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협동적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정선(Shin Jung Sun),최은정(Choi Eu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협동적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방법 경기도 H시와 S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48개소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중 표면적행위는 심리적 소진의 하위요인에 대하여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둘째,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중 내면적 행위는 심리적소진에 부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셋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의 협동적 조직문화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완화시키기 위해 보육교사의 표면적행위를 감소시키고, 내면적 행위를 향상시킴이 필요하며, 어린이집의 협동적 조직문화 형성이 중요함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llaborative culture in the collaborative cult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burnout.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1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48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H city and S city in Gyeonggi-do.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As a result, First, surface behavior among the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sub-factors of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the convert behavior among the emotional labor of the childcare teachers had a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burnout. Third, the collaborative culture of childcare center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mediated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them.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revealed that it is necessary to reduce surface behavior and improve convert behavior and that it is important to form a collaborative culture of childcare center in order to alleviate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 과학교과교육 : 서안경계류를 모식화한 실험을 통한 학생들의 이해도 변화 분석

        장승환 ( Swung Hwan Jang ),신정선 ( Jung Sun Shin ),박효진 ( Hyo Jin Park ),문병권 ( Byung Kwon Moon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35 No.-

        We investigated if the apparatus and method developed by Jang et al (2010) would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properties of western boundary current (WBC). Students showed the high achievement in understanding of the WBC if they have carded out the developed experiment in advance. The material we tested, however, did not show any clear effects to understand the Coriolis force.

      • KCI등재

        The Effects of Modified English Text on Reading Comprehension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in, Jung-Sun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6 교과교육학연구 Vol.10 No.1

        외국어를 가르칠 때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서 외국어 교재를 어떻게 수정(또는 조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성인 학습자의 경우 외국어 문장들의 단순화(simplification)보다는 상세화(elaboration)가 학습자의 이해를 더욱 돕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어떠한 유형의 수정된 영어 교재가 우리나라 대학생들, 특히 영어 능력이 별로 높지 않은 대학생들의 독해 이해력을 돕는지를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영어 능력 하위 단계의 성인 학습자에게도 상세화한 영어 입력이 더욱 효과적인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실험을 위하여 139명의 C 대학교 학생들을 세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의 영어 능력 검증을 통하여 세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이후 각각의 집단에게 수정을 가하지 않은 영어 원문, 단순화한 글, 상세화한 글을 제시하여 읽게 한 후 독해 이해력 시험과 이해도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본 실험 대상 집단 중 단순화한 영어 글을 읽은 집단이 독해 이해 시험에서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으며 상세화한 영어 글을 읽은 집단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단순화한 영어 글을 읽은 집단 학생들의 경우 추론을 요구하는 문제보다는 글에서 명시된 정보를 확인하거나 종합하는 문제에서 다른 집단보다 좋은 점수를 얻었다. 셋째, 단순화한 글을 읽은 집단이 상세화한 글이나 원문을 읽은 집단보다 글을 더 쉽다고 인식하였으며, 자신들이 비교적 글의 내용을 잘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성인 학습자들에게 상세화한 외국어 입력이 더 효과적이라는 기존 연구의 결론을 지지할 수 없었다. 이와는 반대로 본 실험의 대상이 된 하위 단계 학습자들에게는 단순화한 외국어 입력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세화한 영어 교재의 경우 원문보다 길이가 길어지고 추가적인 어휘가 늘어나게 되기 때문에 어휘력과 독해 능력이 낮은 하위 단계 학습자들에게 부담을 주었기 때문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성인 학습자들의 경우에도 외국어 능력 단계에 따라 알맞은 수정 언어 입력의 형태를 고려하여 가르쳐야 한다고 본다. This study explored what type of English text modification would be most effective for reading comprehension by lower level university learners. 139 university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participated in a brief experiment. Each group was teste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fter reading unmodified text, simplified text and elaborated text respectively. The three groups also answered to a comprehensibility judgment questionnai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who read the simplified text obtained the best scores in the comprehension ability test. The students who read the elaborated text showed the worst comprehension of the text. In addition, the students who read the simplified text perceived the text easiest whereas the students who read the unmodified version preceived the text hardest in the comprehensibility questionnair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elaborated input does not always help to promote university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particularly in the case of lower level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