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남 가야산 산림식생의 종조성 및 군집특성

        신학섭,윤충원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8 No.3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phytosociological clustering analysis on actual vegetation of Mt. Gaya in Chungnam province from June to October of 2011, the physiognomy dominant specieswere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of natural forest, Pinus densiflora community, Carpinuscoreana community. Quercus dentata community, and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therewere Pinus koraiensis forest and Pinus rigida forest for artificial forest. For the vegetation type,total 4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rough a mass analysis, such as Quercus mongolicacommunity type of the ridge, Pinus densiflora community type of the southern slopes, Carpinuscoreana community type of the middle slopes, and valley forest type. According to the speciesdiversity the species diversity of a vegetation unit 4 was the lowest with 0.6976, and thespecies diversity of a vegetation unit 2 was the highest with 1.1256. For the dominance value,it was identified that many species are dominating as the dominance value of every vegetationunit was below 0.3. Also, among 4 vegetation type, it was identified that the valley forest typehas more emergence type than other vegetation types, and this is considered to be acharacteristic of the valley forest. 2011년 6월부터 10월까지 충남 가야산의 현존식생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가야산 천연림의 상관우점종은 신갈나무군락과 소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떡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이전체적으로 우점하고 있었고, 인공식재림의 상관우점종은 잣나무림과 리기다소나무림이 나타났다. 집괴분석에 의한 식생유형은 능선부의 신갈나무군락유형, 남사면의 소나무군락유형, 산복부의 소사나무군락유형, 계곡림유형의 총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종다양도 지수를 보면 식생단위 4의 종다양도 지수가 0.6976으로 가장 낮았으며, 식생단위 2의 종다양도 지수가 1.125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우점도는모든 식생단위에서 0.1~0.2인 0.3 이하로, 다수의 종이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개로 구분된 식생유형 중 계곡림유형은 다른 식생유형보다 출현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계곡림의 특성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해남군 두륜산의 현존식생과 식물사회학적 식생 유형

        신학섭,임종환,윤충원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6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0 No.3

        From March of 2009 through November of 2010, 76 enumeration districts were installed in the Mt. Duryunsan of Haenam to carry out vegetation survey. The dominant species of current vegetation of the Mount Duryun in the overstory correspond to Quercus acuta forest, Carpinus turczaninowii forest, Quercus mongolica forest,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Carpinus laxiflora forest, Quercus variabilis forest, Zanthoxylum ailanthoides forest, Neolitsea sericea forest. As for the artificial plantation forest, the result shows that Chamaecyparis obtusa forest are afforested around the Daeheungsa Buddhist Temple. As for phytosociological vegetation types, Quercus serrata community group is divided into Camellia japonica community and Carpinus turczaninowii community. Camellia japonica community is subdivided into Neolitsea sericea group and Camellia japonica typical group, while Carpinus turczaninowii community is subdivided into Quercus mongolica group and Carpinus turczaninowii typical group. Therefore, the Mt. Duryunsan is classified into 1 community group, 2 communities and 4 groups and it is divided into 4 vegetation units in total.

      • KCI등재

        충남지역에 자생하는 희귀식물의 분포특성

        신학섭,한상학,최철현,손성원,윤충원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18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1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on rare plants distributed in Chungnam area from April, 2012 to November, 2017. The rare plant populations that are emerging are: Utricularia pilosa, Jeffersonia dubia, Iris ruthenica, Tipularia japonica, Calanthe discolor, Parasenecio pseudotaimingasa, Ranunculus kazusensis, Berchemia racemosa, Pogonia minor and Glehnia littorali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plant resources in the rare species category were one important type (CR), three hazardous species (EN) and six vulnerable species (VU). As a result of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reats, five types of habitat types, two aquatic areas, two types of flatland and coastal sand dune distribution types were analyzed. The decreasing tendency of the rare plant populations in the surveyed area is judged to be artificial disturbance and habitat destruction rather than climate or environmental chang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abitat, conservation measures should be prepared for each population.

