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일본 사회의 청년 캐릭터 고찰 - 가키야 미우(垣谷美雨), 무라타 사야카(村田沙耶香)의 작품을 중심으로

        신현선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2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73

        This paper will examine young characters in the works of Gakiya Miu and Murata Sayaka,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young generation in modern Japanese society. Investigating how the youth is portrayed in the novels of the two authors will give an understanding of how the youth is represented and the structure of modern Japanese society. Also, we’ll be able to identify discrimination and gaps inherent in Japanese society and we’ll see how the young generation accepts these difficulties in their lives. The younger generation in Japan live with excessive competition, job failure, temporary positions, and also suffer from anxiety about the future. Gakiya Miu and Murata Sayaka deal with both universal and personal problems facing the younger generation, such as marriage, work-related issues, and human relationships in their novels. Therefore, these two authors raise questions about the problems facing today’s Japanese society such as an aging population, youth unemployment, and an increase in single person households. This paper will analyze the Japanese youth through the characters who live in a ‘gap society’ - unlike the previous generation. Additionally, we’ll also examine the pattern of how these young characters turn into ‘mutant creatures who do not rage’ as they adapt to the ‘gap society’. The works of Gakiya Miu and Murata Sayaka realistically portray the lives of a young generation who suffer a harsh reality. We’ll be able to understand how the young Japanese feel about their lives by looking at the expression of their agonies and perceptions.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the young generation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demonstrate how conditions of life are changing to ensure survival in a multi-layered life.

      • KCI등재

        역사의 재인식과 재현의 점이지대 ―글렌데일과 나고야의 ‘평화의 소녀상’―

        신현선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0 일본학연구 Vol.60 No.-

        This research recognizes the cities of Glendale (California, USA) and Nagoya (Aichi, Japan) as the overlay between the overlap between the re-recognition and re-enactment of history, and explores the historical, social, political, and spatial meanings of “the Statues of Peace”. The Statue of Peace, erected to commemorate the issue of ‘comfort woman’, an issue that embodies the irony of imperialism of the 20th century, is remarkable as it calls for human rights, justice, and transnational solidarity. Hence, we focus on the process of re-recognizing the history of colonialism in urban spaces through the sculpture of ‘the Statue of Peace’, and explore the emergence of the memories of comfort woman. Both ‘Glendale’s Statue of Peace’ and ‘Aichi Triennale 2019’ are examples we discuss as they demonstrate the values and meanings of the Statue of Peace, a symbol of solidary for remembrance and peace of the Far East Asia. 본 연구는 역사의 재인식과 재현의 점이지대로서 미국 캘리포니아 주(California State) 글렌데일 시(Glendale City)와 일본 아이치 현(愛知縣) 나고야 시(名古屋市)에 설치·전시된 ‘평화의 소녀상’의 역사적·사회적·정치적·공간적 함의를 살펴보려고 한다. 20세기 제국주의 시대의 모순이 응축되어 있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기억하기 위해 제작된 ‘소녀상’은 보편적 인권과 정의 구현, 초국적 연대를 도모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에 도시 공간 속 식민시대 역사를 재인식하는 과정이 ‘소녀상’이라는 조형물로 발현되는 점에 주목하여 위안부 기억의 재현 양상에 대해 조명하고자 한다. ‘글렌데일 소녀상’과 ‘아이치 트리엔날레 2019’ 전시회가 이를 방증하는데 이로써 동북아시아 기억의 연대와 평화를 상징하는 소녀상의 의의와 가치를 재고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기억의 정치 : 일본군 ‘위안부’와 포스트메모리 - 애니메이션 <소녀이야기>와 <소녀에게>를 중심으로 -

