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재 노수신(盧守愼)의 미발설(未發說)과 양명학(陽明學)의 수양론

        신향림 ( Shin Hyang Rim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51

        이 논문은 소재 노수신(盧守愼)의 철리시(哲理詩)와 그의 대표적인 산문 저작인 『집중설(執中說)』을 중심으로 소재의 미발설(未發說)의 특징을 살피고, 이것을 주희(朱熹), 왕수인(王守仁),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미발설과 비교한 것이다. 소재는 40대 중반까지 독서궁리 공부를 통하여 인생의 시련을 극복하고 이상적인 인격에 도달하려는 강렬한 지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40대 후반부터는 배움을 구하러 진도로 찾아온 후학들에게 책이나스승이 아닌 마음에서 천리를 찾으라고 가르쳤고, 「집중설」과 여러 철리시에서 미발의 마음에서 직접 천리(天理) 본성(本性)을 볼 수 있고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주희는 젊은 날 스승인 이동의 가르침에 따라 미발의 마음에서 천리를 체인하는 공부를 시도하였지만 실패하였다. 그는 마음에서 직접천리를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면서 마음 밖의 사물에서 천리를 인식하는 격물 공부를 유가 공부의 핵심으로 제시하였다. 주희와는 다르게 왕수인은 젊은 날 객관사물에서 천리를 인식하는 공부를 시도하였다가 실패하고, 결국 유배지 용장에서 미발의 구중(求中) 공부를 통하여 마음 안에 모든 이치가 갖추어져 있으니 마음 밖에서 천리를 찾을 필요가 없다는 깨달음에 도달하였다. 소재가 독서궁리를 핵심으로 하는 주희의 격물 공부를 부정하게 된 것은 유배지에서 목숨을 건수양 끝에 왕수인과 마찬가지로 마음에서 천리를 직접 체인할 수 있다는 확신에 도달하였기 때문이었다. 주희의 미발설을 계승한 퇴계는 미발의 마음에서 천리를 찾는 공부를 마음으로 마음을 살피는 선학의 폐단이 있는 것으로 비판하였다. 따라서 퇴계는 소재의 새로운 공부론을 양명학(陽明學)에 물든 것으로 비판하면서 소재에게 바른 학문의 길로 돌아오라고 촉구하였다. 퇴계의 비판에 대해 소재는 유가의 도통(道統)을 이은 공부는 마음에서 천리를 찾는 것이니 경전의 주석을 읽고 토론하느라 시간을 낭비하고 있는 퇴계의 공부법이 오히려 틀렸다고 답하는 것으로 대응하였다. 택당(澤堂) 이식(李植)은 퇴계에 맞선 소재를 주희와 대립하였던 육구연(陸九淵)에 비유하였는데, 이는 퇴계의 주자학이 주도하던 시대에 홀연 나타난 소재의 양명학에 대한 정확한 평가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Noh Susin’s theories of gongfu and of weifa based on his cheolli poems and representative work of prose, Jipjungseol. It also compares Noh’s work to that of ZhuXi, WangShouren, YiHwang and LiuChenglong. In Jipjungseol and various cheolli poems, Noh Susin claimed that the heavenly order (tianli) and fundamental character (benxing) can be found in one’s heart. He used this advice to teach younger students to find the heavenly order in their hearts instead of through books or teachers. Noh believed that there was no need to look for the heavenly order outside of one’s heart, arguing that it was possible to realize the meaning of all things by removing one’s selfish desires. Noh’s method differed from that of chujahak, which emphasized the investigation of things (ge wu) over the bodily recognition (tiren) of heavenly order/fundamental character. Yi Hwang criticized Noh’s philosophy as having been influenced by Yangming, urging Noh to return to what was deemed a proper scholarly path. In response, Noh argued that the search for the heavenly order in one’s heart was in line with the Confucian school’s succession of the way (daotong), and disapproved of Yi Hwang’s method of analyzing sutras. Yi Sik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h and Yi Hwang to that of Lu Jiuyuan and Zhu Xi. This can be seen as an accurate evaluation of Noh Susin’s yangmyeonghak, which emerged abruptly at a time when chujahak was more dominant.

