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차 세계대전 이후 중국 동북지역 한인 무장 단체의 무기

        신효승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03

        In 1920, Korean armed groups started a de facto war of independence against the Japanese Army, centering around North-eastern China. In the war of independence, the Korean armed groups could win in the entire area of Cheongsan-ri as well as the Battle of Bongo-dong against the Japanese Army’s overwhelming military strength. The Korean armed groups could win the Japanese Army because of the will to the recovery of the sovereignty, continued from the movement of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and as a result of preparation for the war of independence, e.g. Constructing a base of the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What was the most important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war was getting weapons. This study discussed what were the weapons the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carried at the Battle of Bongo-dong and in the entire area of Cheongsan-ri, examining the processes and sources in which the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got the weapons.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concrete routes of the acquisition of weapons through maps. Concerning the concrete kinds of weapons used by the Korean armed groups in Cheongsan-ri, this study investigated their reality through the so-called “spoliation” of the Japanese Army. The Korean armed groups active in North-eastern China after 1919, mainly, used Russian military rifle, ‘Mosin-Nagant.’ Along with this, this study examined where this Mosin- Nagant was produced and how it was introduced to North-East Asia. 1920년 한인 무장 단체는 중국 동북지역을 중심으로 일본 육군을 상대로 사실상 독립전쟁을 개시하였다. 독립전쟁에서 한인 무장 단체는 일본 육군의 압도적인 전력을 상대로 봉오동 전투를 비롯하여, 청산리 전역 등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한인 무장 단체가 일본 육군을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의병운동부터 이어진 국권회복의 의지였고, 이전부터 독립군 기지를 건설하는 등 독립전쟁을 준비한 결과였다. 전쟁 준비 과정에서 가장 주된 것은 무기를 입수하는 것이었다. 여기서는 독립군의 무기 입수 과정부터 그 출처까지 살펴봄으로써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역에서 독립군이 소지한 무기가 무엇이었는지 고찰하였다. 특히 무기 입수 과정에서는 구체적인 경로를 지도를 통해 살펴보았다. 청산리 전역 등에서 한인 무장 단체가 사용한 무기의 구체적 종류에 대해서는 일본 육군의 이른바 ‘노획’ 자료를 통해 그 실체를 규명하였다. 1919년 이후 중국 동북지역에서 활동하던 한인 무장 단체는 주로 러시아 군용 소총인 ‘모신나강’을 주로 사용했다. 더불어 이 모신나강을 어디에서 생산하였으며, 그것이 어떻게 동북아시아에 유입되었는지 그 과정을 세계사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 KCI등재