        신현선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40 No.-

        본 논문은 현재 전 세계가 주목하는 탈식민(postcolonial)의 문제인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기억과 재현의 새로운 틀을 제시한 김준기 감독의 애니메이션 <소녀이야기>와 <소녀에게>에 반영된 포스트메모리(postmemory)의 양상을 연구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역사적 기억과 망각에 대한 식민지 여성의 자기 서사, 기억을 통한 역사적 재현 전략을 분석하고 그것의 기억 정치를 드러내고자 한다. 역사적 상처로 인해 소실되고 훼손된 기억이 애니메이션이라는 대중적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고 재기억되는 과정은 과거를 현재화시키고 현재를 과거 속으로 투영하여 집단적 기억의 정치로 발현하는 효과를 낳는다. 실제 인터뷰이의 육성을 통해 증언하는 식민의 경험과 고통의 서사는 과거-현재-미래의 기억을 공유하고 경계를 허물어 탈식민을 성취하기 위한 기폭제로 작용한다. 이는 위안부 피해자의 비극적인 삶을 조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관객으로 하여금 냉정한 시선으로 역사와 조우하고 통찰하게 함으로써 기억의 정치에 의미를 부여한다. 나아가 공식 역사가 언급하지 못했던 기억의 지점들에 닿아 현실을 환기시키고 현실 너머의 세계를 포용함으로 역사는 다시 복원된다. This paper studies the aspects of postmemory reflected in the animated films of the film director Kim Jungi, <Her Story> and <For Herr>, which suggests a new framework of memory and reproduction about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a postcolonial issue that the world is currently paying attention. For this, this study analyzes the colonial women’s selfnarratives about historical memory and oblivion, and the strategies of historical reproduction through memory, and also reveals its politics of memory. The process in which memories lost and damaged by the historical wounds are delivered and rememorized through popular media such as animated films creates the effect of presenting the past and revealing the politics of collective memory by reflecting the present into the past. The narratives of the colonial experiences and sufferings that testify through the voice of the actual interviewee shared memorie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nd act as catalysts to achieve postcolonialism by breaking the boundaries. This is not only to illuminate the tragic life of the victims of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but also gives meaning to the politics of memory by letting audiences gain an insight into history and meet history with a dispassionate view. Furthermore, history is restored again by arousing reality as it reaches the points of memory that official history has not mentioned, and by embracing the world beyond reality.

      • KCI등재

        세계측지계 기준 대구・경북 구소삼각지역의 방위각 오차 비교분석

        신현선,김준현,엄정섭 한국지적학회 2018 한국지적학회지 Vol.34 No.1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azimuthal analysis for the global geodetic system transformation are as follows for the five old small triangulation point located in Daegu and Kyungbuk area. It was presented the average azimuth angle between old small triangulation point and the world geodetic system that was 2 minutes 20 seconds in Yul-gok origin point, 9 minutes in Hyeon-chang origin point, 9 minutes 59.9 seconds in So-ra origin point, 14 minutes 20.7 seconds in Gu-am origin point and 25 minutes 5.3 seconds in Geum-san origin point. In other words, the azimuth angle is larger in order from the east to the origin located in the west, and the closer to the Dong-bu origin point, the less the difference in azimuth angle. The reason for this difference is that the north direction of the world geodetic system is based on the Dong-bu origin point(Longitude 129°, latitude 38°). However, the northern direction of the old small triangular area was measured by an astronomical survey to observe the Polaris of the point where the origin is located.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지역의 5개 구소삼각원점지역을 대상으로 세계측지계 변환을 위한 방위각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소삼각원점과 세계측지계와의 방위각이 평균적으로 율곡원점은 2분 20.0초, 현창원점은 9분 00.0초, 소라원점은 9분 59.9초, 구암원점은 14분 20.7초, 금산원점은 25분 5.3초의 차이로 나타났다. 즉, 동쪽에 위치한 원점부터 서쪽에 위치한 원점 순으로 순차적으로 방위각이 더 크게 차이가 나고 동부원점에 가까울수록 방위각 차이가 줄어들었다. 이러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이유는 세계측지계의 북(北) 방향은 동부원점(경도129°, 위도 38°)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나 구소삼각지역의 북방향은 원점이 위치한 지점에서 북극성을 관측하는 천문측량방법으로 측량하였으므로 관측한 지점에 따라 세계측지계와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다자이 오사무의 『피부와 마음』 고찰 -여성의 내면의식을 중심으로-

