was a test ground prepar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each socialist faction in Korea. Socialists who were trained in this area were sent to various areas to promote a new kind of nationalist movement. Based on these activities, the socialist movement in the area of Mungyeong was followed by various forms of nationalist liberation movements such as Yecheica by the Chosun Communist Party and the Korea Communist Youth Society, the Peasants’ Movement, the Labor Movement, the Youth Movement, and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Confucian scholars were at the center of the socialist movement in this area, fostering socialists to lead the next generation using the medium of regional development. It can be said that they tried to alleviate the pain of their time with the destruction of traditions and authority by replacing Confucianism with socialism, and to practice new ideals in the form of the nationalist liberation movement based on socialism.

      • KCI등재

        일제강점기 光山金氏 청년지식인의 시대인식과 민족운동

        심상훈(Shim, Sang-Hun)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7 No.-

        이 글은 한국과 안동지역 사회주의운동을 선도했던 김남수의 1920년대 활동을 추적한 것이다. 그는 안동지역을 대표하는 청년지식인이자, 시대의 아픔과 현실을 온 몸으로 표출했던 사회주의운동가이다. 1920년대 그의 활동은 ① 안동의 유력한 가문의 종가에서 태어난 신분으로 계몽적 사회주의운동을 열어 나갔으며, ② 서울과 안동에서 활약하면서도 주로 서울에서의 투쟁 경험을 살려 안동지역의 사회운동을 이끌어나갔으며, ③ 그의 활동이 언론과 노동・농민운동을 연결시키는 형태를 보였으며, ④ 그의 활동은 민족운동과 계급운동이 혼합되어 있다는 특징으로 정리할 수 있다. 김남수는 전통 유교의 가치 위에서 사회주의를 받아들였다. 1910년대 후반에서 1920년대 사회주의로의 사상적 전환 과정은 구한말 국권회복을 위한 방안으로 혁신유림들이 수용하였던 의병에서 계몽운동으로의 사상적 전환과 비슷한 형식으로 전개되었다. 그는 구한말과 식민지 조선의 구체적인 현실 속에서 자라면서 민족해방운동을 몸으로 실천했거나 눈으로 직접 확인한 인물이었다. 그리고 그의 생활태도나 사고방식의 밑바닥에는 성리학의 영향이 아직도 강하게 자리 잡고 있었다. 그는 초기에는 일제에 대한 강한 저항적 의식으로 사회주의를 받아들였다면, 그 이후에는 저항의식과 함께 계급모순에 대해서도 인식하기 시작했다. 그는 일제 식민지 지배체제 아래 경제적으로 극심한 착취를 당하고 있는 민족의 현실을 보면서 민족모순과 함께 계급모순에 대해 인식했던 것이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 그는 민족의 독립을 위한 현실적인 방법론으로 사회주의를 수용하고, 이를 실현해 나갈 실천적 운동을 전개했다. 즉, 새로운 이상향의 실천을 사회주의의 민족해방운동으로 표출하면서 궁극적인 목적은 민족문제(민족해방)를 해결하는데 방점을 찍고 있었던 것이다. This study traced the activities of Kim, Nam-Soo in the 1920s, who led the socialistic movement across the country, particularly in the Andong area. He was a young intellectual representing the area of Andong, and also a socialistic activist, who felt and showed the pain and reality of the time as they were. In the 1920s, he led the following movements. Firstly, he was actively involved in the enlightening socialistic activity, though he was born to a noble head family in the Andong area. Secondly, while involved in such movements in Seoul and Andong, he led the socialistic movement in the area of Andong based on the experience of resistance to the Japanese Occupation in Seoul. Thirdly, his activities led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peasantry labor movement and journalism. Lastly, his activities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mixing the national movement and the class movement. Kim, Nam-Soo accepted socialism based on traditional Confucian values. From the late 1910s to the 1920s, the conversion of the ideas to socialism developed in a way similar to that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starting from the volunteer army movement, which was accepted as a method of recovering national sovereignty by Confucian radic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Growing up in the repressive reality of the late colonized Joseon Dynasty, he himself witnessed and practiced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He still retained the effects of Confucianism firmly in his living attitudes and at the bottom of his thoughts. Kim, Nam-Soo accepted socialism at the beginning as part of resistance to the Japanese Occupation. Later he began to be aware of class contradiction along with such resistance. He witnessed Koreans economically being exploited harshly under the ruling system of the Japanese Occupation, awakening to class contradiction along with national contradictions. In such an awakening, he accepted socialism as a realistic way of liberating Koreans, developing a practical movement to realize his dream of national liberation. In other words, he expressed his practice of an ideal world in the form of socialism for the ultimate purpose of performing the grand task of national liberation.