      • KCI등재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만년 사상(思想)에 대한 재론(再論) -맹인 설화와 「답임형오논원도서(答任亨五論原道書)」를 중심으로-

        신향림 ( Hyang Rim Shin ) 한국한문학회 201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6

        이 논문은 燕巖 朴趾源(1737~1805)의 저작에 자주 나타나는 맹인 설화와 연암의 만년 저작인 「答任亨五論原道書」를 함께 고찰하여 연암이 만년에 陽明學을 지지하고 있었음을 논증한 것이다. 연암은 젊은 날 쓴 「答蒼崖」에서 `눈을 감고 발이 가는 대로 걸어가라`고 주장하였다. 주희는 格物致知의 지적인 공부를 `눈을 환하게 뜨는 일`로, 실천 공부를 `발로 걷는 일`로 비유하여, 격물 공부를 부정하고 마음에 근거하여 실천할 것을 주장한 상산학의 공부방법이 `눈을 감고 길을 걸어가는 것`처럼 위험하다고 주장하였다. 퇴계를 비롯한 우리나라의 주자학자들도 주희의 이 비유를 사용하여 상산학·양명학의 공부론을 비판하였다. 연암 또한 30대 후반에 쓴 「爲學之方圖跋」에서 `눈을 환하게 뜬 뒤에 걸어가야 한다`고 하여 격물치지의 지적인 공부에 기반하여 실천 공부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 적이 있다. `눈을 환하게 뜬 뒤에야 길을 걸어갈 수 있다`는 주자학의 주장이 하나의 극단이라면, `눈을 감고 발이 가는 대로 걸어가라`고 한 연암의 주장 또한 하나의 극단이라고 할 수 있다. 주자학에 대한 지지와 반발 사이에서 오가던 연암은 만년에이 두 극단과는 다른 하나의 입장으로 자신의 공부론을 정리하게 된다. 연암의 이 만년 정론이 드러난 글이 「答任亨五論原道書」이다. 연암은 만년 저작인 「답임형오논원도서」에서 `발이 가는 대로 편안하게 걸어가면 길은 절로 알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눈을 감고 발이 가는 대로 걸어가는 맹인` 대신 `한 발은 하늘을 향하고 한 발은 땅을 디디어 걸어가는 사람`이라는 새로운 비유를 창출하였다. 주희는 눈과 발로 知와 行의 공부방법을 비유한 것과 마찬가지로 길을 걸어가는 두 발로 자신의 공부방법을 비유하기도 하였다. 그는 한 발을 멈추고 다른 한 발을 앞으로 내밀어 걸어가듯이, 또는 왼발을 먼저 내밀고 오른발을 나중에 내밀어 걸어가듯이, 지와 행은 분리된 채 知先行後의 순서에 따라 진행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연암은 이러한 주희의 공부방법을 비판하면서 인간은 天理와 합일되어 있는 마음의 움직임에 따라 지상에서 즉각적으로 선을 실천할 수 있는 존재임을 주장하였다. 「답임형 오논원도서」를 통해 보면 연암은 만년에 주자학의 지선행후의 공부방법을 부정하고 양명학의 知行合一說을 긍정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reviewed the Blindman tale, which made often appearances in the works of Yeonam Park Ji-won(1737~1805), and one of his works in his later years, Dapimhyeongononwondoseo, and demonstrated that he supported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in his later years. In his Dapchangae, one of his earlier works from his younger days, he insisted that people should "walk as their feet take them with their eyes closed." Zhuxi argued that the study method of Xiangshanxue, which compared the intellectual study of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格物致知)" to "opening one`s eyes wide" and the practical study to "walking on one`s feet" and maintained that people should deny the study of things and work on practice based on the mind, was dangerous like "walking with one`s eyes closed." Korean scholars of Zhuzixue including Toigye criticized the study theories of Xiangshanxue and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citing Zhuxi`s metaphor above. Yeonam too maintained that one should move forward to practical study based on the intellectual study of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saying` one should take his steps only after opening his eyes wide" in his Wuihakjibangdobal, which he wrote in his late thirties. If the argument of Zhuzixue that "one can take steps only after opening his eyes wide" stands at one extreme end of the line, Yeonam`s argument that "one should walk as their feet take them with their eyes closed" in his Dapchangae stands at the other extreme end. After years of being torn between support for and opposition against Zhuzixue,Yeonam sorted out his study theories in a standpoint that was different from the two extreme ends in his later years. It is in Dapimhyeongononwondoseo that he wrote down his sound arguments in his later years. In Dapimhyeongononwondoseo, one of his works from his later years, he said "one will know where he should go if he lets his feet take him" and came up with a new metaphor, "a person who walks with one foot in the sky and the other on the land," instead of "the blindman who lets his feet take him withhis eyes closed."Comparing the eye and feet to the study method of knowledge and practice, Zhuxi compared his study method to walking on the feet. He argued that knowledge and practice should be separate and that knowledge should come before practice just like one moves forward by pushing one foot forward with the other standing still or steps the left foot first and then the right foot. Criticizing those study methods of Zhuxi, Yeonam maintained that people should be capable of practicing good immediate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ind that is one with the natural law. Dapimhyeongononwondoseo clearly shows that he denied the study method of knowledge first and practice later by Zhuzixue and approved the theory of knowledge and practice as one by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in his later years.

