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과 로봇의 도덕성 판단, 마음지각과 불멸지각의 관계

        신홍임,신홍임 한국감성과학회 2023 감성과학 Vol.26 No.3

        The term and concept of “immortality” has garnered a considerable amount of attention worldwide. However, research on this topic is lacking, and the question of when the mind of a deceased individual survives death has yet to be answered.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ether morality and mind perception of the dead correlate with immortality. Study 1 measures the perceived immortality of people, who were good or evil in life.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ceived morality is related with the perceived immortality. Moreover, participants indicated the extent to which each person had maintained a degree of morality and agency/experience of the mind. Therefore, morality and mind perception toward a person are related to perceived immortality. In Study 2,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ad three essays on robots (good, evil, and nonmoral), and had to indicate the extent to which each robot maintains a degree of immortality, morality, and agency/experience of the mind. The results show that good spirits of a robot are related to higher scores of mind perception toward the robot, resulting in increasing tendency of perceived immortality.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that the morality of humans and robots ca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 perception and immortality. This work extends on previous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of social robots for overcoming difficulties in human-robot interaction.

      • KCI등재

        자율주행차와 윤리적 의사결정: 누가 사는 것이 더 합당한가?

        신홍임 한국감성과학회 2019 감성과학 Vol.22 No.4

        The reduction of traffic accidents is a primary potential benefit of autonomous vehicles (AVs). However, the prevalence of AVs also arouses a key question: to what extent should a human wrest control back from AVs? Specifically, in an unavoidable situation of emergency, should an AV be able to decide between the safety of its own passengers and endangered pedestrians? Should AV programming include well-accepted decision rules about actionsto take in hypothetical situations? The current study (N = 103) examined individual/situational variables that could perform critical decision-making roles in AV related traffic accidents. The individual variable of attitudes toward AVs was assessed using the Self-driving Car Acceptance Scale. To investigate situational influences on decisional processes, the study’s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the achievement value was activated in one group and the benevolence value was triggered in the other through the use of a sentence completion task. Thereafter,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indicate who should be protected from injury: the passengers of the concerned AV, or endangered pedestrians. Participants were also asked to record the extent to which they intended to buy an AV programmed to decide in favor of the greater good according to Utilitarian principl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participants in the “achievement value: driver perspective” groupexpressed the lowest willingness to sacrifice themselves to save several pedestrians in an unavoidable traffic accident. This group of participants was also the most reluctant to buy an AV programmed with utilitarian rules, even 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members’ acceptance of AVs and their expressed intention to purchase one.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role of the decisional processes involved in the “achievement value” pertaining to AVs. The paper finally records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자율주행차는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반면, 기계에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허용해야 할 것인 지의 문제를 제기한다. 특히 돌발상황의 발생시에 운전자와 보행자 중에서 누구를 선택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의사 결정은 모두가 합당하다고 생각하는 도덕적 원칙을 기반으로 일관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N = 103)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자율주행차의 윤리적 의사결정을 프로그래밍한다고 가정했을 때,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끼칠 수 있 는 개인적/상황적 변인을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개인적 변인으로서 참가자의 자율주행차의 자동화 기술에 대한 수 용도를 측정한 후, 상황적 변인으로 문장완성과제를 통해 참가자에게 성취 또는 배려의 가치를 활성화시켰다. 이후 자율주행차의 사고상황에서 공리주의 의사결정의 비율 및 자율주행차 구매의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설문지를 통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연구참가자에게 성취의 가치를 활성화시켰을 때, 자신이 차 안의 운전자로 가정된 상황에서 다수의 보행자를 배려하는 공리주의 의사결정의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연구참가자가 자율자동차 기술을 긍정적으로 생각할수록 공리주의 원칙으로 설계된 자율주행차의 구매의향이 전반적으로 높았지만, 성취-운전자 조 건에서 참가자의 구매의향이 다른 조건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자율주행차의 사고상황에서 의사결 정의 과정이 개인적 변인뿐만 아니라 특정 상황에서 활성화된 가치 및 관점의 차이에 따라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논의에서는 연구결과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방향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자발적 과제전환의 이득 효과