      • KCI등재
      • 대기업의 비윤리적 경영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정도와 구매의사의 상관관계

        심상훈(Shim, Sang Hun) 성신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11 경영관리연구 Vol.4 No.2

        본 연구에서는 대기업의 비윤리적인 경영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정도와 구매의사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윤리적인 경영이 기업의 이익에 영향을 미친다는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대기업의 비윤리적인 경영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으며, 역설적이게도 그들의 이익은 날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대기업의 비윤리적인 경영 실태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정도가 그들의 구매의사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고,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예비조사를 거쳐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직접 개발한 척도를 이용하여 임의로 추출한 서울, 경기지역 70명의 표본층에 본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대기업의 비윤리적 경영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정도와 구매 의사간의 상관성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므로 대기업을 대표할 기업선정이 중요했다. 세계적인 기업이면서 비윤리적 경영으로 사회적 논란을 일으키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업실적이 좋은 기업이라는 기준으로 그 대상을 삼성으로 선정하여 설문과 연구를 진행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 제시된 두 변수의 상관관계 모델에서 인지정도라는 독립변수가 구매의사라는 종속변수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기업의 윤리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정도’라는 관념적인 변수가 11.7%의 수치로 구매의사라는 변수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혀진 것 은 매우 의미있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대기업의 비윤리적 경영 실태에 대한 공정하고 정확한 보도가 진행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윤리성’이라는 2차적 변수가 10%이상 구매의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대기업의 윤리적 경영을 촉구하는 근거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언론사 역시 대형 기업이라는 관점에서, 윤리성에 대한 요구(공정하고 정확한 보도)는 그들에게 있어서도 예외가 아닐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correlation between consumers" level of recognition about corporations" unethical management and their intention to purchase. Despite many research analysis that ethical management affect their profit, their unethical managements are getting more severe, paradoxically with their profit increasing day by day. In light of such situation, we started a research on whether consumers" level of awareness about corporations" unethical management affect their intention to purchase. Using my own tool which confirmed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preliminary survey, we progressed formal survey on randomly chosen 70 people in Seoul and Gyeongi provinc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e correlation between consumers" level of recognition about corporations" unethical management and their intention to purchase, so it"s very important to choose a corporation as their representative. Criterions of choosing corporation" representative are as in the following : Global, Lots of troubles as unethical management, Good results of business. Samsungischosen as corporation" representative on this study because Samsung is appropriate to thesecriterions. The model of correlation of two factors suggested in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independent variable(level of recognition) does not have a great influence on dependent variable(intention to purchase). However, it is significant that ideal variable, consumers" level of recognition can affect intention to purchase by11.7%. The reality is that condition of corporations" unethical managements are rarely covered fairly and exactly in the media. In this situation, the result that secondary factor, ethic affect intention to purchase by more than 10% can urge corporations to manage ethically. Also, considering corporations, the press can"t exempt them from demand of ethics(fair and exact report).