      • KCI등재

        강화도 마니산 산림식생의 군집구조 특성

        신학섭 ( Hak Sub Shin ),신재권 ( Jae Kwon Shin ),김혜진 ( Hye Jin Kim ),한상학 ( Sang Hak Han ),이원희 ( Won Hee Lee ),윤충원 ( Chung Weon Yun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4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식생에 대한 기본 정보를 확인하고, 강화도 마니산에있는 산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산림식생의 계층구조와 관련된 식생학적 자료를 축적하는 데 있다. 샘플은 2010 년 8월에서 10월까지 수집된 32개소의 조사구에 대해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분석방법으로 식생군락을 구분하였고, 중요치 분석을 수행하였다. 식물사회학적 식생분석결과 산림식생은 여러 종들의 구분에 의해 2개 군락, 2개 군, 4개 소군으로 분류되었고, 복잡한 환경인자들에 의해 결정되어진 것으로 사료되는 식생유형은 총 5단위로 나타났다. 5개의 식생유형 중 식생단위1의 중요치는 소나무 54.31 (18.10%)로 나타났으며, 신갈나무 39.21 (13.07%), 식생단위2의 서어나무가 37.29 (12.43%), 신갈나무 89.43 (22.23%), 진달래 63,525 (14.43%)로 나타났다. 식생단위3에서 때죽나무의 중요치 53.97 (13.50%), 당단풍 33.60 (8.40%), 서어나무 26.48 (6.62%), 졸참나무 22.51 (5.64%)로 나타났으며, 식생단위4에서는 서어나무 47.70 (11.92%), 상수리나무 38.40 (9.60%)로 나타났고, 식생단위5의 쉬나무가 80.59 (20.14%), 아까시나무 35.00 (8.74%), 칡의 중요치가 28.63 (7.15%), 떡갈나무 28.20 (7.05)의 순으로 중요치가 나타났다. 이는 1997년 강화도의 기후와 산림생태계 현황(Lee, 1997)에서 온대중부림의 생태적 천이는 소나무에서 참나무류를 거쳐 서어나무류의 순서라는 학설이 거의 입증되었는데, 강화도 마니산의 산림식생은 천이발달의 중간단계로 보고한 바 있는데, 현재의 산림식생은 소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때죽나무군집, 서어나무군집, 쉬나무군집으로 분류되고, 각 식생단위에서 서어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인위적, 자연적 교란이 없는 한 서어나무로의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urnish basic information for forest community ecology and to accumulate vegetational datum related to hierarchy of forest community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forest vegetation in Mt. Mani.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32 releves from August to October in 2010 using phytosociological analysis methodology of Z-M school and importance value analysi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that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5 units in total. Importance value at vegetation unit 1 indicated Pinus densiflora 54.31 (18.10%), Quercus mongolica 39.21 (13.07%), Carpinus coreana 37.29 (12.43%), at vegetation unit 2 Quercus mongolica 89.43 (22.23%), Rhododendron mucronulatum 57.75 (14.43%), Carpinus coreana 47.19(11.80%), at vegetation unit 3 Styrax japonica 53.97 (13.50%), Acer mono 33.60 (8.40%), Carpinus coreana 26.48 (6.62%), Quercus serrata 22.51 (5.64%), at vegetation unit 4 Carpinus coreana 47.70 (11.92%), Quercus acutissima 38.40 (9.60%) and at vegetation unit 5 Evodia daniellii 80.59 (20.14%), Robinia pseudoacacia 35.00 (8.74%), Pueraria thunbergiana 28.63 (7.15%), Quercus dentata 28.20 (7.05%) in the order, respectively.

      • KCI등재

        충남 오서산 산림식생의 종 조성 및 군집 특성

        신학섭 ( Hak Sub Shin ),윤충원 ( Chung Weon Yun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4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7 No.3

        A phytosociological vegetation survey was conducted in July to September 2011 in order to examine the vegetation community structure in Mt. Ohseo area. It was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vegetation conservation by analyzing the importance, species diversity and community similarity of the forest community in Mt. Ohseo for each layer, followed by the classification of the actual forest vegetation.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the community type of Mt. Ohseo was classified into a total of 4 vegetation communities: Pinus densiflora community, Cornus controversa-Quercus serrata community,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an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the vegetation type 4 showed the lowest species diversity index of 0.5236, and vegetation type-2 showed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index of 0.6606.The community similarity between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showed the highest 0.679, and the community similarity between Quercus serrata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between Quercus serrata community an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showed the levels of 0.5,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 덕유산 아고산대 향적봉-중봉 구간 가문비나무 자생지의 군락분류

        한상학,김혜진,신학섭,박희권,강혜진,고승연,한심희,홍용표,윤충원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1 No.2

