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근대 전환기 『쿠오레』 번역에 나타난 식민주의 연구 - 1902년에 출간된 스기타니 다이스이(杉谷代水)의 『학동일지(學童日誌)』를 중심으로 -

        심경순(Sim, Gyeongsu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1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9

        1886년 이탈리아에서 출간된 『쿠오레(CUORE)』는 이탈리아 민족국가 건설기에 창작된 아동소설이다. 이 작품은 전체적으로 민족주의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하고 교훈적 메시지를 강하게 드러내면서 당대 이탈리아에서 ‘국민 만들기’의 과제를 수행하는 텍스트로 거듭났다. 일본은 서구열강의 위협으로 인해 민족적 위기를 느꼈고 근대로의 편입을 추진했으며 『쿠오레』는 근대 초기 번역을 통해 일본으로 유입되었다. 이에 일본에서의 『쿠오레』는 근대 국민 국가의 형성과 민족의식의 고취라는 시대적 과제를 수행하는 텍스트로 수용됐다. 일본은 자립을 위해‘탈아입구(脫亞入歐)’의 슬로건을 내걸며 일차적으로는 서구로의 편입을 추진했으나 점차적으로 제국주의 의식으로 발전해나갔다. 『학동일지(1902년)』는 스기타니 다이스이가 『쿠오레』를 번안한 작품이며, 여기서는 ‘이탈리아의 통일전쟁’을 ‘청일전쟁’으로 대체시키는 것으로서 제국주의 의식이 드러나고 있다. 또한 『학동일지』의 ‘이달의 이야기’인 「일본인」에서는 일본어를 사용하는 조선 소년이 등장하고, 조선 소년이 일본 군인을 위해 보초병이 되어주는 일화를 다루고 있다. 일본의 ‘국민 만들기’ 텍스트에서 조선 아이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이야기가 포착되는데, 여기서는 조선 아이를 황국신민(皇國臣民)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이로써 일본인들의 식민주의 의식이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는 『학동일지를 중심으로 ‘청일전쟁’을 통해 나타난 일본의 제국주의 의식을 살펴보고, ‘조선 소년상’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일본인」에 내포된 식민주의 의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CUORE”, a novel published in Italy in 1886, is a children’s novel written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Italian nation-state. Based on the ideology of nationalism as a whole, this work has a strong and educational message that has been reborn in contemporary Italy as a text that implements the theme of “creating a nation”. Japan started to explore the path to modernity because of the national crisis threatened by the Western powers, and “CUORE” was introduced to Japan through translation in the early modern era. “CUORE” has been accepted in Japan as a textual vehicle to implement the formation of a modern national state and to promote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the time. In order to achieve independence, Japan proposed the slogan of “leaving Asia and entering Europe”, which was the first to promote Japan’s integration into the West, but then gradually changed to an imperialist consciousness. The “Schoolboy’s Journal(1902)” is an adaptation of “CUORE” by Sugitani Daisui, in which he replaces the “Italian Unification War” with the “Sino-Japanese War”, thus reflecting Japan’s sense of imperialism. Also, in the “Schoolboy’s Journal”, which completed the topic of “creating a nation” in modern Japan, a ‘Story of the Month’ called “Japanese” describes a Japanese speaking Korean boy who became a sentry for a Japanese soldier. The story of a Korean child as the main character is found in the Japanese text on the subject of “creating a nation”, where the Korean child is directly treated as a subject of the Japanese emperor, which reflects the Japanese sense of colonia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Japan’s imperialist consciousness through Sino-Japanese War and to examine the colonialist consciousness contained in the Japanese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 “portrait of a group of Korean teenagers”.

      • KCI등재

        민족적 서사를 통한 ‘용소년’ 만들기 - 사회주의 소년운동가 고장환의 『쿠오레』 번역을 중심으로

        심경순 ( Sim Gyeongsun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21 동화와 번역 Vol.42 No.-

        이탈리아에서 창작된 『쿠오레』는 ‘이탈리아인 만들기’ 과제를 수행하는 텍스트로서 민족주의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던 시기에 창작되었으며 이탈리아의 민족의식이 깊게 투영된 아동소설이다. 근대 전환기 한국에서『쿠오레』를 수용한 주체는 한국 근대 아동문학을 개척한 소년운동가들이다. 민족주의 계열에서 소년운동을 일으킨 방정환과 이정호, 사회주의 계열에서 소년운동을 일으킨 고장환 등을 중심으로 『쿠오레』 의 수용이 이루어졌다. 이에 근대 전환기 한국에서의 『쿠오레』수용은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계열을 막론하고 『쿠오레』의 수용이 이루어졌으며, 『쿠오레』를 수용한 주체들이 아동문학을 개척한 주역들이므로 ‘쿠오레 경향’은 한국 근대 아동문학의 특징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여기서 고장환은 사회주의 소년운동가이지만 민족의식이 깊게 투영된 ‘이달의 이야기’를 선택해서 번역을 진행했다. 사회주의 운동가인 고장환 『쿠오레』 번역의 민족적 경향은 한국 『쿠오레』 수용적 특징을 밝히는데 중요한 텍스트이기에 이 논문에서는 고장환의 『쿠오레』 번역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고장환 『쿠오레』의 번역 대본을 찾는 작업을 진행했고, 저본과의 차이를 통해 고장환 『쿠오레』 의 수용적 특징을 고찰해보았다. 그 결과, 고장환은 사회주의 소년운동에 가담한 소년운동가이지만 그의 『쿠오레』 번역은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고 이를 통한 ‘용소년’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있었다. Children’s novel Cuore was written in Italian, which set "Shaping Italians" as the subject. It is a children's novel created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ist movement, reflecting the consciousness of Italian nationalism. In modern South Korea, it was introduced by a young activist who created moder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Bang Jung-hwan and Lee Jung-ho, who started the youth movement with nationalist consciousness, and Ko Jang-hwan, who started the youth movement with socialist consciousness, were the acceptors of Cuore. Therefore, both nationalist and socialist camps accepted this work. Since the subjects who accept Cuore are the pioneers in the development, “Cuore tendency” has become an important feature of moder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Ko Jang-hwan is a young socialist activist, but he chose and translated the national consciousness work of The Story of the Month. In the translation of Cuore by socialist activist Ko Jang-hwan, ethnic orientation was a vital text to illu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 acceptance on Cuore. Therefore, this paper takes this translation as the research object. This study reviews the original version of Ko Jang-hwan's Cuore translation and examines the receptio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ference version and the original version. It is concluded that although Ko Jang-hwan was a youth activist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ist youth movement, his translation of Cuore promoted national consciousness and depicted the image of “brave you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