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장애 공연에 나타난 서사정보의 극화(Dramatization) 양식―음악극 <합 체>(2022)를 중심으로

        신홍주 한국극예술학회 2022 한국극예술연구 Vol.- No.77

        기존의 무장애 공연에서 자막과 수어, 음성해설은 모두 메타적 텍스트라는 점에서 일정한 소격효과를 발휘한다. 반면, 무장애 음악극을 표방한 <합 체>(2022)는 수어와 음성해설을 공연의 일부로 극화(劇化, Dramatization)하여 관객의 몰입도를 높인다. 서사정보를 시각화하는 수어 통역은 이중연기를 통해, 서사정보를 청각화하는 음성해설은 해설자의 인격화를 통해 극화된다. 이중연기는 비장애인 뮤지컬 배우와 함께 무대에 오른 수어 통역 배우가 실시간 통역은 물론 안무와 연기를 공유하며 공감각적 전이를 경험하게 한다. 2인 1역의 일체감은 등장인물에 대한 전형화된 이미지나 핵심 정보를 집약하는 상징기호를 통해 구현된다. 한편, 음성해설은 라디오 DJ로 인격화된 해설자가 무대공간과 사건 및 등장인물의 몸짓과 심리를 전지적 시점에서 전달하는 방식으로 극화된다. 원작소설과 음악극의 상호매체성은 음성해설에 내재된 텍스트성과 매체성의 경합을 통해 시각정보로 온전히 환원되지 않는 고유한 미적 체험을 제공한다. <합 체>는 서사정보의 극화를 통해 장애인의 문화 향유권이라는 기능적 층위 너머 극예술적 표현의 지평을 넓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VR 애니메이션의 액자구성 연구

        신홍주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8 애니메이션연구 Vol.14 No.4

        This study identifies the functions and semantic effects of the framed narrative in VR animation through analyzing examplary works. In the experience of VR contents, paratext is relatively weakened when compared to the experience of watching movies, resulting in the abrupt transition from the real world to the virtual world.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telepresence and the nature of the ‘original experience’-the former a characteristic of VR medium and the latter, of VR animation-heightens the threshold of the virual world. Therefore, the framed narrative serves as a strategy to supplement the reduced paratext, as it provides a buffer zone that smooths out the transition from the real world to the virtual world. This study classified the framed narrative into the integrated type and the insertion type, depending on whether it is possible to reconstruct external stories and internal stories according to spatio-temporal continuity. According to the above discussion, Pearl(2016) represents the integrated type and Planet of the Couches (2016) represents the insertion type. The framed narrative of Pearl contributes to the themes of family love and the circle of life, by strengthening spatiality of the work in conjunction with telepresence characteristic of VR. On the other hand, the framed narrative of Planet of the Couches serves as a device emphasizing the conversion of its medium format from screen-based animation to VR animation. In both works, the framed narrative works as a measure making up for the weakening of paratext; but the difference is that, in Planet of the Couches, which lacks the framing story in its ending unlike in Pearl , the narrative function of the frame is relatively, yet significantly, diminished. This study bear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how the framed narrative is implemented in VR animation in relation to its medium and genre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VR 애니메이션에서 액자구성이 가상세계로의 전환을 원활하게 하는 완충지대로서 어떤 기능과 의미효과를 발휘하는지 구체적 사례분석을 통해 규명한 것이다. VR 콘텐츠의 체험에서는 영화 감상과 달리파라텍스트(paratext)가 약화되므로 현실세계에서 가상세계로의 이행이 급격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VR 매체의특징으로 꼽히는 원격현전(遠隔現前, telepresence)과 VR 애니메이션의 장르적 특징인 ‘원본 없는 경험’의 성격은 가상세계로 향하는 문턱을 더욱 높인다. 액자구성은 VR 애니메이션에서 파라텍스트의 약화에 대한 보완책으로 기능하여 현실세계와 가상세계 사이의 단절감을 완화시킨다. 액자구성은 외부이야기와 내부이야기 사이에 시공간적 연속성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사건의 시공간적 재구성이 가능한 경우 통합형, 불가능한 경우 삽입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통합형 액자구성과 삽입형 액자구성을 대표하는 사례로 각각 <펄(Pearl)>(2016)과 <소파혹성(Planet of the Couches)>(2016)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펄>의 액자구성은 원격현전이라는 VR 매체의 특성과 결합하여 공간화된 캐릭터를 부각시킴으로써 주제의식을 강화한다. 한편, <소파혹성>은 스크린 기반 애니메이션에서 VR 애니메이션으로의 변환이 액자구성을 통해 대비를 이룬다. 두 작품의액자구성은 공통적으로 가상세계로의 진입을 완만하게 하지만, <펄>과 달리 결말의 외부이야기가 부재하는 <소파혹성>에서 액자구성의 서사적 기능은 상대적으로 약화된다. 본 연구는 VR의 예술 형식에 대한 다양한 탐구와실험이 이뤄지는 현단계에서, 액자구성이 VR 애니메이션의 매체적·장르적 특성과 연동하여 어떻게 구현되는지고찰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360도 영상에 나타난 공간분할의 미학 연구

