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1-Decanoic Acid와 Tri-n-octylphosphine을 이용하여 화학적 환원법으로 제조된은 나노입자의 특성 및 전기적 전도체 적용

        심상보 ( Sang-bo Sim ),배동식 ( Dong-sik Bae ),한종대 ( Jong-dae Han ) 한국공업화학회 2016 공업화학 Vol.27 No.1

        Silver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chemical reduction-protection method using 1-decanoic acid and tri-n-octylphosphine as surfactants, and using NaBH4 as a reducing agent. The silver nanoparticles were also studied for their formation, structure, morphology and size using UV-Visible spectroscopy, XRD, TEM and SEM. Further the viscosity of the silver paste and the surface resistance of the silver metal film produced by screen coating onto a PET film were investigated. Well dispersed and quasispherical silver nanoparticles with the size of 10-200 nm were obtained under the optimal molar ratio of NaBH4/AgNO3 = 1 : 5. The surface resistance of silver metal film coated on the PET film made with the silver nanoparticles under the optimal molar ratio showed a minal value of 41 μΩ/cm2.

      • SCOPUSKCI등재

        SiO<sub>2</sub>/Ag 코어-쉘 나노입자의 합성 및 전도성 페이스트 적용

        심상보 ( Sang-bo Sim ),한종대 ( Jong-dae Han ) 한국공업화학회 2021 공업화학 Vol.32 No.1

        SiO<sub>2</sub>/Ag 코어-쉘 나노입자를 수정된 Stöber 공정법과 물/dodecylbenzenesulfonic acid (DDBA)/cyclohexane의 역 미셀에서 acetoxime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역 미셀 방법을 상호 조합하여 합성하였다. SiO<sub>2</sub>/Ag 코어-쉘은 UV-visible spectroscopy, XRD, SEM 및 TEM을 사용하여 구조, 형태 및 크기를 조사하였다. SiO<sub>2</sub>/Ag 코어-쉘의 나노입자 크기는 [물]/[DDBA]의 몰비(WR)의 값을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었다. SiO<sub>2</sub>/Ag 코어-쉘의 크기와 다분산성은 WR 값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비정질 SiO<sub>2</sub> 나노입자 위에 생성된 Ag 나노입자는 430 nm에서 강한 표면 플라즈몬 공명 (SPR) 피크를 나타내었다. SPR 피크는 나노입자 크기의 증가에 따라 장파장으로의 적색 이동을 나타내었다. 합성된 SiO<sub>2</sub>/Ag 코어-쉘을 분산시켜 70 wt% 조성의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고, 스크린 인쇄법으로 PET 필름에 코팅하여 전도성을 조사하였다. SiO<sub>2</sub>/Ag 코어-쉘 페이스트로 코팅된 필름은 상용 Ag 페이스트에 비하여 높은 460~750 μΩ/sq 영역의 표면저항을 나타내었다. SiO<sub>2</sub>/Ag core-shell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by combining modified Stöber process and reverse micelle method using acetoxime as a reducing agent in water/dodecylbenzenesulfonic acid (DDBA)/cyclohexane reverse micells. The SiO<sub>2</sub>/Ag core-shells were studied for structure, morphology and size using UV-visible spectroscopy, XRD, SEM and TEM. The size of a SiO<sub>2</sub>/Ag core-shell could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water]/[DDBA] molar ratio (WR) values. The size and the polydispersity of SiO<sub>2</sub>/Ag core-shells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WR value. The resultant Ag nanoparticles exhibit a strong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peak at 430 nm over the amorphous SiO<sub>2</sub> nanoparticles. The SPR peak shifted to the red side with increase in nanoparticle size. Conductive pastes with 70 wt% SiO<sub>2</sub>/Ag core-shell were prepared, and the pastes were coated on the PET films using a screen-printing method. The printed paste film of the SiO<sub>2</sub>/Ag core-shell showed higher surface resistance than the commercial Ag paste in the range of 460~750 μΩ/sq.

      • KCI등재

        국내 해안지역의 풍랑피해 예측함수에 관한 연구

        심상보(Sang-bo Sim),김윤구(Yoon-ku Kim),추연문(Yeon-moon Ch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4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이상기후현상으로 자연재해의 발생빈도와 피해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일본의 대지진, 미국의 허리케인 카트리나, 한국의 태풍 매미 등 세계적으로 연안지역에서 발생하는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는 막대하다. 재해대응 차원에서 피해 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면 신속하게 대응하여 피해를 저감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자연재해 중 해풍과 파랑에 의해 발생하는 풍랑에 관한 피해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국내의 연안지역을 대상으로 재해연보(`1991~`2017)의 풍랑 및 태풍피해 이력을 수집하였으며, 물가상승률을 반영하기 위해 2017년을 기준으로 피해액을 환산하였다. 또한, 풍랑 및 태풍피해가 발생했을 때의 해양기상인자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연안의 지역특성을 반영하여 전국 74개 지역의 해역별 풍랑 피해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풍랑피해 예측함수를 통하여 사전대비 차원의 피해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재해통계관련 법·제도 개선에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frequency of natural disasters and the scale of damage are increasing due to the abnormal weather phenomenon that occurs worldwide. Especially,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in coastal areas around the world such as Earthquake in Japan, Hurricane Katrina in the United States, and Typhoon Maemi in Korea are huge. If we can predict the damage scale in response to disasters, we can respond quickly and reduce damage. In this study, we developed damage prediction functions for Wind waves caused by sea breezes and waves during various natural disasters. The disaster report (1991 ~ 2017) has collected the history of storm and typhoon damage in coastal areas in Korea, and the amount of damage has been converted as of 2017 to reflect inflation. In addition, data on marine weather factors were collected in the event of storm and typhoon damag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collected data, Finally, predictive function of the sea turbulent damage by the sea area in 74 regions of the country were developed. It is deemed that preliminary damage prediction can be possible through the wind damage prediction function developed and is expected to be utilized to improve laws and systems related to disaster statistics.