        서 론 식물구계학적 위치로는 한반도 남부아구(이우철과 임양 재, 1978) , 생태권역의 구분으로는 산악권역(신준환과 김철 민, 1996)에 속하는 덕유산 지역은 주봉인 향적봉(1,614m) 을 중심으로 남덕유(1,507m), 무룡산(1,491m), 적상산 (1,029m), 두문산(1,051m), 지봉(1,247m), 거칠봉(1,177m), 대덕산(1,290m)등 산봉이 1,000m이상인 고산준봉으로 이 루어져 해발 1,000m 이상이 덕유산 국립공원의 30.1%를 차지하고 있으며(국립공원관리공단, 2004), 특히 산정상 향 적봉부근에는 수령 100∼300년 사이의 주목군락 및 구상나 무군락이 자생하는 등 독특한 아고산지대 식생을 이루고 있는 우리나라 국립공원중 자연보존 상태가 양호한 곳이다 (이경재 등, 1994). 가문비나무는 기후적으로 한랭한 지역의 해발 약 1,500m 이상 지역에서 정상주변 능선과 사면에 국소적으로 집단을 형성하여 분포하며 부식토가 많고 습기가 적당히 있는 곳을 좋아한다. 남한지역에서는 덕유산, 지리산, 계방산의 암석 이 많고 토양유기물이 많은 산정의 능선과 계곡부에만 자생 할정도로 그 분포가 매우 제한적이며(송정호 등, 2009), 천 연집단의 경우 그 규모가 작고 파편화(fragmentation)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기후 온난화 등으로 서식지 환경이 악화 되어 보존대책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Lee et al., 2008). 따라서 본 연구는 산림유전자원보호림으로 지정되어 있 는 덕유산 아고산대 향적봉-중봉 구간 가문비나무 자생지의 군락분류를 통하여 국지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가문비나무 에 대한 자생지(현지내) 보존·복원 및 피난처 개발의 기초 자료 제공·활용에 그 목적이 있다. 재료 및 방법 1. 조사구설정 덕유산 향적봉(1,641m)에서 중봉(1,594m)에 이르는 아 고산지대 구간의 가문비나무의 자생지을 중심으로 Z-M (Zürich-Montpellier)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Ellenberg, 1956; Braun-Blanquet, 1964) 에 따라 동질한 환경조건과 종조성을 나타내는 입지를 선정하여 최소면적(minimum area ; 종수-면적곡선) 이상으로 10m×10m(40개소), 10m×20m (1개소), 20m×20m(7개소) 방형구를 설치하였다. 2. 조사 및 분석방법 현장식생조사는 2011년 2월에 답사 및 예비조사를 실시 하고, 3월에서 8월에 걸쳐 식물 생육기간에 따른 계절성 (seasonality)을 고려하여 조사되었다. 조사구수는 총 48개 소로 식생조사법에 따라 조사구내에 출현하는 각 종의 피도 (coverage)와 개체수를 조합시킨 우점도(dominance)계급 을 층위별로 구분하고 판정하여 기록하였고, 생육상태는 종 개체의 집합 혹은 이산의 정도에 따른 군도(sociality)계급 등을 추정하였다. 식생조사 자료를 Ellenberg(1956)의 표조 작법과 Hill(1979)의 TWINSPAN을 이용하여 소표(raw table)로부터 여러 단계의 표조작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상재도로 나타낸 식별표를 작성하여 덕유산 아고산대 향적 봉-중봉 구간 가문비나무 자생지의 군락분류를 하였다. 결론 및 고찰 1. 군락분류체계 Table 1과 2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덕유산 아고산대 향적 봉-중봉 구간 가문비나무 자생지일대의 식생체계는 신갈나 무군락군(Ⅰ)으로 크게 분류되었다. 신갈나무군락군(Ⅰ)은 가문비나무군락(1), 까치박달군락(2), 피나무군락(3), 신갈 나무전형군락(4)의 4개 군락으로 각각 분류되었다. 가문비 나무군락(1)은 물참대군(A), 백당나무군(B)의 2개 군으로 각각 세분되었고, 물참대군(A)은 복장나무소군(a), 까치밥 나무(b)의 2개 소군으로 각각 세분되었으며, 백당나무군(B) 은 큰원추리소군(a), 귀룽나무소군(b)의 2개소군으로 각각 세분되었다. 따라서 덕유산 아고산대 향적봉-중봉 구간 가 문비나무 자생지일대의 산림식생체계는 1개의 군락군, 4개 의 군락, 2개의 군, 4개의 소군으로 총 7개의 식생단위로 나타났다. 2. 