        신홍주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9 애니메이션연구 Vol.15 No.1

        A 360 degree video is made by passing through a process called ‘stitching’, which is a process where images captured on two or more camera lenses are stitched together. Usually, 360 degree videos attempt to enhance the user’s immersion by hiding the stitched part, but sometimes the technical condition of the medium is revealed by uncovering the stitched p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aesthetics of spatial division and its semantic effect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echnical condition of stitching in 360 degree videos. This study begins by examin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vision in 360 degree videos, followed by the analysis of the exemplary works such as Nescafe’s advertisement, Good Morning World, the movie, Time Paradox, and the trailer video, Isle of Dogs: behind the Scenes. Although the form of the object of analysis varies, I have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form at the present stage, where the case of spatial division is absolutely insufficient, is lesser than the common features of the medium shared among the 360 degree video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pace division reinforces storytelling through the juxtaposition of various spaces and events. Second, the spatial partitioning restores the tension between the inner screen space and the outer screen space in 360 degree videos with nonᐨfixed frames. Third, spatial segmentation self ᐨ reflects the technological condition of stitching as well as the limited viewing angle in 360 degree videos. This study has a weakness in that it does not deal with enough number of cases of spatial division as object of its analysis.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art form of 360 degree videos is a currently rising art form, it still has a lot to offer as it presents space division as the storytelling method specialized for 360 degree videos based on the technical condition of the medium. 360도 영상은 두 개 이상의 카메라 렌즈에 찍힌 영상을 이어붙이는 ‘스티칭(stitching)’ 공정을 거친다. 360도영상 대부분은 스티칭한 부분을 감춰 이용자의 몰입감을 높이려 하지만, 스티칭한 부분을 오히려 노출시켜 매체의 제작 공정을 환기시키는 사례들이 존재한다. 이 연구는 360도 영상에서 스티칭이라는 기술적 조건에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공간분할의 미학과 그 의미효과를 구체적 사례분석을 통해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우선 영화의 화면분할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360도 영상의 공간분할에 나타나는 미학적 특징을 고찰했다. 이에 기반하여, 네스카페의 광고 <좋은 아침입니다(Good Morning World)>(2015), 영화 <타임 패러독스>(2015), 애니메이션 <개들의 섬(Isle of Dogs)>(2018)의 트레일러 영상인 <개들의 섬: 제작 뒷이야기(Isle of Dogs: Behind the Scenes)>를 검토했다. 분석 대상의 형식이 다양하지만, 사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 단계에서 형식의 차이가 360도 영상의 매체적 동일성을 압도하지는 않는다고 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분할은 다양한 공간과 사건의 병치를 통해 스토리텔링의 비선형성을 강화시킨다. 둘째, 프레임이 고정되지 않는 360도 영상에서 공간분할은 내화면 공간과 외화면 공간의 긴장관계를 복원시킨다. 셋째, 공간분할은 360도 영상에서 스티칭이라는 기술적 조건을 통해 인공적으로 구축된 공간의 허구성을 자기반영적으로 제시한다. 이 연구는 VR 대중화의 초기 단계에서 360도 영상의 공간분할 사례가 충분치 않은 가운데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360도 영상의 예술형식에 대한 탐구와 모색이 거듭되는 현시점에서, 매체의 기술적 조건에 기반하여 공간분할을 360도 영상에 특화된 스토리텔링 방식의 하나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메타버스 내 다크패턴 디자인 유형 연구