      • KCI등재

        허균(許筠)의 양명좌파(陽明左派) 수용에 대한 재론(再論) -『을병조천록(乙丙朝天錄)』을 중심으로-

        신향림 ( Shin Hyang-rim ) 한국한문학회 201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8

        이 논문은 허균의 마지막 시집인 『을병조천록』을 중심으로, 허균의 양명좌파 수용 여부와 수용 시기를 고찰한 것이다.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친상에 기생과 어울려 불륜을 저질렀다는 기록은 政敵인 李弘老가 만들어낸 중상모략에 기반한 것으로 허균의 실제 행적과 일치하지 않는다. 허균은 위선적인 예교를 거부하기는 했지만 인간의 도덕 감정을 드러내는 형식인 예 자체는 존중하였다. 둘째 허균은 陽明左派 李贄의 저작을 1608년 부안 은거기 이전에 접하였고, 이지의 사상과 문학을 지지하였다. 허균은 부안 은거기 무렵부터 「豪民論」, 「南宮先生傳」 등 혁신적인 사유와 파격적인 형식을 지닌 작품을 집중적으로 창작하였다. 셋째 李植은 허균을 양명좌파 문인이자 『洪吉童傳』의 저자로 기록하였는데, 이는 직접 목도한 사실에 근거한 신뢰할 만한 기록이다. 이식은 허균이 부안에서 은거하고 있을 때 허균과 교유가 있었는데, 허균의 의식이 이지의 영향으로 격변하고 있던 시기에 허균의 언행을 곁에서 지켜보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글에는 전혀 보이지 않는 중요한 기록을 남길 수 있었다. 넷째 허균은 前後七子의 擬古 문학이 아닌 양명좌파의 革新적인 문학을 지지하였다. 허균 자신의 술회에 따르면, 허균의 시는 세 번의 변화를 겪었는데, 의고적인 문학에 경도되었던 시기는 젊은 시절에 국한된다. 허균이 40대 이후 지향한 문학은 양명좌파의 영향을 받은 공안파 문학에 가까운 것이었다. 다섯째 허균은 유가의 太極論을 부정하고 太極, 形氣를 초월한 老佛의 道를 세계의 근원으로 보았고, 聖人과 凡人, 儒敎와 老佛, 中國과 夷狄의 구분이 무화된 세계를 지향하였다. 결론적으로 허균은 古人, 성인, 유교, 중국을 추종하는 비루한 광대의 삶을 버리고 자유와 혁신의 길로 나아가고자 한 豪傑이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whether and when Heo Gyun accepted the Left Wing of Yang-ming School with a focus on his last collection of poems Eulbyeongjocheonrok(乙丙朝天錄).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re is a record saying that he committed adultery with a Gisaeng during the mourning period of his deceased mother. It is not a fact but a slander created by his political opponent Lee Hong-ro(李弘老). Even though Heo refused to follow the hypocritical teachings about courtesy, he did respect courtesy itself as a system of revealing man's moral emotions. Second, he read the works of Lee Ji(李贄), a thinker in the Left Wing of Yang-ming School, before 1608 when he went into retirement in Buan and supported his ideas and literature. During his retirement years in Buan when he became familiar with the ideas of Lee Ji, he created an intense collection of works characterized by individual thinking and unconventional forms such as Hominron(豪民論) and Namgungseonsaengjeon (南宮先生傳). Third, Lee Sik wrote that Heo was a literary figure in the Left Wing of Yang-ming School and the author of Hong Gil-Dong Jeon(洪吉童傳), which was based on the facts he witnessed himself. He had exchanges with Heo during his retirement years in Buan. Since he witnessed first-hand the words and acts of Heo when his consciousness underwent rapid changes under the influence of Lee Ji, he was able to leave records not found in the books of others. Fourth, Heo supported the reform literature of the Left Wing of Yang-ming School instead of the classical literature of Jeonhuchilja(前後七子). His literature went through three major changes. The period of his admiration for the classical literature was limited to his younger years when he learned poetry from Lee Dal(李達) and Heo Bong(許?). The literature he was oriented toward since he became 40 years old was closer to the literature of the Gongan School influenced by the Left Wing of Yang-ming School. Finally, he denied the Taegeuk(太極) theory of Confucianism and found the origin of the world in the truth of Lao-tzu and Chuang-tzu and Buddhism beyond Taegeuk and Hyeonggi. He sought after a world where there were no boundaries between saints and common people, between Confucianism and the ideology of Lao-tzu and Chuang-tzu and Buddhism, and between China and the barbarians. In short, Heo Gyun was a revolutionary literary figure that pursued truthful and original literature after giving up his life as a low clown following the dead, saints, Confucianism, and Chin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의 작자 문제