        신현선 한국일본어문학회 2011 日本語文學 Vol.50 No.-

        本稿は太宰治の『皮膚と心』に現れている女性語り手の內面心理を‘皮膚’という媒介體を通して分析するところに目標を置く。 皮膚病が極度に惡化した後、今まで抑制されていた語り手の感情が心の中から表面に表れた。ここから皮膚を心の洞察の手段として自分の感情を明確に意識し、性格と特性も把握するようになったのである。自分を欲求不滿に陥れた原因として<表面>に対する執着が挙げられるが、それは皮膚を通して自分の內面を把握したのだ。このような皮膚病は‘夫婦關係’にも大きな變化をもたらした。語り手は皮膚病を通して夫との關係に危機を直感する。‘女’と‘女の生涯’について考えながら生きることの理由に対しても深刻に惱む。 この心理變化は<中毒>という診斷を受けて病院を出た後、語り手の人物像まで變化させられなかった限界點を抱いている。それにもかかわらず語り手が皮膚病をきっかけに自分を再認識したことに注目したい。表面という形態に閉じこもって內面には無關心であった語り手が變化していく自己を發見したのである。

      • KCI등재

        오키나와의 파토스와 화해의 도정

        신현선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2 No.-

        본 연구는 오키나와에 적체된 파토스의 제 양상을 통해 갈등의 상황을 직시하고 화해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목적에 맞춰 오시로 다쓰히로(大城立裕)와 메도루마 슌(目取真 俊)의 문학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두 작가의 작품에서 오키나와인의 삶과 죽음, 살아 남은 자의 전쟁 기억 등을 사유하는 것은 오키나와의 잠재적 트라우마의 치유 가능성과 화해 를 모색하는 일이 될 것이다. 치유와 평화의 섬이라는 외피를 씌우기 위해 내부의 파토스에 침묵과 눈감기를 자행해왔 던 오키나와에는 모호한 용서와 형식적인 애도와 침묵이 자리한다. 오키나와의 오랜 갈등과 분노는 ‘누구에게 분노하는가’의 문제로 이어진다. 이것은 ‘화해’의 문제와도 연결된다. 따라 서 본 연구는 굴곡의 역사를 겪은 오키나와인의 분노와 슬픔 등의 파토스를 통해 오키나와의 균열을 직시하고, 화합과 연대의 장으로 나아가기 위한 노정을 모색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flict situation in Okinawa and discern the aspects of reconciliation through various pathos accumulated in the island. The subject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literary works of Tatsuhiro Oshiro and Syun Medoruma. By speculating life and death of Okinawans and the war memories of the survivors based on the works of these two writers,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potential for healing Okinawa's potential trauma and for searching the way to reconciliation. To be seen as the island of healing and peace, Okinawa has been silent and blindfolded to the inner pathos. As a result, ambiguous forgiveness, perfunctory mourning and silence are predominant in Okinawa. The long standing conflict and rage lead to the issue of ‘exactly who is the object of this rage?” This can also be related to the issue of reconciliation. Therefore, this study puts a spotlight on the rift of Okinawa through pathos of Okinawans, such as anger and sorrow, and searches for a path to move forward to a brighter future with harmony and solidarity.

