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紅樓夢》 초기 영문 자료 해제 및 번역 ― 19세기 전반기 캔톤에서 활동한 선교사들의 저작물을 중심으로

        신정수 중국어문논역학회 2018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2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marks a turning point in European Sinology. Previously, European readers had their own taste for Chinese literature, but from the beginning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y paid more attention to what the Chinese themselves read. At that time, Western missionaries, mainly active in Canton, played a leading role in introducing and translating a broad range of Chinese literature for English readers. Looking at these translations now, it is easy to note mistakes, misreadings, and Eurocentric view; nevertheless, they are still important materials deserving attention. Their achievements can be succinctly illustrated by examining the introductions and translations of the “Honglou meng”. Therefore, I have translated into Korean three early representative works and will present them in chronological order with annotations: “Dialogue XXV. A Person III” from Dialogues and Detached Sentences in the Chinese Language complied by Robert Morrison (1782-1834); “The Moon on the River” from Poeseos sinicae commentarii translated and edited by John Francis Davis (1795-1890); and “Hung Lau Mung, or Dreams in the Red Chamber” translated by Charles Gutzlaff (1803-1851) in The Chinese Repository. 19세기 전반기 캔톤에서 활동하였던 개신교 선교사들은 서구 독자들에게 중국문학을 소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선교사들 이전에 활동하였던 마테오 리치(Matteo Ricci, 1552-1610) 등 가톨릭 신부들은 ‘위로부터의 선교’ 전략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유교 경전, 학술서 등에 주안을 두었다. ‘아래로부터의 선교’를 지향한 개신교 선교사들은 상대적으로 문학, 그 중에서도 특히 속문학에 큰 관심을 가졌다. 개신교 선교사들은 중국어를 배우고 중국을 이해하려는 등 실용적인 목적으로 다양한 문학 작품들을 읽고 소개하였다. 지금의 시각에서 보면, 이들의 저작물에는 오역이나 미진한 부분이 발견되고 당시 서구인이 가겼던 중국에 대한 편견도 배어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기존의 유럽 문단의 취향을 벗어나 동시대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문학 작품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본고는 《홍루몽》에 관한 초기 저작물들을 시대순으로 읽어가면서 서구의 중국문학 수용사의 일국면을 살펴본다.

      • KCI등재

        Celebrated Helper and Disappeared Hero ― The Orphan of Zhao and Voltairean Adaptation

        신정수 중국어문연구회 2012 中國語文論叢 Vol.0 No.53

        본고는 기군상(13세기말 활동)이 지은 원곡 <조씨고아>를 분석하면서 기존의 서구 담론과 다른 새로운 영웅서사 모델을 제안한다. 작품의 표면적 주인공은 아버지의 원수를 갚아가는 孤兒이지만 중심인물은 작품 전편에 등장하면서 다양한 역할을 하는 조력자 程嬰이다. 이와 같이 복수보다는 도덕적 의무, 영웅보다 조력자의 역할이 부각되는 <조씨고아>는 서구 영웅서사 모델과 상당히 다르다는 점에서 중국문학에서 영웅서사 전반을 새롭게 고찰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기군상의 원작과 볼테르의 번안극을 비교하면서 원작의 程嬰이 번안극에서 잠티Zamti로 각색된 문화적, 사상적 배경을 고찰한다. 볼테르의 번안극은 배경설정이나 내용면에서 원작과 상당히 다르다. 형식면에서 볼테르는 사건이 한 장소에서 하루에 끝나도록 설정하였는데 이것은 17세기 프랑스 극작가 사이에서 유행하였던 三一致法則의 영향 때문이다. 내용면에서도 원작은 춘추전국시대 두 가문의 대결 구도에서 번안극은 징기스칸이 중국을 정복할 당시 몽골인과 한인의 대립에 주안을 두고 있다. 번안극은 징기스칸이 중국인에게 교화되는 등 지나치게 중국을 미화했다고 오리엔탈리즘적인 시각에서 비판 받을 수 있지만 이러한 모화주의적 경향은 볼테르의 종교적 회의주의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볼테르는 神의 설정 없이 징기스칸 같은 야만인도 도덕적으로 교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국문명에 관심을 보인 것이다. 조국애와 가족애 사이에서 고민하는 잠티 역시 사회와 인성을 고민하였던 볼테르가 자신의 윤리적 난제를 작품 속에 투영시킨 결과물로 보아야 한다.