        신향림 ( Shin Hyang-rim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2

        이 논문은 「高山九曲歌」 관련 기록을 망라하여 살펴서 李珥가 「고산구곡가」를 창작하고 향유한 사실을 고증하고, 현존 「고산구곡가」가 이이가 창작한 원작이 아님을 논증한 것이다. 이이는 1580년 황해도 남강 가에서 아우를 전별하면서 지은 시에서 “해주의 소리꾼 碧桃가 연회 자리에서 「고산구곡가」를 가창하였다.”라고 했다. 이이와 친밀하게 교유했던 李海壽와 成渾은 1593년 해주 석담을 방문하여 시를 화창하면서 “석담은 「고산구곡가」에서 노래한 그대로이지만, 이제 더는 「고산구곡가」를 부르는 사람이 없다.”라고 했다. 이 시들을 통해 이이가 1580년 이전에 실제로 「고산구곡가」를 창작하였고, 1580년 무렵 해주의 소리꾼들이 「고산구곡가」를 가창하고 있었으며, 이이가 생전에 지기들과 이 노래를 향유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宋時烈은 젊은 날 스승 金集의 명을 받아 이이의 서녀인 김집의 측실이 소장하고 있던 이이의 한글 원고들을 한역하였다. 이 한역한 원고 가운데 「고산구곡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朴世采는 『栗谷先生外集』을 간행하면서 이이의 「고산구곡가」를 수록하고자 했다. 「고산구곡가」 원작은 찾지 못하고 송시열의 한역시를 입수하게 된 박세채는 원작에 가까운 형태로 수록하기 위해 1681년 송시열의 한역시를 직접 한글로 번안하여 「고산구곡가」를 복원하였다. 그리고 자신이 복원한 「고산구곡가」를 한역한 당사자인 송시열에게 보내어 수정을 부탁하였다. 박세채가 송시열의 「고산구곡가」 한 역시를 다시 한글로 번안했던 사실로 미루어보아 1681년 무렵 한글본 「고산구곡가」가 이미 일실되었음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송시열은 1688년 자신의 집에 옛날부터 이이의 한글본 「고산구곡가」가 소장되어 있었다고 하면서, 「고산구곡가」를 金壽興 형제에게 공개하였다. 이때 송시열이 공개하여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는 한글본 「고산구곡가」는 한시를 한글로 번안해서 만든 시조로 볼 수밖에 없는 여러 언어적 특징들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을 살펴보면 송시열이 1688년 공개한 한글본 「고산구곡가」는 박세채가 송시열의 한역시를 한글로 재번 안하여 송시열에 수정해달라고 보냈던 바로 그 「고산구곡가」로 짐작된다. 따라서 지금 전하는 「고산구곡가」는 이이의 원작이 아니라 박세채가 송시열의 「고산구곡가」 한역시를 한글로 재번안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all possible records about Gosangugokga and investigate whether it was really written by Lee Yi and if the Hangul version released and passed down by Song Si-yeol was Lee's original script. The discussion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Lee Yi wrote a poem by the Nam River in Hwanghae Province, and Byeokdo, a singer from Haeju, sang a new song called Gosangugokga in 1580. These records indicate that Gosangugokga was created before 1580 and sung by singers of Haeju as a new song by 1580. As a young man, Song Si-yeol was given an order by his teacher Kim Jip and translated Lee's Hangul scripts kept by Kim Jip's mistress, who was an illegitimate daughter of Lee, into Chinese. One of these works must have been Gosangugokga. Before publishing his Yulgokseonsaengoijip, Park Se-chae wanted to include his Gosangugokga only to fail the original script. He ended up getting its translation into Chinese by Song. Determined to include Lee's Gosangugokga as close to its original script as possible, Park translated its Chinese version of Song into Hangul himself in 1681 and restored Lee's Gosangugokga in Hangul. He sent this to Song and had it revised to be the same as the original script. Park had to translate the Chinese version of Gosangugokga by Song into Hangul again, which suggests that the original Hangul version was no longer found in the world already by 1681. Maintaining that he had kept Lee's Hangul script of Gosangugokga from the beginning, he released it to Kim Su-heung and his brother in 1688. The Hangul version of Gosangugokga released by Song and passed down so far has several features that make it seem like a Sijo translated from a Chinese version into Hangul. Given these features, it is estimated that Song's version of Gosangugokga released in 1688 is Park's translation of Song's Chinese translation into Hangul that he sent Song for revi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remaining Gosangugokga is not Lee's original script but Park's translation of Song's Chinese version into Hangu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소재(蘇齋) 노수신(盧守愼)의 만년기 시에 대한 고찰

