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주의의 위기

        신중섭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0 철학·사상·문화 Vol.0 No.34

        이 논문은 자유주의를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규정하고, 드닌의 ‘자유주의의 실패’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면서, 아직 자유주의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이념이 등장하여 사람들의 지지를 얻지 않았기 때문에 자유주의를 유지하면서 그것의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시민적 공화주의를 제안하려고 한다. 드닌은 자유주의의 실패를 분석하고, 자유주의는 수정되거나 보완될 수 없기 때문에 폐기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대안적인 이념을 모색하지 않는다. 그러나 과학에서의 패러다임과 같이 이념적 패러다임은 그것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이념이 등장하여 사람들의 지지를 얻기 전까지는 폐기되지 않는다. 따라서 자유주의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유주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것의 대안 이념으로 제시된 시민적 공화주의는 자유주의를 보완할 수 있는 요인을 많이 가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시민적 공화주의가 주장하는 시민적 덕에 초점을 맞추어, 시민적 공화주의는 자유주의와 양립 가능하고, 자유주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는 주장을 할 것이다. This study defines liberalism as a paradigm, and critically analyzes Patrick Deneen’s Why liberalism Failed. I am trying to propose a civil republicanism as a way to minimize the problems of liberalism. Deneen analyzes the failures of liberalism and does not seek an alternative ideology, arguing that liberalism cannot be modified or supplemented and should be discarded. However, like the paradigm in science, the ideological paradigm is not discarded until a new ideology that can replace it emerges and gains support from people. Thus, liberalism will continue for the time being. In this situation, although civic republicanism pointed out the problem of liberalism and suggested it as an alternative ideology, it has many factors that can complement liberalism.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civic virtue of civil republicanism, and argue that civil republicanism is compatible with liberalism and can func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liberalism.

      • KCI등재

        센델의 시민적 정치경제학의 한계

        신중섭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58 No.4

        ‘정치에 대한 오랜 사유방식’ 가운데 하나인 공화주의가 다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신공화주의의 대표자인 마이클 샌델은 경제 성장과 재분배에 치중하는 자유주의 공공철학을 포기하고 ‘시민적 정치경제학’을 촉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의 ‘시민적 정치경제학’의 핵심은 자치로서 자유와 시민적 덕이다. 논자는 샌델의 ‘시민적 공화주의’의 정치경제학인 ‘시민적 정치경제학’은 나름의 장점이 있지만, 그것이 매력적인 경제철학으로 현실에 적용되려면 프래그머티즘의 방법의 핵심적 가치인 성과, 결과, 사실을 향하는 태도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려 한다. 실제적인 성과나 결과를 내지 못하는 정치경제학은 현실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A revival of republicanism as ‘a long tradition of thinking about politics’ is under way. Michael Sandel as a Neo-republican argues that we should abandon our liberalism-induced fixation on distribute justice and strive instead to promote a ‘political economy of citizenship’. Central to his ‘political economy of citizenship’ is the that liberty depends on sharing in self-government and civic virtue. In this article, I take up the task that his ‘political economy of citizenship’ should be reinforced with pragmatic method.

      • KCI등재

        쿤은 칸트주의자인가

        신중섭 대동철학회 2008 大同哲學 Vol.43 No.-

        박종식 교수는 그의 논문 “현대 과학철학에서 핸슨과 쿤의 칸트주의적 경향”에서 칸트의 인식론에서 범주의 우선성과 쿤의 패러다임의 우선성을 비교하면서, 칸트의 영향으로 쿤이 전통적으로 많은 과학자들이 믿어온 이론 중립적 관찰을 부정했다는 측면에서 쿤은 칸트주의자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필자는 칸트의 범주의 우선성이 이론 중립적 관찰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함축하지 않기 때문에 박 교수의 주장과 같은 의미에서는 쿤이 칸트주의자가 아니라는 주장을 전개하려고 한다. 나아가 쿤이 칸트주의자일 수 있다면 그것은 박 교수의 주장과는 달리 ‘이론의존적 관찰’ 때문이 아니라, ‘실재론과 구성주의의 사이-안에 존재하는’ 그의 반실재론적 입장 때문이라는 것을 보여주려고 한다. his article, "The Kaintian Tendency of Hanson and Kuhn in Modern Philosophy of Science", Professor Park Jong-Sik attempts to compare the priority of categories to the given in Kant's philosophy with the priority of paradigm to the sense-data in Kuhn's scientific revolutions. Professor Park says that "there are no neutral facts in observ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Kant, Hanson, Kuhn" and reaches the conclusion that Kuhn is a Kantian. In this article, I try to show that in Kant's system the meaning of the word 'categories' differs from that of the word 'paradigm'. On this basis, Kant believed that "there are neutral facts in observation" and Kuhn is not a Kantian. However, I try to show that Kuhn could be a Kantian, not in his 'theory-laden observation' but in his position 'in-between realism and constructivism'.