        청산리 전역과 절반의 작전

        신효승 역사실학회 2020 역사와실학 Vol.73 No.-

        It is very hard to distinguish facts in the war due to its characteristics. Nevertheless, the presence of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can be secured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armed struggle based on fragmentary information. And yet, due to the noise on the battlefield, regardless of their values, some may be excluded or briefly mentioned.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such contents. The Battle of Cheongsan-ri has been described, centering around North Route Army, etc. for the Independence fighters and centering around the Joseon Army, especially the Higashi Squadron, centering around for the Japanese Army. However, at the time, in the battlefield, there were many other fighters for independence, and North Manchuria Expeditionary Army dispatched from Kwantung Army also performed operations. Independence Army not known at all among the minorities far away from Cheongsan-ri at the time annihilated Japanese Army Scouts, and the Japanese Army organized Search Forces and put them in operations. These situations were briefly introduced as paragraphs in the Chinese newspaper articles at the time or very briefly mentioned in The History of the Dispatch of Troops to Jiandao, which were hardly known in the History of Korean Armed Independence Movement. In this sense, that was named a ‘half’ operation. This study considered this problem as interference by noise on the battlefield and judged that the crucial reason for that resulted from the evaluation of the Higashi Squadron as the hardcore unit of the Joseon Army in the Stage of Operation Entry to shed new light on the situations of the Independence Army of the time, focusing on the articles that briefly introduced that in the Chinese Newspaper Articles. Also, this study examined how the Japanese Army consumed the military force in this process and how that consequently led to a war of attrition. 전쟁은 그 특성상 사실 유무를 구분하기란 매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편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무장 투쟁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독립운동사의 현장성을 담보할 수 있다. 다만, 전장소음으로 그 가치와 관계없이 일부 제외되거나, 소략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는 그러한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청산리 대첩의 경우 독립군의 경우 북로군정서 등을 중심으로 서술되었고, 일본군의 경우 조선군 특히 히가시 지대를 중심으로 서술되었다. 하지만 당시 전투현장에는 그 외에도 많은 독립군이 있었고, 관동군에서 파견한 북만주 파견군 역시 작전을 수행하였다. 당시 청산리와 멀리 떨어진 소수분자에서는 전혀 알려지지 않은 독립군이 일본군 정찰대를 전멸시키고, 이에 일본군은 수색부대를 편성하여 작전에 투입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당시 중국 신문 기사에서 단편 기사로 간략히 소개되거나, 간도출병사(間島出兵史)(1926)에서 매우 소략되었고, 우리 무장 독립운동사에서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다. 그런 측면에서 절반의 작전이라고 이름하였다. 여기서는 이러한 문제를 전장잡음에 의한 간섭으로 보고, 그 결정적 이유가 기존 연구가 작전 투입 단계에서 조선군의 주력 부대를 히가시 지대로 평가한 결과라고 생각하여, 중국 신문 기사에서 간략히 소개된 기사를 중심으로 당시 독립군의 상황을 재조명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일본군이 어떻게 군사력을 소모하였고, 결국 소모전으로 이어지게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 KCI등재