        신홍임,김민식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3 No.3

        This study examined benefits of voluntary task switching compared to non-voluntary task switching. Participants(N=33) performed number tasks, in which they decided whether a number is bigger than 5. In the condition of voluntary task switching, two numbers were always presented simultaneously in English and in Korean. The participants needed to choose just one number voluntarily. In the condition of non-voluntary task switching, the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react only to the cued number of the two presented numbers. We hypothesized that no asymmetric switch costs would be observed in the voluntary task switching, if the selection of random task sequences inhibits the interference from the previously performed task. In addition, we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ies and switch costs. The results showed that no asymmetric switch costs for error rates were observed in the voluntary task switching, while asymmetric costs for error rat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non-voluntary task switching. Additionally, the working memory capacities and switch cos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hich indicated the importance of inhibition of irrelevant information for effective multitasking. Implications of the outcomes for task switching are discussed. 두 가지의 상이한 과제수행에서 나타나는 비대칭적 전환손실은 과제간섭으로 인한 손실을 알 수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제간섭손실이 실험참가자의 자발적인 과제전환을 통해 감소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과제전환손실을 자발적 과제전환과 비자발적 과제전환의 패러다임을 토대로 비교하고, 과제전환손실과 작업기억용량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참가자(N=33)에게 한국어 또는 영어로 숫자과제를 제시한 후, 자발적 과제전환에서는 매 시행마다 두 가지의 과제 중 한 과제를 우연의 순서에 따라 스스로 선택하여 수행하도록 하고, 비자발적 과제전환에서는 두 가지의 과제 중 외부로부터 단서로 제시되는 특정과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였다. 실험결과에서는 자발적 과제전환의 조건에서 비자발적 과제전환의 조건보다 전반적으로 오답율이 낮았으며, 오답율에 대한 비대칭적 전환손실이 자발적 과제전환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것은 자발적 과제전환에서 매 시행마다 과제를 무선적으로 선택하도록 했을 때, 이전 과제가 현재 수행하는 과제에 끼치는 영향이 최소화되어, 비자발적 과제전환에 비해 과제간섭손실이 적어짐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과제전환손실과 작업기억용량의 부적 상관관계가 유의하여, 작업기억용량이 적을수록 과제전환손실이 크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현재 과제의 수행에 불필요한 정보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능력이 과제수행도에 중요함을 보여준다. 후속연구에서는 과제전환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더 심층적인 탐색을 통해 다양한 과제수행의 상황에서 성공적인 과제수행을 위해 필요한 요인들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타인의 고통에 대한 도덕적 의사결정의 개인차: 타인 조망수용과 인지유형

        신홍임 한국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4 No.3

        Recent work in moral psychology is focused on questions about utilitarianism (i.e., saving more people’s lives) and deontology (i.e., disapproving of sacrificing one person for the greater good of others). This study aimed to answer two questions. First, which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al and cognitive processes have a critical impact on utilitarian and deontological judgments? Second, do cognitive styles facilitate a specific moral judgment? In Study 1, various moral dilemma scenarios were presented and the participants had to indicate how morally appropriate it would be for them to kill one person to save others. In addition, they comple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regarding empathic empathic concern, perspective-taking, need for cognition and moral identity.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with preferences for utilitarian judgments showed lower perspective-taking than other participants. In Study 2, the findings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verbalizer-visualizer cognitive styles and utilitarian judgments. The visualizer cognitive styles showed reduced utilitarian judgments. These results implicated the possibility that reduced empathy (i.e. perspective taking) and the verbalizer cognitive style regulated the automatic emotional process and resulted in increased utilitarian judgement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work were discussed. 최근 도덕심리학에서는 다수의 이득을 극대화하려는 공리주의적 결정과 소수의 희생일지라도 무고한 개인을 희생시키는 것에 반대하는 의무론적 결정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위해의 상황에서 인지적/정서적 측면의 개인차가 개인들의 윤리적 의사결정에 끼치는 영향을 비교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참가자들에게 다양한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한 글을 제시하고, 주인공의 행동이 도덕적으로 적절하다고 판단하는 정도를 찬성/반대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또한 개인의 타인조망수용과 타인에 대한 공감적 염려를 자기보고식 질문지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개인적/비개인적 상황에서 모두 공리주의적 결정을 선호하는 집단에서 타인조망수용의 경향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연구2에서는 윤리적 의사결정과 인지유형(어휘적 표상 vs. 시각적 심상)의 개인차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시각적 표상경향이 높을수록 공리주의적 결정이 낮아지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윤리적 갈등상황에서 정서와 인지가 개입하는 과정을 토론하였고,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의 방향에 대해 다루었다.

