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70년대 신문기사를 통해 본 한국 미혼모 보호사업과 미혼모의 사회적 재현 변화 연구

        신필식(Shin, Philsik) 한국여성학회 2017 한국여성학 Vol.3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미혼모 경험 형성기이자 관련 제도 도입기인 1970년대 미혼모 보호사업의 형성 과정과 미혼모에 대한 기사 재현 분석을 통해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 과정을 살피는 것이다. 1970년대 미혼모 보호사업은 70년대 초반, 정부가 약속한 미혼모에 대한 공적 보호사업 확대가 이뤄지지 않은 채 미혼모 상담사업이 확장되면서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었고, 70년대 후반 점차 미혼모 보호사업은 본래의 목적인 미혼모 모성보호 성격을 상실하고 후반에 갈수록 아동보호사업과 구분되지 않는 양상으로 특히, 입양 상담사업과 동일시되었다. 미혼모 재현에 있어서는 1970 년대 초반 미혼모들은 위태롭기는 하지만 출산에 이어지는 어머니됨의 경계에 선, 어려움에 처한 어머니로 재현되었다. 반면 1970년대 중반 미혼모는 여공에서 더 나아가 아이를 버린 비정한 미혼모로 재현되었고, 1970년대 후반은 미혼모 재현 자체가 거의 이뤄지지 않거나 짧게 구호의 대상으로만 등장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the institutional protection system formation for unwed mothers and the social recognition of unwed mothers with newspaper articles in 1970s. Without expansion of the government’s promised public protection for unwed mother, unwed mother protection programs had to encounter limitations. As a result, unwed mother protection programs had lost their own purpose for unwed mother’s maternity protection and were identified with the adoption counseling programs. In the representation, unwed mother of early 1970s had maintained their maternal status as a mother in distress before and after of getting pregnant and giving birth in border of motherhood. In the mid-1970s, unwed mothers were represented as mother who gave birth but gave up a baby, and furthermore ‘abandoned’ their children. In the late 1970s, the number of unwed mother related articles became relatively rare and the represented images had become a symbol for social help, and a metaphor of women who were excluded as the social others.

      • KCI등재

        한국 해외입양 아동과 친생모의 이산 과정, 그리고 젠더화 된 고통

        신필식(Shin, Phil-sik) 한국여성연구소 2018 페미니즘 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해외입양 아동이산의 이면에 가려져 왔던 친생모의 고통에 다가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친생모가 자신의 자녀를 해외입양으로 떠나보내기로 결정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겪는 갈등과 슬픔, 고통은 지금껏 많은 경우 아동복지적 관점에서 가족찾기 목적으로 이루어진 입양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다. 여성학적 해외입양 친생모 연구로서 본 연구를 통해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다섯 사례 해외입양 친생모의 이산경험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해외입양 친생모들이 겪었던 슬픔과 고통이 아동이산의 이면에 맞닿아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해외입양 친생모들이 겪었던 아픔과 고통 속에는 당시 가부장적이고 부계 중심적 젠더 간 불평등 구조에 내재한 모순이 곳곳에 작용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oach the pain of birth mothers who have been hidden behind children diaspora of korean intercountry adoption. The conflict, sadness and pain of birth mother in the process of decision to send her child for international adoption and accepting the separation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adoption researches, which have been mainly restricted to the purpose of family search in a child welfare perspective. In this study as a feminist approach birth mother of intercountry adoptee, it is found that the grief and pain of birth mother were connected just to the diaspora of children through the five diasporic cases of korean international adoption from 1950s to 1990s. Furthermore, research shows partriarchal contradiction embeded in a gendered and patrilineal male-dominated social structure effected on the suffering and pain experienced by birth mother of intercountry adoptee.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일반학생과 발명영재반 학생이 인식하는 발명에 대한 이미지