        한말 군제 정비와 육군의 복장규칙 변화

        신효승 숭실사학회 2020 숭실사학 Vol.0 No.45

        개항 이후 조선은 군사력 증강을 위해 군비를 강화하였고, 군사제도를 개편하여 근대적인 군대 를 양성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군복 역시 양복의 형태로 정비하였다. 특히 갑오개혁 당시 대 한제국의 군사제도는 상당한 변화가 있었고, 이 과정에서 군복 규정도 그에 맞춰 새롭게 개정하였 다. 하지만 당시 대한제국 육군의 군복은 일본 육군의 병졸과 유사한 형태였고, 일본의 영향력이 강화될수록 이러한 상황은 더 심화되었다. 조선에서 서구식 군복을 활용하기 시작한 것은 1880년대 이후였지만, 규정으로 제정한 것은 1895년 ‘陸軍服裝規則’을 칙령으로 정한 이후였다. 당시 규정은 장교 중심의 복장규칙에 대한 것 이었다. 이 규정은 일본 육군이 1886년 개정한 군복 형태 중 장교 복장 규정과 달리 일본 육군의 조장 이하 병졸이 사용하는 복장을 사실상 차용한 것이었다. 아관파천 이후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군사제도를 정비하면서 육군의 복장 규칙 역시 개정하였 다. 이때 육군 복장 규정은 이전과 달리 일본 육군의 장교 복장과 유사한 형태로 바뀌었다. 피켈 하우베(Pickelhaube)식의 헬멧형 군모에서 캐피(kipe)형의 군모로 변경되었고, 상의 역시 싱글 브 레스티드식에서 팰리스 자켓(pelisse jacket)에 오스트리아 매듭으로 장식한 매듭 단추(frog fastener) 형태로 규정을 개정하였다. 하지만 1900년 이후 이전과 같은 일본 육군의 병졸과 같은 형태로 변경되었다. 군복이 군대의 정체성, 동질성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측면에서 일본의 의도는 분명하였다. 한말 ‘陸軍服裝 規則’의 개정은 점차 일본 육군에 종속적인 형태로 변질되고 있던 대한제국 육군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한말 육군의 정비는 대외 간섭에 배타적 주권을 위한 것보다 고종의 호위와 국내에서 일 어나고 있던 동학농민전쟁 등을 진압하는 것이 중심이었다. 이 과정에서 일본에 의해 군대는 점차 축소되고 변질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군인이 국권회복을 위해 의병활동에 참여하는 계기가 되었 다. 단순히 1907년 군대 해산 이후 정미의병만이 아닌 을미의병과 을사의병에도 해산 군인이 적 극적으로 참여했음을 의미한다. After the opening of a port, the Joseon Dynasty strengthened armaments for military reinforcement and would train the modern army by reorganizing the military system. In this process, military uniforms were also maintained in the form of Western clothes. Especially. At the time of the Gabo Reform of 1894,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Daehan Empire’s military system, and in this process, the rules on military uniforms, too, were newly revised accordingly. And yet, the military uniforms of the Imperial Korean Army at the time were in forms similar to those of the soldiers of the Japanese Army, and such a situation further deepened as the Japanese influence was strengthened. In the Joseon Dynasty, Western-style military uniforms began to be utilized after the 1880s, but they were enacted as rules after the “Rules on Army Uniforms” were adopted as an Imperial Order. The rules at the time were concerned with the rules of uniforms centered around the officers. The rules in fact borrowed the uniforms used by the ranks lower than Sergeant Major, unlike the rules on the officers’ uniforms in the forms of military uniforms revised by the Japanese Army in 1886. Since the Korea Royal Refuge at the Russian Legation, as Korea proclaimed the Foundation of the Daehan Empire and maintained the military system, it also revised the Rules on Army Uniforms. At this time, the Rules on Army Uniforms changed the army uniforms to forms similar to those of the officers’ uniforms of the Japanese Army, unlike previous ones. The rules were revised as follows: The military cap was changed from a Pickelhaube-style helmet type to kepi type, and the jacket was too changed from single-breasted type to frog fastener type on a Pelisse jacket decorated with Austrian knots frog fastener. However, after 1900, the uniforms were changed to those of the ranks in the Japanese Army like previous ones. In that the military uniforms had close relations with the identity and homogeneity of the military, Japan’s intention was clear. The revision of the Rules on Army Uniforms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showed the Imperial Korean Army that gradually deteriorated into the forms subordinate to the Japanese Army.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rmy maintenance was centered around the guard of King Gojong and the suppression of the Donghak Peasant War that took place in Korea, rather than for the sovereignty exclusive for interventionism abroad. In this process, the Korean military was gradually reduced and deteriorated by Japan. These changes became momentum for the soldiers to participate in the Civilian Army Activity for restoring national rights. This means that the disbanded soldier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Righteous Army Movement in the Years of Eulmi and Eulsa as well as that in the Year of Jeongmi.