      • KCI등재

        일제강점기 유학적 지식인의 사회주의 수용과 민족운동

        심상훈(Shim, Sang-Hun) 동아인문학회 2014 동아인문학 Vol.29 No.-

        이 글은 1920년대 경북 남부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지역의 사회주의운동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 지역에서 사회주의 수용과정에서 유학적 지식인들의 발 빠르게 움직일 수 있었던 원인과 그들이 사회주의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가를 이해하는 데 있다. 한국에 사회주의가 수용되고, 변화해가는 과정에서 그것은 아무런 여과장치 없이 지방으로 확산되어 갔다. 경북 남부지역은 비교적 한국사회주의 운동이 빨리 흡수된 곳이며,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즉, 한국사회주의 각 계파의 이론적인 틀을 정리하는 실험장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 성장한 사회주의자들을 공급받아 새로운 형태의 민족운동을 추진해 나갔던 것이다. 이 지역의 사회주의운동이 중앙의 정세 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한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북풍회와 서울계의 영향 아래서 민족해방운동을 조용하게 실현시켜나가고 있었다. 또한 중앙에서 그 역할을 담당하지 못하면 지역에서 그 부족한 역량을 채워나갔고, 인적인 공급처로서 자리매김해 나갔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역의 사회주의운동은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산청년회 야체이카, 농민·노동·청년·형평운동 등 다양한 형태의 민족해방운동으로 이어져 나갔던 것이다. 이 지역 사회주의 운동의 중심에는 이곳의 명문가 집안 출신들의 유학적 지식인들이 서 있었고, 그들은 지역적인 기반을 매개로 다음세대를 이끌어갈 사회주의자들을 양성해 나갔다. 어쩌면 이들은 전통과 권위가 허물어져 가는 당시의 시대적인 아픔을 유교를 대신해 사회주의라는 새로운 이념으로 달래고자 했을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이상향의 실천을 사회주의의 민족해방운동으로 표출하고자 했을 것이다. 이 지역에서 사회주의 독립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될 수 있었던 것은 사상적으로 유교적 전통과 마르크스주의 사상을 빼놓을 수가 없다는 점이다. 전통시대의 지배적인 사상인 성리학의 관념적 사유체계를 대체할 근대적 사유체계로서 마르크스주의가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성리학의 사변적 사유체계가 구시대의 정치사상이요 철학이었다면, 새로운 시대에 상응하는 사변적 체계를 갖춘 이념과 철학으로 마르크스주의 사상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일제강점기 이 지역을 비롯한 경북의 독립운동은 유교적 전통이 마르크스주의로 계승되는 측 면이 강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socialist movement in the southern area of Gyeongbuk Province in the 1920s. The study also aims to understand how Confucian intellectuals were quick to accept socialism in this region and what they thought of the doctrine. In the process of its being accepted in Korea, socialism spread quickly unfiltered into various regions. The southern area of Gyeongbuk Province welcomed the Korean socialist movement more eagerly than other regions, playing its role in the movement. In other words, this area was an experimental laboratory where theoretical frames of each socialist faction were tried and established. This area promoted a new type of nationalist movement with socialists who were reared here in this region. Though this area was sometimes quick to respond to situational changes in the central area of Seoul in promoting its socialist movement, mostly it quietly pushed ahead with the nationalist liberation movement under the influence of some socialist groups such as the Bukpunghoe and the Seoulgye. When the central area of Seoul couldn’t play its proper role, this area offset the shortage, providing human resources for the activity and taking its place firmly. Based on this active role, they led the socialist movement to various types of nationalist liberation movements such as the Goryeo Communist Youth Yacheica (a Russian word, ячейка meaning a cell ), the Peasantry Movement, the Labor Movement, the Youth Movement, and the Equality Movement. At the center of the movement in this area stood Confucian intellectuals from prestigious families. They fostered socialists to lead the next generation based on their regional ground. It can be thought that this was because they wanted to mitigate the suffering of the times, when the tradition and authority collapsed, by replacing the Confucian ideology with a new ideology of communism. They are thought to have sought to create a new utopia through the socialist movement in the form of the nationalist liberation movement. This area was able to develop a socialist independence movement actively owing to two kinds of ideology: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the contemporary Marxism. Confucian intellectuals strongly needed a modern system of thought to take the place of the traditional dominant ideology of Confucianism, and could easily accept Marxism. As the philosophy of Confucianism was regarded as out-of-date, they had no other choice but to accept Marxism as an ideology and philosophy to meet the needs of the new age. Referring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is area and other regions of Gyeongbuk Provinc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can be said to have paved the way for Marxism.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일제강점기 유학적 지식인들의 사회주의수용 양상과 민족운동