      • 사용 환경에 따른 배터리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심상보(Sim, Sang-Bo),김시국(Kim, Si-Guk),이춘하(Lee, Chun-Ha)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추계

        본 논문은 사용 환경에 따른 배터리 위험성을 측정하기 위해 리튬배터리의 과충전에 의한 위험성 측정과 고온 환경에서의 배터리 폭발 위험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SCOPUSKCI등재

        전도성 페이스트용 코어-쉘 TiO<sub>2</sub>/Ag 나노입자의 합성 및 특성 연구

        심상보 ( Sang-bo Sim ),한종대 ( Jong-dae Han ) 한국공업화학회 2023 공업화학 Vol.34 No.1

        코어-쉘 TiO<sub>2</sub>/Ag 나노입자를 수정된 졸-겔 공정과 함께 acetoxime을 환원제로 사용한 물/dodecylbenzenesulfonic acid (DDBA)/cyclohexane의 역 미셀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TiO<sub>2</sub>/Ag 나노입자의 구조, 형태 및 크기를 XRD, UV-visible spectroscopy, SEM, TEM 및 TGA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TiO<sub>2</sub>/Ag 나노입자의 크기는 [물]/[DDBA]의 몰비를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었다. TiO<sub>2</sub>/Ag 나노입자의 크기와 다분산성은 [물]/[DDBA]의 몰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아나타제 결정상의 TiO<sub>2</sub> 나노입자 위에 생성된 Ag 나노입자는 430 nm 주변에서 강한 표면 플라즈몬 공명(SPR) 흡수 특성을 나타내었다. SPR 피크는 나노입자 크기의 증가에 따라 장파장으로의 적색 이동이 나타났다. 70 wt% 조성으로 TiO<sub>2</sub>/Ag 나노입자를 분산시켜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고, 스크린 인쇄법으로 PET 필름에 코팅하여 전도성을 조사하였다. TiO<sub>2</sub>/Ag 나노입자 페이스트로 코팅된 필름은 상용 Ag 페이스트의 경우보다 높은 405~630 μΩ/sq 영역의 표면저항을 나타내었다. Core-shell TiO<sub>2</sub>/Ag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by a modified sol-gel process and the reverse micelle method using acetoxime as a reducing agent in water/dodecylbenzenesulfonic acid (DDBA)/cyclohexane. The structure, shape, and size of the TiO<sub>2</sub>/Ag nanoparticles were investigated using X-ray diffraction (XRD), UV-visible spect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The size of TiO<sub>2</sub>/Ag nanoparticles could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water]/[DDBA] molar ratio values. The size and the polydispersity of TiO<sub>2</sub>/Ag nanoparticles increased when the [water]/[DDBA] molar ratio rose. The resultant Ag nanoparticles over the anatase crystal TiO<sub>2</sub> nanoparticles exhibited a strong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peak at about 430 nm. The SPR peak shifted to the red side with the increase in nanoparticle size. Conductive pastes with 70 wt% TiO<sub>2</sub>/Ag nanoparticles were prepared, and the pastes were coated on the PET films using a screen-printing method. The printed paste films of the TiO<sub>2</sub>/Ag nanoparticles demonstrated greater surface resistance than conventional Ag paste in the range of 405~630 μΩ/sq.

      • KCI등재

        은이 코팅된 이산화티탄 나노입자 및 도전성 페이스트 제조 특성

        심상보,이미재,배동식,Sim, Sang-Bo,Lee, Mi Chae,Bae, Dong-Sik 한국재료학회 2015 한국재료학회지 Vol.25 No.12

        In this study, the properties of Ag-coated $TiO_2$ nanoparticles were observed, while varying the molar ratio of water and $Ag^+$ for the surfactant and $TiO_2$. According to the XRD results, each nanoparticle showed a distinctive diffraction pattern. The intensity of the respective peaks and the sizes of the nanoparticles increased in the order of AT1($R_1=5$)(33.3 nm), AT2($R_1=10$)(38.1 nm), AT3($R_1=20$)(45.7 nm), AT4($R_1=40$)(48.6 nm) as well as AT5($R_2=0.2$, $R_3=0.5$)(41.4 nm), AT6($R_2=0.3$, $R_3=1$)(45.1 nm), AT7($R_2=0.5$, $R_3=1.5$)(49.3 nm), AT8($R_2=0.7$, $R_3=2$)(57.2 nm), which values we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UV-Vis. spectrum. The surface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pastes fabricated using the prepared Ag-coated $TiO_2$ nanoparticles exhibited a range 7.0~9.0($274{\sim}328{\mu}{\Omega}/cm^2$) times that of pure silver paste(ATP)($52{\mu}{\Omega}/cm^2$).