      • KCI등재

        1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군사 전략 변화와 간도침략

        신효승 만주학회 2018 만주연구 Vol.- No.26

        Japan kept making wars in Northeast Asia. Japan’s made the wars to take the imperialistic hegemony in Northeast Asia. For this purpose, Japan established military strategies for the invasion of the Continent. However, as the international situations changed after the First World War, Japan modified its military strategies. Japan attempted to gain supremacy in the Pacific Region as well. However, Japan lacked military power to conduct its military strategies. Japan would make Siberia a buffer zone to cover for the military power. At the time, Japan encountered the Korean people’s resistance. The Korean people would establish an independent country on the Korean Peninsula. To do so, they built military bases outside the Peninsula as well. The Korean people expanded the range of their Independence Movement to overseas. Most of the Korean people’s overseas military bases were located in Gando. Gando was the link between Japan and Siberi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changes in Japan’s military strategies after the First World War.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Japan’s military strategies and the Japanese Army’s ‘Invasion of Gando’ in 1920. 1920년 청산리 전역과 경신참변으로 이어진 일본군의 간도침략은 일본의 대륙 침략의 과정이었다. 일본은 동북아에서 제국주의적 패권을 차지하기 위해 계속해서 전쟁을 일으켰다. 일본의 침략전쟁은 군사전략을 기반으로 하였고, 군사전략은 국제 정세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1차 세계대전을 전후한 국제 정세의 변동에 일본은 군사전략을 수정하였다. 일본은 대륙뿐만 아니라 태평양 방면으로도 진출하여 제국주의 패권을 장악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일본은 군사전략을 수행하기에 군사력이 부족하였다. 일본은 부족한 군사력을 보완하기 위해 완충지대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본은 한인의 저항에 직면하였다. 한인은 독립을 위해 국외에 독립군 기지를 건설하고, 상해에는 임시정부를 수립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인은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20년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독립전쟁을 추진하였고, 북간도의 독립군 역시 독립전쟁을 준비하였다. 이 과정에서 한인 무장 독립운동은 일본의 군사전략과 충돌하였다. 여기서는 1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군사전략 변화를 중심으로 1920년 ‘간도침략’ 준비과정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청산리 戰役의 전개 배경과 독립군의 작전

        신효승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6

        1920년 10월 독립군은 안도현으로 전투력을 보존하기위해 이동하던 도중에 추격하는 일본군과 조우하게 되었다. 독립군과 일본군은 청산리 일대 어랑촌을 중심으로 전투가 벌어졌고, 독립군은 일본군의 추격에서 벗어나 안도현 등지로 이동할 수 있었다. 이러한 독립군과 일본군의 활동은 청산리 지역 일대의 작전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여기서는 청산리 지역 일대의 작전환경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청산리 전역의 주요 전개 과정의 배경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청산리 지역은 산악지형에 조밀한 삼림이 형성되어 있었고, 기동이 가능한 도로망은 회랑형태로 되어있었다. 안도현 등과 연결된 도로는 어랑촌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지형적 요소가 청산리 전역의 전개 과정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독립군은 전투력을 보존하기 위해서 탈출할 수 있는 경로를 모색하였고, 일본군 역시 지역내 도로를 중심으로 예하부대를 광범위하게 배치하여 독립군의 탈출을 차단하면서, 독립군울 추격하기 위해 동분서주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일견 무질서 보이는 각각의 전투가 어떠한 맥락 하에 이뤄지게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작전적 중심에 해당하는 어랑촌 일대에서는 김좌진 부대와 東지대의 예비대가 조우하여 대규모 전투가 벌어졌다. 청산리 전역의 가장 핵심적인 전투는 어랑촌 전투였다. 어랑촌 일대는 지역내 도로망의 중심지역이기 때문에 독립군은 어랑촌을 중심으로 형성된 도로망을 이용하여 탈출로를 모색하였고, 일본군은 작전적 중심인 어랑촌에 거점을 마련하고 여기에 예비대를 배치하는 등 양측의 전력이 집중되었다. 그 결과 독립군은 어랑촌 전투에서 가장 큰 전과를 여기서 거둘 수 있었다. 이후 독립군은 분산되어 계속해서 탈출로를 모색하였다. 일본군 역시 독립군 부대를 추격하고자 하였으나 지형적 제약으로 인해서 병력을 광범위하게 분산배치하여 예비대를 제대로 확보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해 독립군 부대에 결정적인 타격을 가할 수 없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독립군은 안도현 일대로 탈출할 수 있었고, 청산리 전역은 종료되었다. In October 1920,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had encountered the pursuing Japanese troop while moving to the Ando County to preserve the strength. A battle ensued between them around the town of Eorang in the region of Cheongsanri, and the Independence Army was able to shake the pursuit afterwards to reach the Ando County. Such activities by the both armies had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operation environment of the entire region of Cheongsanri. This work has made analysis with the focus on the reg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examine the backgrounds of the major events of the Campaign of Cheongsanri. The Cheongsanri region especially had several dense forests formed all around its mountainous terrain, and the maneuverable road networks were consisted of corridors. The roads leading to Ando and other counties had been built around the Eorang Town. The effects of such topographical factors on the events of the Cheongsanri operation have also been examined.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sought an escape route to preserve the troops, whereas the Japanese Imperial Army, completely immersed in the pursuit, had deployed subordinate forces abroad on the regional roads to block the escape. The work also examines which context had led to the seemingly disordered battles in such settings. The especially major battle had taken place at the region around Eorang, which had been the strategic center, when the troop led by General Kim Jwa-jin encountered the Japanese reserve force. The core conflict of the Cheongsanri Campaign was the battle at the Eorang Town. Since Eorang was the center of the regional road network, the Independence Army attempted to use its roads to escape, while the Japanese Army chose it as the strategic center and the base to assign the reserve force, concentrating the battle strengths of the both parties. As the result,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was able to achieve its biggest victory in the battle at the Eorang Town. Afterwards the Independence Army had spread out in its continuous attempt for escape. The Japanese Army in turn tried to pursue but the terrain prevented proper securing of the reserve forces as they had been too widely distributed. Therefore it could not inflict any crucial blow to the Independence Army. In the end, the Independence Army had successfully escaped to the Ando County, and the Cheongsanri Campaign came to close.