      • KCI등재후보

        모란의 중국 표상:고대 동아시아의 모란 문학 비교연구

        신정수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trope of the peony was developed differently by Chinese, Korean, and Japanese writers, based on their own purposes, with a focus on the flower’s masculine and feminine traits, and the influence this imagined gender had on the literature of the three countries. In Chinese literature, I examine the androgyny and protean imagery of the peony. The peony is marked as male plant (mu 牡) in the sense that it does not reproduce via seeding, which is a female function. The shoots bring to mind the soaring image of yang energy when they emerged from the root stems. The second character red (dan 丹) refers to the color of the blossoms,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feminine not only visually, but also medicinally. Itsroot(danpi 丹皮) is known as a medicinal material used for gynecological problems, such as menstrual disorders and menopause. I then examine the transgendering of the flower from male to female with a focus on the image of aggressive and bewitching women. In Korean historical records, the peony was described as an imperial gift from China, and it became a source for the story of the flower king in “Hwawang kye.” I pay attention to the peony’s change of gender from feminine to masculine, specifically as “King Peony.” It is natural that a flower originating in China would be imagined as male, because China was held in the highest regard as a moral and political authority by Korean elites. Moreover, the flower was sent by a Chinese ruler, later reputedly believed to be Emperor Taizong, a very yang figure, and the flower thereby was re-envisioned as male. However, the author appropriated the flower’s masculinity and Chineseness for the purpose of moral suasion. Japanese elite writers, on the other hand, did not deliver political intention even if they must have been aware of Bo Juyi’s social criticism in his poems about the peony; this is in part understood based on their preference for the lyrical, rather than political or moralizing poetry. The main reason, however, would be that the flower was not yet widely cultivated and thus was not sought after by the Heian aristocracy. The peony was mainly appreciated by female writers and thus it was represented sensitive and lyrical in their native literature. The differing treatments of the flower in the three two countries raise important questions that require a comparative analysis of a wide range of texts in later periods not covered by this paper. I hope my study may serve as a foundation for such future work. 본고는 7세기부터 11세기까지 중일한 모란 관련 텍스트를 분석하면서 모란이 중국을 표상하는 다양한 양상들을 살펴본다. 중국문학에서 모란은 초당시대부터 등장하여 중당, 만당시대에 다양하게 표현되다가 마침내 화려한 중국문화를 상징하게 되었다. 동시대 한국과 일본의 경우 모란이 나오는 작품이 불과 몇 편에 지나지 않지만 각각 뚜렷한 경향성을 보여주는데 이는 창작주체의 성별과 사용언어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한국과 일본문학은 모두 일찍부터 중국문학의 영향을 받았지만 이미 초기부터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고대 중국인들은 모란을 남성(牡)으로 상상하였다. 이후 측천무후, 양귀비 등과 이미지가 중첩되면서 모란은 황제를 유혹하고 사직을 위협하는 위험한 여인을 의미하게 되었다. 이후 부귀영화, 북방문화 등으로 상징범위가 확장되었고 마침내 10세기경에 화려한 중국을 상징하게 되었다. 한국문학에서 모란은 중국의 황제가 하사하였다는 이야기가 회자되면서 중국의 황제와 연관되면서 최초의 모란 소재 문학작품인 「화왕계」에서는 花王으로 등장한다. 우화 속에서 화왕은 聖君이 아니라 우유부단하고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는 왕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배후에는 花國 이야기를 통하여 당시 위정자에게 풍간을 하려는 경세론적인 유가적 문학관이 깔려있다. 일본문학에서 모란은 모두 사실적으로 묘사되면서 작가 개인의 심경을 드러낸다. 이는 창작주체가 여성이고 히라가나로 쓰여 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남성작가인 미찌자네가 쓴 한시의 경우에도 여전히 정치색은 배제되어 있고 서정성이 완연하다. 이는 한문을 아는 남성 식자층이 문학의 생산과 소비를 전유하면서 교술적 문학관이 중시되었던 한국과 달리 일본은 일찍부터 자국어문학이 발달하고 여성의 문학창작이 활발해 지면서 서정문학이 발달했음을 보여준다. 일본문학에서도 모란의 이미지는 점차 중국풍으로 채색되었지만 중국의 황제와는 연관되지 않았는데 이는 한국과 일본이 각각 대륙의 정치적/문화적 자장 안쪽과 바깥쪽에 위치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From Adaptation to Decanonazation : Wang Can's “Denglou fu” in Sino-Korean Literature

        신정수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4 No.-

        Adaptations of Chinese precedents constitute an important part of Sino-Korean literature but they have been of little interest to modern scholars, mainly to due to the current privileging of creativity over imitation. Adaptations, however, may not stifle literary creativity at all if approached ingenuously. One important example is adaptations of Wang Can’s “Denglou fu” by Joseon literati. They employed various levels of adaptations from simple lexical overlaps to intertextual and to intertopical engagements. Overall, early adaptations were closely related to “Denglou fu” though they attempted to contextualize their own situations vividly. Later adaptations beginning from the mid-17th century developed their own world, some of which virtually had no connection to the Chinese fu. Some writers were extremely inventive in appropriating Wang’s passages and tailoring them to their occasion and purpose. There seems no hierarchy between the original Chinese fu and Joseon adaptation bu. In this regard, their relationship is close to similitude rather than resemblance in the Foucauldian context. Korean adaptations of the Chinese fu are therefore marked as a significant example to show the decanonization of a Chinese text over time.