        문성환,신필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일반학생과 발명영재반 학생들이 발명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량적 분석방법인 의미분별법을 사용해 발명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였고, 정성적 분석을 위하여 발명에 대해 떠오르는 이미지를 그림으로 그리게 한 후 발명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K광역시 소재 4∼6학년 일반학생 228명 및 발명영재학급 소속 학생 1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최유현(2006)의 연구에서 사용된 형용사군 33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전체가 가지고 있는 발명에 대한 이미지는 평균점 4점 보다 높은 5.08점으로 나타났고, 이를 토대로 발명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일반학생과 발명영재반 학생의 발명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불행한 -행복한’, ‘어려운-쉬운’, ‘맛없는-맛좋은’, ‘긴장한-여유로운’, ‘느린-빠른’, 및 ‘더러운-깔끔한’ 항목을 제외한 27개 항목에서 모두 유의수순 p<.05 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정기적으로 발명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일반학생들에 비하여 발명에 대하여 더 긍정적으로 여기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림 분석결과 일반학생은 전구, 실험기구, 로봇, 고민, 상상, 공작도구 순으로 그렸으며, 발명영재반 학생은 전구, 상상, 고민, 공작도구, 로봇, 실험기구 순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아이디어를 가장 우선시 하고 있었지만, 일반학생은 로봇 및 실험기구 등 실생활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발명품을 그렸음에 비해, 발명영재반 학생은 상상, 고민 등 아이디어 산출을 위한 기초능력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발명교육활동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ordinary and inventively gifted children's image toward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 33 adjective pairs through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as quantitative analysis and pictures which student drew after thinking about the invention as qualitative analysis. The contents of the examination were made on 228 ordinary students and 145 inventively gifted students in K Metropolitancity. The survey contents were composed of 33 adjective paris that were used in choi (2006)'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rdinary and inventively gifted children generally acknowledged invention positively. The survey showed that the total average point of students was 5.08 which is higher point than 4 point that is middle value Secondly, from the results of image analysis of 33 adjective pairs toward invention, inventively gifted children showed more positive values than ordinary students in 27 adjective pairs (the considerable level was set at 0.05, 0.01 and 0.001). In other words, the students who have invention education regularly considered invention positively. The result of analysis which was related to drawing, showed that ordinary students drew light bulbs, experimental instruments, robots, anguish, imagination and working tools in order, and inventively gifted students drew lights bulbs, imagination, anguish, working tools, robots, and experimental instruments in order. Though two groups drew light bulbs most, ordinary students drew the things that they saw in their life and inventively gifted students drew imagination, anguish which is related to the basic capabilities to produce idea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elp to make inven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re efficient.

      • KCI등재

        외암마을 물길의 경관생태학적 해석

        신영호,채혜성,이은석,이다혜,신필식,양세진 국토지리학회 2011 국토지리학회지 Vol.45 No.3

        This study intended to define building factors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a small and unique waterway system in Oeam traditional village, Chung-nam, Korea. Humanistic approaches and landscape ecological approaches are performed. For landscape ecological analysing, we use information on morphologic properties and boundary properties of the waterway system. In addition, vegetation surveys are conducted on trees planted near waterway. These surveys shows that the waterway system has landscape ecological roles of a corridor as 'source', 'pipe', 'barrier', and 'filter'. We also find out the ecological roles are linked with humanistic purposes as traditional complex system for water use. 독특한 물길이 형성되어 있는 충남 외암마을에서 물길의 형성 요인과 구성 특성을 경관생태학적 접근을 통해 확인하였다. 인문적인 형성요인에 대한 주민인터뷰와 문헌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현장측량과 관찰을 통해 물길의 형태적 특성과 경계특성을 확인하였고, 물길 주변의 수목에 대한 기초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관요소로서 마을 물길은 ‘통로’로 여겨질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 공급처, 도관, 장벽, 여과 등의 기능으로 구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물길에서 생태적 기능과 인문적인 활용이 상호연관을 맺고 있는 전통적인 형태의 복합적 물이용 체계에 대한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