      • KCI등재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사전략과 ‘陸軍臨時軍制’ 변화

        신효승 한국역사민속학회 2018 역사민속학 Vol.0 No.54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repared for war with Japan. The preparations for the war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ere to establish the Korean army extraordinary military system. The Korean army extraordinary military system includes the formation of the Korean interim government army. The Korean army extraordinary military system included the military system as a whole. The Korean army extraordinary military system can be used to confirm the specific military strategy that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t the time is designing. However,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changed the contents of the Korean army extraordinary military system around 1920. We added division units by changing the composition of the army. Changed the duties of the headquarters, local command, and military agencies. The change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was the main factor tha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changed the Korea Army Special Army System. And the change of the Japanese military was an important consideration. The change in military composition was fundamentally based on change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strateg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sought new strategie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 The new strateg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reflected in the Korean Army Special Forces Army. Therefore, the military strategy and historical situation of the interim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change of the Korean army extraordinary military system.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20년 ‘독립전쟁 원년’을 선포하고, 일본과 개전을 준비하였다. 국제 정세를 활용하여 일본이 주변국과 전쟁을 일으키면, 대일전쟁에 참전하여 독립을 쟁취한다는 전략이었다. 이러한 전략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에 정규군이 필요하였고, 이에 각지에 산재한 독립군을 복속시켜 정규군으로 전환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군사전략에 따라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20년 초 ‘大韓民國陸軍臨時軍制’를 발포하였고, ‘大韓民國陸軍臨時軍制’는 군대의 편성을 비롯해 군사 제도 전반을 포함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20년 이후에 ‘大韓民國陸軍臨時軍制’를 상당 부분을 변경하였다. 사단 편제를 신설하는 등 편성 전반을 변경하였고, 총사령부와 지방사령부 등 각 군사 기관의 임무 역시 변경하였다. 이것은 당시 국제 정세의 변동 등에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전략이 변화하면서 ‘大韓民國陸軍臨時軍制’에도 영향을 준 결과였다. 여기에는 개전 상대였던 일본군의 변화 역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대내외 상황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독립 전략을 모색하였고, 이것은 ‘大韓民國陸軍臨時軍制’에 반영되어 군사전략의 변화로 이어지게 된 것이었다. 따라서 ‘大韓民國陸軍臨時軍制’의 변화를 통해 당시 임시정부의 군사전략과 시대적 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1차 세계대전 직후 간도 한인 무장단체의 무기 도입 배경과 전략 변화