      • 수종의 생약추출물이 PC12 Cells 중의 Dopamine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신정수,김영호,배기환,김학성,이명구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품개발연구소 1999 藥學論文集 Vol.15 No.-

        The effects of MeOH extracts of ninety kinds of medicinal herbs on dopamine content in PC12 cells were investigated. Among them, the MeOH extracts at a concentration of 40㎍/ml of Symplocarpus renifolius, Adenocaulon himalaicum and Mosla punctulata decreased 38.5~60.0% of dopamine content. Tyrosine hydroxylase, the rate-limiting enzyme of the catecholamine biosynthesis, was inhibited by the treatment of the MeOH extracts of Symplocarpus renifolius, Adenocaulon himalaicum and Mosla punctulata (19.9~31.3% inhibition at 40㎍/m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se bioactive herbal medicines exhibited partially an inhibitory effect on dopamine biosynthesis by the reduction of tyrosine hydroxylase activity in PC12 cells.

      • Synthesis of the microporous polyurea network/silica composite for carbon dioxide adsorption

        신정수,박지웅 한국공업화학회 2020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20 No.-

        We synthesized a microporous polyurea network/silica composite for carbon dioxide adsorption. Polyurea network sol was prepared by polymerizing tetrakis(4-aminophenyl)methane (TAPM) and 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The sol was mixed with an amine-functionalized mesoporous silica.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gave the polyurea network/silica composite. It was heated to 380°C, by which micropores were developed through rearrangement of urea bond and vaporization of volatile fragments. Carbon dioxide adsorption capacity of the microporous polyurea network/silica composite was measured.

      • KCI등재

        Cultivating Literary Space ― Gardens in the fu of the Southern Dynasties ―

        신정수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2 中國學論叢 Vol.36 No.-

        본 논문은 남조시대 부 문학에서 새로운 관심사로 등장한 문인 정원의 다양한 문학적 형상화를 고찰한다. 동한 이후로 부 문학은 서정화/개인화의 길을 걷는데 이러한 경향이 남조시대로 들어오면서 어떻게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분화되는가에 주안을 둔다. 구체적으로 당시 대표적인 작가들이었던 도연명, 사령운, 심약, 유신이 정원을 자아의 연장선으로 삼아서 자족적 은둔의 기쁨에서 역사에 대한 울분까지 다양한 감정을 표출하였음을 살펴보았다. 전원시의 선구자로 불리는 도연명은 여산 아래 낙향하여 살면서 자신의 소박한 정원을 자족적 은둔의 공간으로 찬미하였다. 산수시의 선구자답게 사령운은 수도 남경에서 멀리 떨어진 회계현에 거주하면서 대자연의 아름다움을 불교적 시각에서 관조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정원을 세계의 중심으로 상정할 정도로 자신감이 넘쳤던 사령운은 결국 유송 왕조의 눈 밖에 나서 비극적으로 생을 마감하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온건하고 검소한 성격의 소유자였던 심약은 왕조가 두 번이나 바뀌었어도 관직에서 낙마한 적이 없었다. 심약의 이러한 능숙한 처세술과 자연미의 추구는 남경에서 멀지 않으면서도 산을 접하고 있는 자신의 주거 환경에서 간명하게 확인된다. 선진양한 시대에서 위진 시대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정치적 중심지는 줄곧 북방이었고 부 작가들은 서안과 낙양에 위치한 황실 정원의 거대한 스케일과 화려한 경관묘사에 매달렸다. 유목민족의 공격으로 남방으로 쫓겨난 동진 시대부터 문인들은 남방의 독특한 자연미에 매료되면서 새로운 서정 공간을 추구하는데 이는 종래의 북방 작가들의 작품과 다른 새로운 경향이었다. 남조 문학은 이후 북조 및 당대 정원문학의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치면서 중국문학의 주류로 자리매김한다. 예를 들어서 후경의 난에 연루되어서 장안에서 생을 마쳐야 했던 남조 시인 유신의 작품 <소원부>를 읽어보면, 정원의 구조, 수목배치 등 세세한 묘사와 함께 문인으로서 역사비판의식이 담겨져 있다. 이는 6세기 말엽에 이미 남조 문인들의 문학이 북조 문단에 소개되었고 이후 당대 정원문학의 자양분이 되었음을 보여준다. 남조 부 문학의 서정성이 후대 문학에 끼친 영향력은 차후에 좀 더 심도 있게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