        신홍주,윤 재 영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3 No.-

        This study aimed to deal with ethical issues such as user manipulati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amage that may occur in the metaverse, and these issues could be designed through dark pattern desig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cases and categorize types of dark pattern design that can be raised in the metaverse. For this purpose, we designed the dark pattern design selection criteria in the metaverse and explored cases through the selected platform. The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visual directional guidance' and 'default forced advertising' that can occur in the virtual space of the metaverse were derived. Next, there are 'easy to tag viewing', 'forced sharing of avatars (infringement of portrait rights)' and 'metaverse stalking' types that can occur through avatars, which are the main agents of metaverse activities, Lastly, the 'disguise of profit with game currency', 'presenter designation by unilateral', and 'user offers subscription to user' types were derived, which can penetrate beyond the virtual space into the real space. The eight detailed types included not only the types induced by companies, but also the types induced by users. Furthermore, contrary to the initial design intention, types that cause negative results were also found. Based o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research on design ethics in the metaverse can be conducted more actively and that it can be developed into a user-friendly metaverse. 본 연구는 메타버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조종, 심리 및 감정적 피해 등의 윤리적 문제를 다루고자하였으며, 이러한 문제는 다크패턴 디자인을 통해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메타버스에서 제기할 수 있는 다크패턴 디자인 사례를 도출하고, 이를 유형화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메타버스 내 다크패턴 디자인 선정 기준을 설계하고, 선정한 플랫폼을 통해 사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각적 방향 유도’유형과 ‘디폴트 강제 광고’유형이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메타버스 활동의 주체인 아바타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손쉬운 태그 보기’, ‘아바타 강제 공유(초상권 침해)’, ‘메타버스 스토킹’유형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가상공간을 넘어 현실공간까지 침투할 수 있는 ‘게임 화폐로 수익 위장’유형과 ‘일방적인 발표자 지정’, ‘사용자가 사용자에게 구독 제안’유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8가지 세부 유형에는 기업이 사용자를 유도하는 유형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사용자를 유도하는 유형도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초기 설계 의도와 달리 부정적 결과를 유발하는 유형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메타버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디자인 윤리 연구가 보다 활발히 진행될 수 있기를 바라며, 사용자를 위한 메타버스로 발전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메타버스 사용자의 아바타 형성 과정 변화 연구 - 형태적, 심리적 요인 간 관계를 중심으로 -

        신홍주,신미규,윤현민,윤재영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1 No.5

        본 연구는 메타버스에서 사용자의 경험(심리적·상황적)에 따라 변화하는 아 바타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메타버스 아바타를 구성하는 주요 요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메타버스 아바타의 형태적 요인 (사실 적, 이상적, 비현실적)과 심리적 요인(동일성, 관계의식성, 몰입성)을 도출하 여본연구를설계했다.본연구의범위를사람형태아바타를제공하며, 소통 서비스를 주로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한정하였다. 이후 메타버스를 이 용해 본 10-50대를 대상으로 이용 형태와 몰입성/동일성, 관계의식성에 대 한 질문을 하였다. 연구 결과, 1)이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이상적, 비현실적 아바타를 이용하고, 이상적, 비현실적으로 향할수록 아바타에 대한 애착이 높아졌으며, 플랫폼 내 활동 범위가 넓어졌다. 이때, 청소년 아바타의 형태 범위가 보다 넓게 나타났다. 2)아바타를 사용자 ‘본인’과 동일시할수록 대인 관계를 의식하였으며, 사실적, 이상적 아바타를 이용하였다. 반대로 ‘아바타’ 로 인식할수록 자기관계를 의식하였으며, 이상적, 비현실적 아바타를 이용 하였다. 3)메타버스의 트렌드는 현실 세계 트렌드의 영향을 받고 있었고, 주로 이상적, 비현실적 아바타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트렌드의 영향을 많 이 받았다.

