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도시가계의 재무상태, 재무의사소통 및 재무스트레스가 재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신효연,홍은실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4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도시가계의 재무상태, 재무의사소통, 재무스트레스 및 재무만족도의 이론적 구조 모형을 설정하여 모델 내 변인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광주, 인천, 서울에 거주하는 가계관리자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338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 시하였고,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재무상태의 재무만족도에 대한 직접효과는 통계 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재무의사소통 및 재무스트레스를 통한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총효 과 또한유의하였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집단별 구조방정식 모형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가계관리자의 성별과 연령, 교육수준에 따른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집단간 구조모형에 차이가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가계관리자의 재무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경제적 자원을 얼마나 많이 가지는가도 중요하지만 부 부간 기능적인 재무의사소통을 통해 가계관리자의 재무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것이 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 다. 따라서 가계관리자의 재무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돈을 많이 벌고, 적게 쓰고, 어떻게 모을 것인가 와 관련한재테크 위주의 재무교육에서 벗어나 부부 간, 가족 간에 효율적이고 기능적인 재무의사소통을 어떻 게 할 것인가,가계 내 재무문제 발생시 재무스트레스를 어떻게 완화시킬 것인가에 관한 심리적 측면의 해결 방안까지 포괄적으로 다루는 재무교육 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신효연,엄기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3
Due to the Corona 19 (COVID-19) pandemic, consumer health concerns and consumption are leading to a trend of popularization. As a result, brands are developing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to meet consumer needs and gain consumer recognition. Visual expression through package design is a powerful and close communication tool for brands to communicate with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strategy of visual symbolic representation of package design, which can enhance the effect of positive brand image building and association through grasping expression elements and symbolic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the meaning transmission of each element. The visual expression element analysis and color analysis through the visual symbols expressed in the package design of the top 10 multivitamin brands i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nd the meaning transmission process of the visual symbols that contain the meaning and symbol.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of all, a composite compositional design strategy of linguistic and non-verbal (visual) elements of illustrations that can intuitively associate information in the visual expression elements of package design is necessary. is. Secondly, visual expression through color requires a color scheme that understands the symbols, associations, and meanings of social and cultural colors. Third,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visual symbols that can express the meaning of visual symbols so that consumers can clearly understand the meaning of visual symbols and take action, and reduce the communication errors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conveying meaning. According to the design strategy requi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firm the importance of conveying meaning through visual symbols in package design of health functional food multivitamin, and will be used as a basis for strategic research on package design that can bring about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brands and consumers. can be done. 코로나 19(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대중화 추세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브랜드는 소비자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키고 소비자들에게 인지되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패키지 디자인을 통한 시각표현은 브랜드가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강력하고 밀접한 의사소통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발신자)와 소비자(송신자)와의 의미전달에 영향을 주는 시각표현 요소를 파악하고, 각 요소의 의미전달에 대한 기호학적 해석과 분석을 통해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 구축과 연상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기호 표현 전략 방안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하였다. 국내·미국·중국 각 국가별 종합비타민 브랜드 상위 10곳의 패키지 디자인에서 표현된 시각기호들을 통한 시각표현 요소 분석과 색채 분석 및 의미와 상징을 내포하고 있는 시각기호의 의미전달 과정에 대해 그레마스의 기호학적 접근을 통해 해석하였으며 연구 결과 첫째, 패키지 디자인 시각표현 요소에 있어 정보를 직관적으로 연상할 수 있는 일러스트레이션의 언어적 요소와 비언어적(시각요소) 요소의 복합 구성 디자인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색채를 통한 시각표현은 사회·문화적 색의 상징, 연상, 의미를 이해하는 색채 계획이 요구된다. 셋째, 소비자들이 시각기호의 의미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시각기호의 의미를 표현하고, 의미전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통의 오류를 줄일 수 있는 시각기호의 분석과 해석을 통한 디자인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종합비타민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기호를 통한 의미전달의 중요성을 확고히 하며 브랜드와 소비자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패키지 디자인 전략 연구의 초석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감기약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언어가 소비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효연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9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7 No.2
The field of medicine package design is faced with a demand for change that reflects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technological factors such as changes in lifestyle, entry into the aging society, and changes in distribution chann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key communication visual communication elements with consumers through package design of medicines that consumer accessibility is expanding to amendment of drug related laws and diversification of distribution channel. In addition, we tried to suggest guidelines for medicine cold medicine package design which can enhance consumers' preference through visual language. First,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package design and visual language grasped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of consumer preference, and analyzed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medicine cold medicine package designs. Consumer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vided into such as "effect/effe ct" and "usage/capacity"."selling points" that are not closely related to drug use and administration are not 'selling point','matters that require attention', 'special note', etc. which do not directly affect Guidelines have been established for text based and graphical based information representa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lear cold medicine package design guideline for guiding the use of medicines through the package, safe use and selection, without limiting the specific person, the specific situation, and specific factors in the cold medicine package design to all people without use I hope that it will be a cornerstone of the package design guidelines for clear cold medicine for safe use and selection. In addition, we expect that the corporate image will help the positive image of brand. 의약품 패키지 디자인 분야는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초고령화 사회 진입 및 유통채널의 변동 등 경제, 사회, 문화 및 기술적 요소를 반영한 변화 요구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약품 관련 법률의 개정과 유통채널의 다변화에 소비자의 접근성이 확대 판매되고 있는 감기약 패키지 디자인을 통한 소비자와의 핵심 커뮤니케이션 시각언어에 대해 파악하고자하였다. 또한 시각언어를 통해 소비자 선호도를 높여 줄 수 있는 감기약 패키지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을 통해 패키지 디자인과 시각언어, 소비자 선호도의 관계성과 중요성을 파악하였으며 국내·외 감기약 패키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소비자 설문을 통해 직접적으로 연관성을 가지는 요소인 ‘효능·효과’, ‘용법·용량’과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셀링포인트’, ‘주의사항’, ‘특이사항’ 등으로 구분 하였으며 텍스트 기반 정보 표현 및 그래픽 기반 정보 표현으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감기약 패키지 디자인에 있어 특정인, 특정 상황, 특정 요소 등에 제한을 두지 않고 모든 사람들이 사용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면서 패키지를 통한 의약품 복약 지도, 안전한 사용과 선택을 위한 명확한 감기약 패키지 디자인 가이드라인 제정에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더 나아가 기업적 측면에서는 브랜드의 긍정적인 이미지 상승효과에 도움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
도시가계의 재무상태와 가계관리자의 재무스트레스가 경제적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효연(Hyo Yeon Shin),홍은실(Eun Sil Hong)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13 生活科學硏究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the urban households’ financial status and financial stress on the economic coping behavior of the household financial managers. For this study objective, household manager located in Gwangju, Incheon and Seoul metropolitan cities were collected. 338 copies out of 420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SPSS 18.0 program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counseling and information search behavior had the linear relationship with monthly average expenditure. 2) Planned expenditure behavior had the linear relationships with total debt and assets stress. 3) Borrowing behavior had the linear relationship with debt stress. 4) Postpone payment behavior had the linear relationships with expenditure stress, monthly average expenditure, monthly average income and total assets. 5) Saving purchase behavior had the linear relationships with housing-owning or n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