        심상훈 ( Sang Hun Sh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70 No.-

        이글은 경북 안동시 풍산 오미동에서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한 자료 가운데 한국근대사와 항일운동(사회주의운동)의 면면을 살필 수 있는 자료를 중심으로 유학적 지식인들의 사회주의운동을 정리한 것이다. 안동은 사회주의 운동이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빨리 흡수된 곳이며, 초기 사회주의 운동의 중심인물들을 배출한 곳이다. 이 지역에서 사회주의라는 새로운 독립운동 방향의 중심에는 유교적 가치를 교육받고 자란 유림적 성향을 지닌 인물들이 있었다. 김응섭과 김재봉은 바로 이 흐름을 주도한 대표적인 인물로, 그 역시 전통 유교의 가치 위에서 사회주의를 받아들였다. 안동문화권에서 사회주의를 받아들인 사람들은 구한말과 식민지 조선의 구체적인 현실 속에서 자라면서 민족해방운동을 몸으로 실천했거나 눈으로 직접 확인한 인물들이었다. 그리고 그들의 생활태도나 사고방식의 밑바닥에는 성리학의 영향이 아직도 강하게 자리 잡고 있었다. 이들은 사회주의 사상을 받아들이면서 자신들이 과거에 지녔던 민족주의나 유교적 사고방식의 문제점을 비판했지만, 그들 자신이 과거의 사상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즉, 그들은 사상적인 면에서 과거의 자신을 부정하고 새롭게 태어나려고 노력했지만, 자신의 깊숙한 곳에서까지 자신과 철저하게 결별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양상은 여말선초 성리학을 수용했던 신흥사대부의 그러한 심정과 같은 것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김재봉은 제1차 조선공산당의 책임비서로 초기 국내사회주의 운동의 지도자였으며, 김응섭은 만주지역 사회주의운동을 선도하였던 인물이다. 이들은 반가 출신의 유학적 지식인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그 지역에서 여론을 주도할 수 있을 정도의 명문가 집안 출신이며, 경제적으로는 그렇게 넉넉하지는 않지만 나름대로 행세를 하던 인물들이었다. 또한 서울의 본거지와 끊임없이 연결할 수 있는 끈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부득이한 경우에는 직접 그들과 활동을 같이 하는 등 이론가와 활동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들은 전통적인 유학적 학문 소양을 기반으로 사회주의 사상을 탐독할 수 있는 신학문을 접하는 등 한국 사회주의 지식인으로 서서히 자리 잡아 갔던 것이다. 이들은 국제공산주의가 아니라, 민족문제의 해결을 가장 높은 목표로 삼은 민족적 사회주의자요, 사회적 민족주의자였다. 그리고 이들이 걸은 길 자체가 계급해방보다는 민족해방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한 것이었다. 따라서 그들의 삶은 민족해방을 향한 것이었고, 항일운동 그 자체였다. This study surveyed Confucian scholars` acceptance of socialism based on material for Korean modern history and the Anti-Japanese Movement (Socialist Movement) out of the material committed to the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by Omi-dong, Pungsan, Andong City, Gyeongbuk Province. Andong was the area which absorbed socialist movement faster than any other region, and which turned out main activists for the early socialist movement in Korea. At the center of the new socialism-based independence movement in Andong, there were Confucian scholars who were educated in Confucian values. Eungseop Kim and Jaebong Kim were the two principal figures who led the movement. They accepted socialism based on traditional values of Confucianism. Those who accepted socialism in the area of Andong culture were figures who themselves witnessed and joined in the nationalistic liberation movement while living in the hard times of the late period of Joseon and Japanese Occupation. They demonstrated attitudes and ideas strongly affected by Confucian principles. When accepting socialism, they criticized problems of nationalism and Confucian thinking styles, but they were not completely free from those past ideas. In other words, they negated what they were in terms of ideology and tried to be reborn new. However, they could not completely separate themselves internally from their deep rooted, past ideas. This is said to have been similar to the situation which the new-rising noblemen faced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at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Jaebong Kim, as responsible secretary of the First Joseon Communist Party, was the leader of the early domestic socialist movement. Eungseop Kim led the socialist movement in the area of Manju. These two figures had in common the fat that they were Confucian intellectuals from noble families that were good enough to dominate the public opinions in the area. Though they were not so economically affluent, they were powerful to a degree. They had connection with the headquarters in Seoul, and sometimes they operated hand in hand with those in Seoul. They played roles as theorists and activists. Based on traditional Confucian learning, they contacted new studies through which they were indulged in reading socialist ideas, and established themselves as socialist intellectuals. Instead of international socialists, they were nationalistic socialists mainly focusing on the purpose of solving nationalistic problems. In a word, they were nationalists with a socialist tinge. They placed more values on nationalistic liberation than on class liberation. Therefore, they devoted their lives to nationalistic liberation, and they are said to have joined in the anti-Japanese movements.