        신효승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4

        The Korean Armed Group in Gando prepared Independence War centering arou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in Shanghai after March 1 st Movement in 1919. At the time, the armed independence movement strategy was to achieve independence, participating if a war broke out against Japan as a member of the alliance, using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which the conflicts gradually deepened between the surrounding countries and Japan. For this purpose, the Korean Armed Group in Gando organized Independence Army and prepared a war for regular warfare. However,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in Shanghai had difficulty securing enormous funds for regular warfare. The Korean Armed Group in Gando built a base based on the local Korean community and trained Independence Army. The Korean community could not but be affected by the local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s. Gando was affected by the Fengtian Clique that politically dominated the region. Moreover, the residents union and thieves in the region threatened the security of the Korean community and showed enmity toward the introduction of weapons by the Independence Army. In this process, there was a clear limitation for the Koreans in Gando to continue private trade in the weapons market in China. Here, a sharp decline in the price of silver in China, inflation, and a steep decline in yuan since 1920 gave a decisive blow to the construction of a base of the Independence Army, and especially, the introduction of weapons, centering around Gando. It was desperately necessary for them to secure funds to keep on do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addition, it was necessary to create conditions for conducting a war against Japan, organizing the Army based on large-scale troops to conduct the Independence War. Such preparation for the Independence War encountered a limitation in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prepare funds for the Independence War to prepare supplies and weapons. The problem was that the local funds lost the impetus to continue the movement due to the sudden decline in the value of money. The plan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based on large-scale troops was recognized as a plan likely to realize immediately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However, changes in international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s demanded new plans, and in this process, it became the momentum of confirming the situation in which the Independence Movement could not be separated from capital elements. This became the momentum of seeking plans in new forms, like Kim Won-Bong’s Euiyeoldan Organization and its activities and Park Eun-Shik’s “Joseon Revolution Declaration” in the subsequent Armed Independence Movement plans. 1919년 3․1운동 이후 간도 한인 무장단체는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독립전쟁을 준비하였다. 당시 무장 독립운동 전략은 주변국과 일본 간의 대립이 점차 심화하고 있는 국제정세를 활용하여 일본을 상대로 전쟁이 일어나면 동맹의 일원으로 참가하여 독립을 쟁취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간도 한인 무장단체는 독립군을 편성하고 정규전에 대비하여 전쟁을 준비하였다. 하지만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정규전에대비한 막대한 재정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간도 한인 무장단체는 지역 한인 사회를 기반으로 기지를 건설하고 독립군을 양성하였다. 한인 사회는 지역의 정치, 경제 상황 등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간도의 경우 정치적으로 지역을 장악한 펑톈군벌의 영향을 받았다. 더불어 지역 내 민단과 도적떼 등은 한인 사회의 안전을 위협하고, 독립군의무기 도입을 적대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간도 한인이 중국의 무기 시장에서 사적 거래를 계속 이어가는 것은 그 한계가 분명하였다. 여기에 1920 년 이후 중국 내 급격한 은 가격의 하락과 물가의 상승 그리고 중국 위안폭락 등은 간도를 중심으로 한 독립군 기지 건설 특히 무기 도입에 결정적 타격을 주었다. 독립운동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재정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었다. 여기에 독립전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병력을 기반으로 군대를 편성하여 대일전쟁을 수행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독립전쟁 준비는 보급 및 무기 마련을 위한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해야한다는 한계에 직면하였다. 문제는 현지 자금이 화폐 가치의 폭락으로 운동을 이어갈 수 있는 추동력을 상실했다는 점이었다. 대규모 병력에 기반한 독립전쟁 방략은 1919년 3․1운동 직후 실현 가능성이 높은 독립운동방략으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국제 정세와 경제 상황의 변화는 새로운 방략을 요구하였고, 이 과정에서 독립운동 자체가 자본적 요소와 분리될 수 없는 상황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것은 이후 무장 독립운동 방략에서 김원봉의 의열단 조직과 활동 그리고 박은식의 「조선혁명선언」 등 새로운 형태로 방략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러일전쟁 이후 일본 육군의 人事 積滯와 조선 주둔 일본 육군의 功勳 경쟁