      • 사회통합과 자유주의 : 철학적 관점에서

        신중섭 한국경제연구원 2013 한국경제연구원 세미나자료 Vol.13 No.3

        1. ‘사회통합’에는 ‘배제의 논리’도 있어야 한다. 체제를 부정하는, 헌법을 부정하는 개인이나 집단은 통합의 대상으로 삼을 수 없다. 2. 소위 말하는 ‘사회갈등’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불가피한 현상으로 인정해야 한다. ‘다름’은 갈등의 요인이 아니라 조화의 원리로 파악해야 한다. ‘다름’은 ‘vision’이나 ‘idea’의 차이에서 유래하는 대립으로, 자연스러운 상태이며 통합의 대상이 아니다. ‘다름 현상’에 대해 ‘갈등’이라는 ‘이름 붙이기’는 피해야 한다. 지난 대선의 결과를 놓고, 이념ㆍ지역ㆍ세대의 갈등의 표출로 해석할 것이 아니라, 각각의 다름에 따라, 이념ㆍ지역ㆍ세대에 따라 다른 정치적 선택을 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해석해야 한다. 개념이 현실을 규정하면 현실이 그렇게 된다. 선거를 통해 권력을 교체하는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항상 승자와 패자가 존재하기 마련이며, 이 현상을 갈등으로 파악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기본정신과도 맞지 않는다. 3. ‘사회통합’을 정책이나 인사 정당화의 명분으로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사회통합’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구체적인 문제점을 해결한다는 차원에서 국가 정책을 논의해야 한다. ‘사회통합’과 같은 추상적인 이념을 국가 정책과 연결시키면 그 정책의 평가가 어려워진다. 소위 ‘사회통합’을 위해 필요하다고 말하는‘복지정책’, ‘경제민주화 정책’, ‘분권정책’, ‘인사정책’의 정당성을 ‘사회통합’에다 두면 그 정책 자체의 적합성ㆍ정당성을 평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정책의 성공과 실패를 판별할 수도 없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정책을 ‘사회통합’의 명분으로 사용하면 ‘갈등’은 어느 사회나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사회통합’은 항상 불합리한 정책을 양산하게 되어 궁극적으로 ‘사회통합’을 저해하게 된다. 4. ‘편가르기’에 기초한 ‘사회통합’을 경계해야 한다. 0.1:99.9, 1:99, 20:80, 대기업과 중소기업, 부자와 가난한 자, 지역과 지역, 중앙과지역과 같은 ‘편가르기’에 기초하여 사회통합을 논의하는 것은 갈등을 증폭시킬 뿐만 아니라 도덕적 정당성을 획득하기도 어렵다. 복지재원을 위한 세금은 富나 收入에 대한 罰金이 아니라 공동체를 위한 ‘基金募金’같은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5. ‘사회통합’의 주체는 정부가 아니라 민간이 되어야 한다. 현실적으로 정치는 개인이나 집단의 여러 형태의 이익을 정치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자신의 목적 가운데 하나로 삼았는데, 이 ‘조정의 과정’은 제로섬이기 때문에, 항상 ‘갈등’을 내장하고 있다.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하려면 정부의 역할을 최소화해야 한다. 따라서 통합이 정치권의 의제가 아니라 민간 영역의 의제가 될 때 그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정부가 직접 통합을 주도할 것이 아니라 민간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드는 지점에서 멈추어야 한다. 6. ‘사회통합’을 위한 도덕적 기반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사회갈등을 ‘선과 악의 대결’로 파악하지 말아야 한다. 갈등이든 통합이든 ‘공감’의 터전을 유지해야 한다. 7. ‘사회통합’의 ‘문제’는 ‘사이비 문제’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나치게 통합을 외치면 우리는 ‘파리통의 파리’ 신세로 전락할 수도 있다. 사회통합의 ‘의도하지 않는 결과’이지, 그것을 이룩하기 위한 행동의 결과는 아닐 수도 있다. 8. 발표문의 ‘6. 국가주도의 사회통합을 넘어서’

      • KCI등재
      • KCI등재

        오랫동안 물음에 대한 새로운 탐색

        신중섭 철학연구회 2008 哲學硏究 Vol.0 No.81

        On the logical proof of God`s existence argued by Descartes in the third and sixth meditation, Hobbes tried to show that there is no idea of God in us and that we have no idea or image corresponding to the holy name of God. God`s existence is not a matter of logic but a matter of honour. In this paper, I tried to show the front line of the confronting debate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In conclusion, I mentioned the emotional attitude against each other as it is appeared in the correspondences. I also suggested that anyone who wants to rewrite the history of modern philosophy, they must consider not only the main text of major philosophers but also the correspondences that they exchanged with their contempor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