      • KCI등재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자료를 통해 본 국채보상운동의 전개양상과 성격

        심상훈(Shim, Sang-Hun) 동아인문학회 2015 동아인문학 Vol.33 No.-

        이 글은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성산이씨 홍와고택」 고문서 중 국채보상운동과 관련한 자료를 중심으로 경북지역 국채보상운동의 전개 양상과 그 특징을 정리한 것이다. 「성산이씨 홍와고택」에서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한 자료는 고서 1,739책, 고문서 7,952점, 기타유물 37점 등 모두 9,728점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이다. 그 가운데 주목할 자료는 국채보상운동 관련 자료로서 약 50여종이며, 국채보상운동의 전후사정을 알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또한 국채보상운동의 쇠퇴 후 모금한 기금을 신학교 건설을 위한 자금으로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간찰 등도 확인되었다. 국채보상운동 관련 자료는 운동이 시작되기 전의 상황과 고령 지역에서의 활동 내역, 이후 의연금의 사용 내역 등이 고스란히 전해져 국채보상운동의 전개 과정과 독립운동사에 있어 중요한 자료이다. 고령지역 국채보상운동은 혁신유림이 주도하는 가운데 ‘대동단결’에 의한 사회질서를 모색한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성리학적 지배질서를 통한 향촌공동체의 강화, 즉 한주학파는 시대의 흐름을 보아 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는 향촌 자치에 입각한 유교의 보편주의를 내세우게 되었다. 개항 이후 경북 고령은 유림의 본고장으로 충의관에 입각한 변혁운동을 도모했던 지역이다. 이른바 한주학파는 전통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새로운 서구사조를 수용하는 데 적극적이었다. 사회진화론이나 만국공법 수용은 ‘교조적인’ 성리학적인 가치관에서 벗어나 유연한 입장을 견지할 수 있었다. 명성황후 시해사건이나 단발령시행에도 직접적인 저항보다 일제 침략의 불법성을 열강에 적극적으로 알리는 데 노력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이후 일제 침략과정에 그대로 투영되어 실천적인 문제로 귀결되었다. 국채보상운동은 처음부터 순수한 애국 충정에서 각지에서 자발적으로 일어난 것으로서, 전국적인 통일된 지휘체계 하에서 진행된 것이 아니었다. 때문에 일제의 방해・탄압 책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끝내 좌절되었던 것이다. 운동이 비록 좌절로 끝나긴 하였으나 국권 회복을 위한 투쟁의 하나로서 그 역사적 의의는 큰 것이었다. 국채보상운동에 참여한 수많은 대중들은 자신들이 국가의 주인이라는 국가의식을 크게 신장시켰으며, 동시에 민족공동체 의식을 깨우치게 되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민족협동전선운동과 신간회 지회 운동 - 1920년대 경북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