        辛香林 ( Hyang Rim Shin ) 韓國古典文學會 2012 古典文學硏究 Vol.42 No.-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ideology of materials and connections of poems in the Chinese poems of Sojae Noh Su-shin(1515~1590) in his later years. He was the nation`s first Yangmyeonghak scholar that accepted Jeonseuprok by Wang Su-in and raised a new Shimseong and study theory. Just like he accepted Yangmyeonghak and raised a new ideology, he mostly created difficult poems in an unconventional form different from trite poems in vogue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During his exile, he usually created long poems, in which he identified his poverty-stricken life with the impoverished life of common people and realistically described it, and short poems, in which he sang about his empty life in a tragic sentiment. After his exile was lifted, he held a high-rank position in the government as an old man and still created poems in a sorrowful sentiment. The previous studies understood those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as the influence of the Ting style that tried to express one`s emotions frankly and argued that his poetry was the pioneer of Samdangpa. This study discussed that he usually created a poem in the Song style that elaborated placed difficult authentic precedents and used unfamiliar poetic words that were rarely used in poetry. The study also maintained that his difficult poems reflected the Yangmyeonghak-based life attitude of the poet that made sincere efforts to reach an ideal state of personality where daily emotions and actions would match the natural law. 이 논문은 蘇齋 盧守愼(1515~1590)의 만년기 한시를 중심으로 소재의 사상과 시의 연관성을 고찰한 것이다. 소재는 王守仁의 『傳習錄』을 수용하여 새로운 심성론과 공부론을 제기하였던 우리나라 최초의 陽明學者이다. 소재는 양명학을 수용하여 새로운 사상을 제기하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시에 있어서도 조선 전기에 유행하던 상투적인 宋詩風이나 宣祖 대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섬약한 唐詩風에서 벗어나 破格적인 형식의 難解詩를 주로 창작하였다. 소재는 낯선 고사와 파격적인 시어들이 대거 등장하는 奇拔한 시를 창작하여 정치현장에서는 지친 소처럼 무기력하고 인격 수양 면에서도 지지부진한 자신의 삶을 끊임없이 自嘲하고 自責하였다. 소재 시의 이러한 특징은 그의 양명학 사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소재는 여러 시를 통해 朱子學의 格物 공부를 비판하고, 陽明學의 誠意 공부가 유가의 핵심적인 공부 방법임을 주장하였다. 그는 이러한 시들에서 책을 읽고 是非眞妄을 변별하는 데만 치중한 주자학의 공부방법을 통해서는 聖人은 될 수 없고 겨우 讀書人이 될 뿐이라고 비판하였다. 그리고 스스로는 일상에서 일어나는 意念을 바로잡아 본래의 선한 마음으로 되돌리는 誠意 공부를 통해,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는 自慊의 경지와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따라도 天理와 어그러지지 않는 聖人의 경지에 이르려고 하였다. 소재가 죽는 날까지 삶의 부끄러움을 노래한 것은 결국 자신의 마음에 비추어 부끄러움이 없는 성실한 삶을 살고자 한 지향에서 온 것이었다.