        신효승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7

        Following the Russo-Japanese War, the Japanese Army entered World War I and actively sought to expand its military capabilities amid deteriorating domestic economic conditions and military spending pressures. In the process, the Japanese Army was no longer the army it had been during the Meiji Restoration. It was a military power with 19 infantry divisions that could be deployed overseas at any time. Japan used its military to occupy and maintain control of key countries in Northeast Asia, including the Korean Empire. Japanese Army officers were central to maintaining and leading this military power. The Japanese Army insisted on expanding military spending as a guarantee of its own security and well-being, or national defense, amid fluctuations in international affairs. In doing so, the Japanese Army aggressively pursued quantitative expansion and increased the number of units. As the number of units increased, the size of the Japanese Army exploded. However, as the economic situation deteriorated after the Russo-Japanese War, and government finances entered austerity, the Japanese Army wanted to keep turning the pedals on the bicycle as a guarantee of security. Like a bicycle that falls over when you stop pedaling, the Japanese Army desperately tried to expand its military. This expansion had reached the point of collapsing the government's cabinet, but the brakes no longer existed in Japan to stop it. The Japanese Army made attempts to address the personnel deficit, such as adding two new divisions, but these were largely unsuccessful. Gradually, the human structure of the Japanese Army became senile and disintegrat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was predicted that a restructuring would be carried out sooner or later, as public opinion in Japan and abroad was in favor of disarmament, and reform discussions within the military were underway due to the impact of World War II. In this situation, the only option for officers who had become accustomed to the military was to further immerse themselves in competition, which in the case of the Japanese Army stationed in Korea led to repression and war against Kansai. 러일전쟁 이후 일본 국내의 경제상황 악화와 군사비 압박 속에서 일본육군은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참전하여 적극적으로 군비 확장을 모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본 육군은 더 이상 메이지 유신 당시의 군대가 아니었다. 상시 국외 파병이 가능한 19개 보병사단을 보유한 군사 대국이었다. 일본은 군대를 기반으로 대한제국을 비롯하여 동북아시아 주요 국가를 점령하고, 지배력을 유지하기 위해 군대가 주둔하였다. 여기서 일본육군 장교는 군사대국 일본을 유지하고 이끌어가는 중심이었다. 일본 육군은 국제정세의 변동 속에서 자국의 안보와 안녕, 즉 국방을 담보로 군사비의 확장을 주장하였다. 이를 통해 일본 육군은 적극적으로 양적 확대를 추진하였고, 부대 수를 늘려갔다. 부대 수가 늘어가면서 일본 육군의 규모 역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하지만 러일전쟁 이후 경제 상황이 악화되고, 정부 재정이 긴축 정책에 들어가면서 일본 육군은 안보를 담보로 자전거의 페달을 계속 돌리고자 하였다. 마치 페달을 멈추면 넘어지는 자전거처럼 필사적으로 일본 육군은 군비 확장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확장 시도는 정부 내각을 붕괴시키는 지경에 이르렀지만, 더 이상 이를 억제할 수 있는 브레이크가 일본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일본 육군은 인사 적체를 해소하기 위해 2개 사단 증설 등의 시도를 하였지만, 대부분이 미봉책이었다. 점차 일본 육군의 인적 구조가 노쇠해지고, 그로 인해 붕괴되어 가는 과정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국 내외에서 군축에 대한 여론과 세계대전의 충격에 의한 군 내부의 개혁논의가 진행되면서 구조조정이 조만간 단행되리라는 것이 예측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군에 천착한 장교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경쟁에 더욱 몰두하는 것 뿐이었다. 결국 이러한 경쟁은 조선 주둔 일본 육군의 경우 간도에 대한 탄압과 전쟁으로 이어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