        심상훈(Shim Sang-Hun)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7 No.-

        이 글은 1920년대 경북 남부지역에서 설립된 신간회 지회 가운데 활동이 비교적 풍부했던 곳을 대상으로 설립과정과 활동을 정리한 것이다. 경북지역에서는 서울에서 창립되고 4개월 후인 1927년 6월 18일에 처음으로 신간회 김천지회가 결성되었으며, 1929년 7월까지 23개 지회가 설립되었다. 울릉군을 제외한 총 23개 군 가운데 21개 군에서 23개 지회가 설립되었고, 1개 군에서 지회설립을 추진하다가 일제의 탄압으로 무산되었다. 이처럼 경북은 신간회운동사에서 있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지회 운동을 대표할만한 지역이었다. 신간회 지회의 설립과정에서는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든 사회주의 세력이든 협동전선을 통해 이룩하고자 한 목적을 나름대로 일정하게 달성하였다. 비타협 민족주의자들은 신간회 지회설립을 통해 반자치운동을 각 지역의 대중들에게 직접 선전하고 지지를 끌어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자치운동을 차단하고 무산시킬 수 있었고, 타협적 민족주의 세력들을 견제할 수 있었다. 또한 지역 내의 사회주의 세력은 분파적 분열을 극복하고 사상적・조직적 통일을 이루는 성과를 만들었다. 나아가 지회 간부를 지역 내의 청년・농민・노동・여성・형평운동 등 각 부문 운동 간부들로 구성해 단일한 정치적 협동전선의 지도부를 운영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부문 운동을 전민족적 정치투쟁으로 전환시키고, 통일적 연계와 상호 지원체제를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이러한 모습은 김천・칠곡 등 주로 신간회 운동이 활발하였던 지역에서 신간회 간부 또는 회원 출신 주도로 1930년대 혁명적 농민조합운동과 조선공산당재건운동이 펼쳐졌다. 신간회 지회의 활동은 크게 사회・문화적 측면과 정치・경제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다. 사회・문화적인 측면은 교육제도 개선, 대중 계몽과 구제 활동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는 각종 강연회 기획, 야학 운영, 빈민 구제 사업 등으로 신간회 강령의 제1항 ‘정치적・경제적 각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정치・경제적 측면은 조선인에 대한 각종 차별과 폭력에 대한 고발, 친일파 및 친일 단체 배격 활동 등을 꼽을 수 있다. This article summarizes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activities of Shinganhoe branches established in the southern region of Gyeongbuk in the 1920s, where there were relatively abundant activities. In Gyeongbuk region, the first Shinganhoe Gimcheon branch was formed on June 18, 1927, four months after its founding in Seoul, and by July 1929, 23 branches were established. Out of 23 counties excluding Ulleung-gun, 23 branches were established in 21 counties. As such, Gyeongbuk was a region that could represent the branch movement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the history of Shinganhoe Movement. In the cours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hinganhoe branch, both uncompromising nationalists and socialist forces achieved certain goals in their own way through the cooperative front. The uncompromising nationalists were able to promote the anti-autonomy movement directly to the public in each region and win suppor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Shinganhoe branch.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block and disband the autonomous movement, and to contain compromising nationalist forces. In addition, socialist forces within the region overcame sectarian divisions and achieved ideological and organizational unification. Furthermore, it was possible to operate the leadership of a single political cooperative front by composing the branch cadres from each sectoral movement, such as youth, peasants, labor, women, and the equality movement within the region. This turned the sectoral movement into a national political struggle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form a unified linkage and mutual support system. In the areas where the Shinganhoe movement was active, such as Gimcheon and Chilgok, the revolutionary peasant union movement and the Korean Communist Party reconstruction movement in the 1930s took place under the leadership of Shinganhoe executives or former members. The activities of the Shinganhoe branch can be divided into social and cultural aspects and political and economic aspects. In terms of social and cultural aspects,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system and public enlightenment and relief activities can be cited. This includes the contents of Paragraph 1 of the Shinganhoe’s Code of ‘Political and Economic Awakening’ for various lecture planning, night school operation, and poverty relief projects. From the political and economic aspects, accusations of various kinds of discrimination and violence against Koreans and activities against pro-Japanese and pro-Japanese groups can be cited. The position of the Shinganhoe branch in the southern Gyeongsangbuk-do region from its foundation to its resolution was higher than any other social group. This is because of the status of the socialist movement, which can be said to be the peculiarity of this region. Since ancient times, this area has been deeply rooted in the local community as landowners rather than large landowners, and Yurim, who learned Confucianism, took the lead and led the community. However, as the times changed, the Yurims in this region developed a socialist movement to free themselves from the yoke of Confucianism and liberate the class. Based on the strong intercultural relations of the Confucian society, they took root in the region without difficulty. Therefore, it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re were many people who developed social movements by participating in socialist-oriented social groups within blood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