      • KCI등재

        식도암에 있어서 식도 절제술 및 재건술 후 문합 위치와 방법에 따른 문합 부위 누출과 협착

        신홍주,김종욱,박순익,김용희,김동관,박승일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3

        배경: 식도암 수술에 있어서 문합 부위 합병증의 발생은 문합 방법이나 위치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식도암으로 식도절제 및 식도재건술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문합 방법 및 위치와 누출 또는 협착 발생과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8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식도암으로 식도재건술을 시행 받은 3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문합 방법, 문합 위치, 합병증의 발생에 대해 조사하였다. 환자군의 평균 연령은 64.5 4.9세(37∼94세)였고, 성비는 남자 300명(93.5%), 여자 21명(6.5%)이었다. 결과: 문합부위의 누출은 7예(2.2%)에서 발생하였다. 부위별로는 경부 문합에서 3예(4.1%), 흉부 문합에서 4예(1.6%)로 문합 위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문합 방법은 stapler 봉합을 한 경우에서 4예(1.6%), semi-stapler 봉합을 한 경우에서 3예(9.1%), 수봉합한 경우는 0예(0.0%)로 문합 방법에 따른 누출의 차이가 없었다. 문합 부위의 협착은 52예(16.2%)에서 발생하였고, 부위별로는 경부 문합에서 2예(2.7%), 흉부 문합에서 50예(20.2%)로 문합 위치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p<0.001). 문합 방법별로는 stapler 봉합이 49예(20.0%), semi-stapler 봉합 1예(3.0%), 수봉합 2예(4.7%)로 stapler 봉합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결론: 식도암 환자의 식도재건술에 있어서 문합 방법은 문합 부위 누출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문합 부위의 협착과 관련하여 stapler 봉합은 semi-stapler 봉합 및 수봉합보다 높은 빈도로 협착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stapler 문합 시 협착을 줄이기 위해서는 문합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좌심실에 발생한 심장 섬유종

        신홍주,박정준,서동만,박인숙,고재곤,김영휘,김정선 대한흉부외과학회 200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7 No.3

        A 9-month-old male infant was admitted for evaluation of incidentally noticed cardiac mass. The patient had no symptoms and there was no hemodynamic abnormality. Echocardiographic finding showed a huge left ventricular free wall mural mass, which did not obstruct the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Maximal excision of the left ventricular free wall mass was performed. The pathologic finding revealed cardiac fibroma. During the 7-month of follow-up after surgery, there was no evidence of arrhythmia or tumor recurrence. 9개월 된 남환이 우연히 발견된 심장 종괴 때문에 내원하였다. 환자는 특별한 증상은 없었으며, 혈역학적 이상 증상도 없었다. 심초음파 검사상 상당히 커다란 좌심실 자유벽의 종괴가 보였으며, 그 종괴는 좌심실 유출로를 막고 있지는 않았다. 좌심실 자유벽 종괴를 최대한 절제하였고, 병리학적 진단은 심장 섬유종이었다. 수술 후 7개월 간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부정맥이나 종양의 재발은 보이지 않고 있다.

      • KCI등재

        하대정맥, 우심실에 연장된 정맥내 평활근종증의 성공적 절제

        신홍주,송광재,함시영,송명근,김영탁,서준범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6

        Abdominal tumors that can grow through vascular lumen and spread to the right heart are rare. Intravenous leiomyomatosis is a rare tumor that originates from the uterus and spreads through the vessels. Although histologically benign, tumor extension with mechanical obstruction of the inferior vena cava, right cardiac cavities, or even the pulmonary artery, may occasionally result in fatal outcome. The best treatment is complete surgical resection of the entire tumor using cardiopulmonary bypass and total circulation arrest. We report a case of intravenous leiomyomatosis of the uterus that showed intravascular growth up to the right atrium. The patient underwent successful resection of the tumor by one-stage cardiotomy with laparotomy. 복강내 종양이 혈관을 통해 전이될 수는 있으나 우심장까지 침범되는 경우는 드물다. 자궁에서 기원하는 정맥내 평활근종증은 매우 드물며 조직학적으로는 양성이지만 임상적으로는 하대 정맥, 우심장 또는 폐동맥의 폐쇄를 동반함으로써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질환이다. 치료 방법은 심폐 순환기를 통한 완전 순환정지하에 종괴를 완전절제하는 것이다. 자궁에서 기원한 정맥내 평활근종증을 개복술과 개심술을 이용해 일차 수술로 성공적으로 치유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