      • KCI등재

        이 세상에 내 고양이만 있으면: 외로움이 의인화 및 비인간화에 주는 영향

        신홍임 한국감성과학회 2020 감성과학 Vol.23 No.2

        Loneliness is an unpleasant experience due to the human need for social connection. Anthropomorphism is the attribution of human traits, emotions, and intentions to nonhuman entities. The inverse process of anthropomorphism is dehumanization in which individuals treat humans like animals or objects.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relationships exist among loneliness, anthropomorphism, and dehumanization. In Study 1, loneliness was measured via self-reports, and an anthropomorphism task was introduced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subjective experiences of loneliness related to the tendency to describe nonhuman agents with humanlik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lonelier participants attributed more humanlike capacities to computers and cats. Study 2 examined whether significant differences emerged in anthropomorphism and dehumaniz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condition of loneliness and the control condition. After having been induced to the emotion of loneliness using an experimental writing task, the participants tended to perceive nonhuman agents to be more humanlike in the condition of loneliness than in the control condition. Moreover, there was a stronger tendency of dehumanization toward other humans in the condition of loneliness than in the control condition. There was also higher levels of negatively biased perceptions of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This scenario implies that anthropomorphism is related to sociality motivation, which is the need for social connection through establishing bonds with nonhumans, and may result in the dehumanization and emotional experiences of other humans. 외로움은 사회적 연결 욕구가 충족되지 못할 때 갖게 되는 고통스러운 경험이다. 의인화는 동물이나 무생물(예: 컴퓨터) 에게 인간의 속성을 부여하는 것인데 비해, 비인간화(dehumanization)는 의인화와 반대되는 과정으로서, 인간을 동물이나 무생물로 인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로움, 사회적 연결욕구 및 의인화의 관계를 분석하고, 외로움이 의인화, 외집단의 비인간화에 끼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1에서는 외로움, 사회적 연결욕구 및 의인화의 관계를 분석하 고자 외로움 질문지와 의인화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참가자가 외로움을 강하게 느낄수록 컴퓨터와 동물에 대한 의인화의 경향이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실험상황에서 작문과제를 통해 연구참가자들에게 외로움의 정서를 유도한 후, 통제조건에 비해 의인화, 비인간화의 경향 및 이웃에 대한 신뢰감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외로움의 조건에서 통제조건보다 의인화, 비인간화 및 이웃에 대한 부정적 정서가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동물과 무생물에 대한 의인화는 외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연결욕구와 관계가 있으며, 외로움은 다른 인간에 대한 비인간화 및 이웃에 대한 비호감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미니멀리즘, 사회적 가치와 행복의 관계

        신홍임 한국감성과학회 2022 감성과학 Vol.25 No.4

        Minimalism is an increasingly popular lifestyle in which people deliberately seek to live with fewer possessions. However, little scientific research has been don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minimalism, social value, and happiness. Two recent studies have investigated whether critical components of minimalism, such as subtraction and decluttering could lead to changes in social values and happiness. In Study 1, the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pictures of unstable Lego structures for which they were asked to create ideas to resolve problems, either through adding new supports or removing the existing ones. Participants with a stronger tendency to use subtractive transformations reported higher happiness scores. In addition, higher scores in intrinsic value preferences were correlated with higher levels of happiness. In Study 2, cuing minimalism or consumerism using pictures led to changes in materialistic values, motivation for social engagement, and reported happiness scores. These results imply that minimalism as an alternative lifestyle can contribute to social wellbeing and increased happines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최근 주목받고 있는 미니멀리즘은 더 적은 소유에 대해 심사숙고하는 삶의 방식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미니멀리즘의 이득에 대해 학문적으로 검증한 연구가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미니멀리즘에서 소유를 줄이는 방식이 사회적 가치 및 주관적 행복감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분석하려 한다. 연구 1에서는 참가자들에게 비대칭 도형 사진을 제시하고, 버리기 또는 추가의 방식으로 안정감있는 대칭구조로 변환하는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결과 버리기의 방식을 많이 사용한 참가자일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행복감이 높을수록 내면적 가치추구경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소비지향 또는 미니멀리즘과 연관된 자극을 제시한 후, 물질주의 추구경향, 주관적 행복감 및 사회적 봉사활동의 참여의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미니멀리즘이 유도된 조건에서 소비지향의 조건보다 물질주의 추구경향이 더 낮게 나타났다. 또한 버리기의 방식을 자주 사용할수록 주관적행복감 및 사회적 활동의 참여의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적게 소유하는 미니멀리즘이 사회적 삶과 행복감을 변화시키는 대안적 삶의 방식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논의에서는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다루었다.