식생단위별 입지환경특성 복장나무소군(Acer mandshuricum subgroup; VU 1)은 신갈나무군락군 가문비나무군락 물참대군에서 복장나무, 큰천남성, 둥근털제비꽃, 부게꽃나무, 산꼬리풀, 짚신나물 의 식별종에 의하여 하위단위로 세분되었으며, 총 5개의 조 사구이며 평균해발고 1,444m, 평균노암율 82%, 평균수고 는 교목층 11m로 나타났으며, 식생단위 중 가장 높은 노암 율과 가문비나무군락 4개 식생단위 중에서 해발고가 가장 낮은 입지 환경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까치밥나무소군(Ribes mandshuricum subgroup; VU 2) 은 신갈나무군락군 가문비나무군락 물참대군에서 까치밥 나무, 덩굴개별꽃, 큰산꼬리풀, 둥근잎천남성, 나래박쥐나 물, 털괭이눈, 참당귀, 갈퀴꼭두서니의 식별종에 의하여 하 위단위로 세분되었으며, 총 3개의 조사구이며 평균사면경 사도 35°, 평균출현종수는 48종이었다. 7개의 식생단위 중 경사 가장 급한 입지 환경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큰원추리소군(Hemerocallis middendorffii subgroup; VU 3)은 신갈나무군락군 가문비나무군락 백당나무군에서 큰원추리, 일월비비추, 노랑원추리, 갈색사초, 떡버들, 은분 취, 왕쌀새, 물통이, 참반디 등의 식별종에 의하여 하위단위 로 세분되었으며, 총 8개의 조사구이며 평균해발고 1,572m, 교목층 평균식피율과 평균수고는 각각 43%, 6m로 나타났 고, 평균출현종수는 48종이었다. 가문비나무군락의 4개 식 생단위 중에서 해발고가 가장 높고, 출현종수가 가장 많은 입지 환경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귀룽나무소군(Prunus padus subgroup; VU 4)은 신갈나무군락군 가문비나무군락 백당나무군에서 귀룽나무, 눈개 승마, 애기괭이밥의 식별종에 의하여 하위단위로 세분되었 으며, 총 9개의 조사구이며 평균해발고 1,554m, 평균출현 종수는 25종이었다. 까치박달군락(Carpinus cordata community; VU 5)은 신갈나무군락군에서 까치박달, 대팻집나무, 회나무의 식별 종 의하여 하위단위로 세분되었으며, 총 11개의 조사구이며 평균해발고 1,339m, 평균출현종수는 13종이었다. 피나무군락(Tilia amurensis community; VU 6)은 신갈 나무군락군에서 피나무, 음나무, 매화말발도리, 꽃며느리밥 풀, 국수나무, 개암나무의 식별종 의하여 하위단위로 세분 되었으며, 총 5개의 조사구이며 평균해발고 1,306m, 평균 출현종수는 13종이었다. 식생단위 중 해발고가 가장 낮은 입지 환경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신갈나무전형군락(Quercus mongolica typical community; VU 7)은 신갈나무군락군 식별종의 비출현에 의해 분류된 단위로서 조사구수는 총 4개소로 나타났고, 평균해발고 1,478m, 평균출현종수는 7종이었다. 식생단위 중 출현종수 가 가장 낮은 입지 환경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인용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2004) 덕유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2004. 국 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연구원. 68쪽. 신준환, 김철민(1996) 우리나라의 생태계 구분(Ⅰ); 생태권역구분. 산림과학논문집 54: 188-199. 송정호, 허성두, 강규석, 양병훈(2009) 한국산 가문비나무 자생집단 의 침엽특성 변이.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2(1): 31-36. 이경재, 조우, 한봉호(1994) 덕유산 국립공원 내 무주리조트 골프장 예정지 식물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7(2): 118-134. 이우철, 임양재(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식물분 류학회지 8: 1-33. 윤충원, 신준환, 양희문, 임종환, 이병천(2011) 한국 산림의 식물사 회학적 분류. 국립산림과학원. 제42호. 90-103쪽. Braun-Blanquet, J.(1964) Pflanw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3. Auf, Springer-Verlag, Wien, N.Y. 865pp. Ellenberg, H.(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In : Walter, H.(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Ⅳ. 136pp. Stuttgart. Hill, M.O.(1979)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arrean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Ithaca, N.Y. Cornell Univ. Press. 50pp. Lee, S.W. at. al.(2008) Diversity and Structure of Natural Populations of Picea jezoensis in South Korea. Jour. Korean For. Soc. Vol 97(2): 187-19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