      • 플러그 충전부 형태에 따른 트래킹 특성에 관한 연구

        심상보(Sim, Sang-Bo),지승욱(Jee, Seung-Wook),오새별(Oh, Sae-Byeol),김시국(Kim, Si-Kuk),이춘하(Lee, Chun-Ha)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1 No.추계

        본 논문은 플러그 충전부 형태에 따른 트래킹 발생특성을 분석하고자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플러그 중 형태가 서로 다른 플러그들을 시료로 선정하여 충전부간 거리에 따른 트래킹 특성을 KS C IEC 60112에 의거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모형 트래킹 실험장치를 제작하여 염해환경에서의 플러그 충전부간 트래킹 특성을 관찰하였고, 플러그에 가해지는 전압은 수전설비의 변압기 결선 형태에 주로 사용되는 단상 3선식과 단상 2선식의 형태로 인가하여 결선 형태에 따른 위험성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 KCI등재

        은이 코팅된 Copper(I) Oxide 나노 입자 및 도전성 페이스트의 제조 특성

        박승우,손재홍,심상보,최연빈,배동식,Park, Seung Woo,Son, Jae Hong,Sim, Sang Bo,Choi, Yeon Bin,Bae, Dong Sik 한국재료학회 2019 한국재료학회지 Vol.29 No.1

        This study investigates Ag coated $Cu_2O$ nanoparticles that are produced with a changing molar ratio of Ag and $Cu_2O$. The results of XRD analysis reveal that each nanoparticle has a diffraction pattern peculiar to Ag and $Cu_2O$ determination, and SEM image analysis confirms that Ag is partially coated on the surface of $Cu_2O$ nanoparticles. The conductive paste with Ag coated $Cu_2O$ nanoparticles approaches the specific resistance of $6.4{\Omega}{\cdot}cm$ for silver paste(SP) as $(Ag)/(Cu_2O)$ the molar ratio increases. The paste(containing 70 % content and average a 100 nm particle size for the silver nanoparticles) for commercial use for mounting with a fine line width of $100{\mu}m$ or less has a surface resistance of 5 to $20{\mu}{\Omega}{\cdot}cm$, while in this research an Ag coated $Cu_2O$ paste has a larger surface resistance, which is disadvantageous. Its performance deteriorates as a material required for application of a fine line width electrode for a touch panel. A touch panel module that utilizes a nano imprinting technique of $10{\mu}m$ or less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electrode material for electric and electronic parts where large precision(mounting with fine line width) is not required.

      • KCI등재

        재해연보기반 남해연안지역 풍랑피해 예측함수 개발

        추태호(Tai Ho Choo),김영식(Yeong Sik Kim),심상보(Sang Bo Sim),손종근(Jong Keun S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2

        전 세계적으로 도시화와 산업화의 발달은 많은 양의 전력을 필요로 하였다. 그리하여 연안 지역에 원자력 발전소를 비롯한 주요 사회기반시설의 건설이 가속화되었다. 또한 지구 온난화와 이상 기후 현상에 의해 자연 재해의 강도는 증가하고 있다. 자연 재해는 발생 지점과 규모를 예측하기 어렵고,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연안 지역의 피해 예측과 재해 규모의 산정은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예측 가능한 기상 자료를 바탕으로 풍랑 피해의 피해액을 예측하고 예측한 결과를 바탕으로 풍랑 피해에 대하여 사전 대비 차원의 재난 관리가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 통계 자료가 부족한 시 · 군 · 구는 인접한 기상 관측소의 자료를 활용하는 지역은 군집분석을 활용하였다. 예측 가능한 기상자료와 지역 등급을 반영하였고, 재해 통계를 기반으로 남해연안지역의 풍랑 피해 예측함수를 개발 하였고, 검증 작업으로는 NRMSE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NRMSE는 1.61%에서 21.73%로 분석되었다. The continuing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round the world has required a large amount of power. Therefore, construction of major infrastructure, including nuclear power plants in coastal areas, has accelerated. In addition, the intensity of natural disasters is increasing due to global warming and abnormal climate phenomena. Natural disasters are difficult to predict in terms of occurrence, location, and scale, resulting in human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For these reasons, the disaster scale and damage estimation in coastal areas have become important issu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redictable weather data and regional ratings and developed estimating functions for wind wave damage based on the disaster statistics in the southern area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help disaster management in advance of the wind wave damage. The NRMSE was used for verification. The accuracy of the NRMSE results ranged from 1.61% to 21.7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