      • KCI등재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태도와 전체지각의 관계

        신홍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8 No.4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IAT) measures implicit attitudes of participants and is regard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expecting future behaviors. Based on the IAT, this study aimed to answer the question, whether implicit attitudes of an individual about creativity have any kinds of impact on global perception, which might be important for a creative process. In the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ords, which were associated with one of four categories, while one attitude category (creativity /practicality) and one evaluative category (good/bad) were always paired together either on the left side or on the right side of the computer screen. After completing the IAT test, participants were led to fill out a questionnaire to assess explicit attitudes toward creativity and practicality. Then they conducted the navon task, in which they had to find one of two letters, ‘F’ or ‘H’, which were presented either as a local form or as a global form. Finally, the participants had to write down as many untypical functions of an object as possible. The results showed that not the scores of explicit attitude scores but the IAT scores correlated with the reaction time of global perception. The global perception was faster in the participants with the low IAT scores than the local perception. Compared to this, the global perception benefits disappeared in the participants with the high IAT scores. Additionally, more creative ideas about the functions of the object were listed in the group with the lower IAT scores. Implications of the role of implicit attitudes about creative processes are discussed. 암묵적 연합검사는 연구참가자의 내면적인 태도를 측정하고, 미래의 행동을 예측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묵적 연합검사를 토대로 한 개인의 창의성에 대한 무의식적인 부정적 태도가 창의적인 과정에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는 전체지각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에서는 대학생 참가자에게 창의성/실용성과 긍정/부정단어들을 각각 짝지어 제시한 후, 창의성-긍정단어에 대한 반응시간과 창의성-부정단어에 대한 반응시간의 차이를 통해 암묵적 태도를 측정했다. 그 이후 참가자들은 전체유형 혹은 부분유형으로 나타나는 글자에 대해 신속하게 반응하는 네이본 과제를 수행했다. 그 결과,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편견이 적은 참가자집단에서 전체지각의 반응시간이 부분지각의 반응시간보다 더 빠르게 나타났으며, 전체지각의 이득이 나타났다. 반면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인 편견이 높은 참가자집단에서는 전체지각과 부분지각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전체지각의 이득이 사라졌다. 이 결과는 한 개인이 갖고 있는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편견은 자신의 창의적 과정과 부적 관계에 있음을 보여주며, 창의성의 예측에서 암묵적인 태도 측정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노인 고정관념의 억제와 오기억: 목표점화(goal priming) 및 망각지시의 비교

        신홍임,김민식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5 No.2

        This study aimed to compare false memory effects of goal priming and directed forgetting to control negative stereotypical informations about elderly adults. Participants, 22 male and 34 female university students listened to a news about increasing rates of elderly citizens in Korea living alone. This was followed by a lexical decision task with stereotypical and nonstereotypical words,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of aging stereotypes and to devide the participant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high or low stereotype activation. After that, the participants read articles about young and elderly people either under the condition of goal priming or under the condition of the forget instruction. Finally, a recognition test was conducted based on the Deese-Roediger-McDermott (DRM) paradigm to compare effects of these two conditions for false memory about stereotypical and nonstereotypical items between the two groups with high or low stereotype activ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alse recognition rates for stereotypical item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 activation group with the forget instruction than in this group of the goal priming condi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lse recognition rates for the nonstereotypical items. These findings supported our hypothesis, that the forget instruction activates negative stereotypical information, which resulted in the memory illusion and the disruption of stereotype control. In addition, the false recognition rates under the condition of goal priming were lower than under the condition of the forget instruction, which might be interpreted as evidence for effective stereotype control. Implications of the outcome for stereotype control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노인에 대한 평소의 부정적인 태도나 차별행동을 생각하게 하여 부정적인 노인 고정관념을 억제하는 목표로 암묵적으로 동기화하는 목표점화조건과 부정적인 노인 고정관념을 직접적으로 망각지시하는 조건에서 노인 고정관념에 대한 오기억(false memory)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5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활성화하기 위해 실험도입부에 독거노인에 대한 뉴스를 청취하게 한 후 어휘판단과제에서 부정적인 노인 고정관념의 단어에 대한 반응시간을 토대로 고정관념이 활성화된 집단과 고정관념이 활성화되지 않은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 후 목표점화 또는 망각지시의 조건에서 참가자들에게 노인에 대한 글을 읽도록 하고, Deese-Roediger-McDermott (DRM)의 패러다임을 토대로 재인과제를 실시하여 학습단계에서 제시되지 않은, 부정적인 고정관념 연관문장에 대한 오재인율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에서는 고정관념의 활성화, 지시유형 및 재인과제의 문장유형 간에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고정관념이 활성화된 집단에서는 망각지시의 조건에서 부정적인 노인 고정관념에 대한 오재인율이 목표점화의 조건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재인과제에서 노인고정관념과 연관된 문장에서만 나타났다. 이 결과는 고정관념 억제에 대한 직접적인 망각지시가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더 많이 활성화시켜 오재인율을 높이는 데 비해 목표점화는 고정관념 억제를 암묵적으로 동기화시켜 고정관념이 활성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논의에서는 고정관념 억제에 목표점화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 및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다루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