      • KCI등재

        다름의 정체성 인식과 보편 지향성 - 사기사와 메구무(鷺澤萌)의 『뷰티풀 네임』을 중심으로 -

        신현선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2 비교일본학 Vol.54 No.-

        본 연구는 사기사와 메구무의 『뷰티풀 네임』을 통해 일본 사회에서 재일 한국인이라는 특수성을 지닌 인물들이 주변 사람들과 겪는 갈등 속에서 공동체의 일원으로 살아가려는 모습 을 살펴보고자 한다. 사기사와 메구무는 재일 현세대의 일상적인 고뇌와 갈등을 변주하면서 공생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이름’에 대한 감각을 다각적으로 표현하며 일본 사회에 다양 성의 공존이라는 화두를 던진 작가이다. 그녀의 작품에서 이름의 문제는 개인의 정체성을 모색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공동체의 일원이 되는 문제와 삶의 모습을 결정짓는 요인이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소설 속 주인공에게 이름은 한국과 일본 양국의 경계에서 두 개의 삶의 궤 적을 담는 기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즉 이름은 본인의 본질을 구축하고 관계와 삶을 결정 짓는 위계적 체계의 중심이 되고 있다. 이를 위해 「안경 너머로 본 하늘」에 나타난 주인공의 불안한 자기소개의 시간과 이름에 대한 고민을 추적할 것이다. 「고향의 봄」에서는 타자의 기억속에 그려진 ‘그’와 ‘나’의 소통에 대해 살펴본다. 따라서 보통의 일본인들과 함께 살아가는 ‘평범한 재일 한국인’의 모습을 조명하는 문제는 재일 한국인 세대의 새로운 인식과 삶을 살펴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identity of “difference” and “universal orientation” found in the novel Beautiful Name written by Megumu Sagisawa,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Zainichi, Koreans living in Japan. Meugumu Sagisaga was an author who raised the question of diversity by expressing the meaning of “name” in various ways as a part of the answer that how different people coexist while covering conflicts and issues suffered by the young generation of Zainichi in their daily lives. A distinctive and common feature of her works is that the name does not only represent an individual’s identity but is a factor in determining their existence and life as a member of a community. For the protagonist in the novel, the name is a universal principle that can lead to thoughts about everything and is accepted as a signifier that contains two lives at the border between Korea and Japan. In other words, the name is the center of the hierarchical system that establishes the essence of one person and determines their relationship and life. This paper follows the protagonist’s anxious selfintroduction and her worries about the name in “Sky through Glasses”. In “Hometown Spring”, this paper reviews the communication between “he” and “me” remaining in the memory of the others. By looking into the “ordinary Zainichi Koreans” living with ordinary Japanese, this paper aims to present an opportunity to observe the new perception and life of Zainichi.

      • KCI등재

        다자이 오사무(太宰治) 문학의 Apoptosis 상상력

        신현선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1 No.-

        본 연구는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의 작품에서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자기소멸의 방식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자기소멸의 은유화 방식을 아폽토시스(apoptosis)의 문학적 상상력에 의해 규명하고자 한다. 중독의 제 상황과 캐릭터의 카오스적 삶의 태도는 중독과 뒤틀림의 감각으로 발현된다. 고통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몸으로 저항하는 방식, 이러한 뒤틀림의 감각은 사회체제에 저항하는 작품 속 캐릭터를 통해 반증되고 있다. 이렇듯 억압 기제를 폭로하고 폐쇄적 존재 구조를 거부한 행위는 아폽토시스라는 자기소멸의 행위로 작품 속에서 은유화되고 있다. 다자이의 작품은 자기파괴적 양상이 두드러진다. 무화(無化)의 방식화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해보이는 이러한 아폽토시스 행위는 지배 담론을 거스르고 전복시키는 저항의 시도이자 존재를 현현하기 위한 자기파괴로 표현되고 있다. 다시 말해 자신을 둘러싼 억압의 경계와 질서에 균열을 일으키려는 그의 시도는 현실과 다른 삶에 대한 열망이라고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I intend to examine the method of self-destruction consistently shown in the literature of Osamu Dazai. The metaphor of self-destruction is to be investigated throughout the literary imagination of that of apoptosis. In Dazai's works, various situations of addiction as well as the character's chaotic attitude toward life are expressed with a twist: a way of actively revealing pain and resisting with one's own body. Such a sense of a twist is proved against the characters that resist the social system. The act of exposing the mechanism of repression and rejecting the structure of a closed existence is metaphorized in the work as that of an act of self-destruction, an ‘apoptosis’. What stands out in Dazai's work is the self-destructive aspect. The act of apoptosis, which proves one's existence through the method of annihilation, is expressed as a resistance attempt to defy and overthrow the dominant discourse as well as that of self-destruction; to manifest one's existence. Therefore the imagination of the apoptosis creates a crack in the order of reality and pushes boundaries which suggest the possibility of a life tha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real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