      • KCI등재후보

        盧守愼의 초기 사상과 경세론

        신향림(Shin Hyang-rim)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9 泰東古典硏究 Vol.25 No.-

        본 논문은 소재 노수신(1515~1590)의 유배기 이전의 저작에 나타난 황극론과 공부론을 그의 경세론과 연관하여 고찰한 것이다. 소재는 30세 때세자에게《서경》을 강의하면서 ‘극을 중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고 하여 주희의 황극론과 일치하는 발언을 하였다. 그러나 그는 이 서연강의에서 ‘극은 바로 미발의 중이다’라고 하여 육구연의 황극론을 지지하는 발언을 하기도 하였다. 서연강의 내용을 살펴보면 소재가 극을 정치적인 중도(中 道) · 중립(中立)을 의미하는 중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고 본 주희의 정치적인 입장만을 수용했고, 극을 미발의 중으로 해석하는 문제에 있어서는 육구연의 황극론을 긍정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소재는 또한 서연 강의에서 격물치지에서 성의로 나아가는 공부순서를 강조한 주희의 공부론을 지지하였다. 소재는 훈구관료들이 사림을 탄압하고 있던 혼란한 정치상 황을 극복하고 사림의 정치적 진출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군주의 도덕적 판단능력을 제고시키는 것이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문제 의식 하에 서연강의에서 격물치지의 중요성을 거듭 역설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소재가 20대 후반에 주자학의 격물 공부를 진정으로 긍정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이는 과거의 답안으로 작성한 〈구사어삼대지하, 유공불호명 론(求士於三代之下, 惟恐不好名論)〉을 살펴보면 알 수 있다. 소재는 이 글에서 예제(禮制) 등의 객관 규범을 준수하여 마음의 도덕법칙을 회복하는 공부 태도를 ‘소인유(小人儒)’의 공부로 규정하고, 이러한 공부를 하는 사람은 나라가 무너지는 것을 막는 관료는 될 수 있지만 성인의 경지에 함께 들어갈 수 없을 것이라고 하였다. 소재는 또한 31세 때 주자학의 격물 공부를 비판하고 양명학의 공부론을 지지하는 내용의 한시를 창작하였다. 서연강의의 내용과 과거 답안, 그리고 위의 한시를 살펴보면, 소재가 20대 후반에 공식적으로 지지했던 주자학은 경세를 위한 방편에 불과했고 그가 진정으로 추구한 학문은 양명학이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Hwanggeukron and Gongburon of Sojae Noh Su-shin(1515~1590) in his works before his exile in relation to his Gyeongseron. Teaching Book of History to the crown prince at age 30, he said Extreme must no be interpreted as neutral, which matches the Hwanggeukron by Chu-Hsi. However, at the same time, he also made a comment that supported the Hwanggeukron by Yuk Gu-yeon by saying, Ultimate is the neutral of unformed. A look at his Seoyeon lectures reveals that Sojae accepted only the political position of Chu-Hsi that maintained Ultimate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neutral that means the middle path or neutrality and that he agreed with the Hwanggeukron by Yuk Go-yeon for the issue of interpreting Ultimate as the neutral of unformed. In his Seoyeon lectures, he also supported the Gongburon by Chu-Hsi who emphasized the study order toward sincerity from Gyeokmulchiji. He judged it s the most urgent to help monarchs increase their moral judgments in order to overcome the chaotic political situation in which the Hungu officials oppress Sarims and to help Sarims make a debut in the political scene. It s based on such perception of the issues that he repeate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Gyeokmulchiji in his Seoyeon lectures. But one cannot say that he accepted the gyeokmul study of neo-Confucianism truly positively in his late twenties, which is well understood in his answer at the state exam, Gusaeosamdaejiha, Yugongbulhomyeongron. In his answer, he defined the study attitude of observing objective rules such as etiquette and institution and recovering the moral principles in the mind as the study of Soinyu and maintained that such a study would produce official to prevent a country from collapsing but not to enter the state of saint. After being removed from the position at 31, he created a Chinese poem in which he criticized the Gyeokmul study of neo-Confucianism and supported the Gongburon of Yangmyeonghak. Judging from his Seoyeon lectures, his answer at the exam, and his Chinese poem to support the Gongburon of Yangmyeonghak, it s clear that he officially supported neo-Confucianism in his late twenties as a means of Gyeongse and truly sought after Yangmyeongha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