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서접근적 대처, 정서표현양가성에 대한 잠재계층분석과 심리적 적응 수준의 차이

        신재은,현명호 한국건강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umber of latent classes based on emotional processing, emotional express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e also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class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daptation according to latent classes. A total of 223 university and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rstl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by four latent classes: “average emotional approach coping group”, “active emotional approach coping group”, “passive emotional expression coping group”, and “avoidant emotional approach coping group”. Second, psychological adaptation was the best in the “active emotional approach coping group” with low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The “avoidant emotional approach coping group” which had the lowest level of emotional processing and emotional expression level and the highest level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the most psychologically maladaptive condition. Conversely, in the case of the “passive emotional expressive coping group”, emotional processing was similar to the average level, but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high and the level of emotional expression was low so that the degree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as at the level of the “avoidant emotional approach coping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ncouraging emotional approach coping in psychotherapeutic practices can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level. Limitation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정서접근적 대처의 하위 요인인 정서 처리, 정서 표현이 정서 표현 유관 변인인 정서표현양가성의 수준에 따라 몇 개의 잠재계층으로 구분되는지 탐색하였다. 그리고 각 잠재계층의 특성을 정의하고 심리적 적응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총 223명의 연구대상자가 완성한 설문지를 최종 분석한 결과를 보면 첫째, 연구대상자는 ‘평균적 정서접근적 대처 사용 집단’, ‘적극적 정서접근적 대처 사용 집단’, ‘소극적 정서 표현 대처 사용 집단’, ‘회피적 정서접근적 대처 사용 집단’으로 명명된 총 네 개의 잠재계층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정서 처리와 정서 표현 수준이 가장 높고 정서표현양가성 수준이 가장 낮은 ‘적극적 정서접근적 대처 사용집단’에서 우울, 불안 수준이 낮고 삶의 만족도와 심리적 수용 수준이 높아 심리적 적응이 가장 양호한 반면 정서 처리와 정서 표현 수준이 가장 낮고 정서표현양가성 수준이 가장 높은 ‘회피적 정서접근적 대처 사용 집단’이 가장 적응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극적 정서 표현 대처 사용 집단’의 경우 정서 처리는 평균 수준과 유사하게 가능하더라도 정서표현양가성이 높고 정서 표현의 수준이 낮아 심리적 부적응의 정도가 ‘회피적 정서접근적 대처 사용 집단’ 수준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에서 정서 경험에 대한 개방성을 지니고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하는 정서 처리와 정서 경험을 소통하고자 하는 정서 표현을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것이 심리적 적응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Subordinates’ Horizon, Internal Governance and Corporate Investment Efficiency

        신재은,이건 한국회계학회 2019 회계학연구 Vol.44 No.2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whether internal governance mitigates any investment inefficiencies. Internal governance is defined as the process through which younger subordinate executives provide monitoring role over the CEO and affect corporate decisions. Subordinate executives have longer decision horizon compared to the CEO and have the incentives to refrain from taking value-destroying actions for the benefit of short-term performance. Key subordinate executives also possess a great influence on a firm’s decision making process. Using the key subordinate executives’ horizon relative to CEO horizon as a measure of internal governance, we analyze whether internal governance mitigates any under- or over-investment problem. We use U.S. data and find that firms with better internal governance suffer from less under-investment problem. Specifically, we find that internal governanc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investment for firms that are likely to under-invest. However, we do not find evidence that internal governance mitigates the over-investment problem. Overall, the results of our study provide supporting evidence that, for firms suffering an under-investment problem, bottom-up internal governance is effective in improving investment efficiency. Our results remain consistent regardless of the types of investment or the method of measuring investment efficiency.

      • KCI등재

        시장 불확실성과 이익의 가치관련성

        신재은,이건 한국세무학회 2022 세무와 회계저널 Vol.23 No.3

        This study examines whether market uncertainty affects the value relevance of earnings. Uncertainty reduces consumer demand, aggravates the collectibility of receivables, and leads to a larger investor reaction to negative earnings news. With increased likelihood of firms reporting losses or suffering from financial instability, and also with stock price valuations that are affected by investor fear as opposed to firm fundamentals, we expect lower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under periods of high uncertainty. Using 25,900 observations from year 2005 to 2020, we fi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e find that the value relevance of earnings is lower under high uncertainty. In contrast, the value relevance of book value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uring periods of high uncertainty. Second, to examine whether earnings quality affects the relation between uncertainty and the value relevance of earnings, we have divided the sample into subsamples of high and low absolute abnormal accruals. While we find negative effect of uncertainty on the value relevance of earnings for the subsample of high absolute abnormal accruals, we do not find significant relation for the subsample of low absolute abnormal accrual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uncertainty and the value relevance of earnings is driven by firms with low earnings quality. Third, we have also divided the sample into subsamples of high and low foreign ownership. We find that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uncertainty and the value relevance of earnings disappears for firms with high foreign ownership. This result indicates that foreign investors play a monitoring role over the managers, restrict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and thereby alleviates the negative effect of uncertainty on the value relevance of earnings. Value relevance of earnings has been an important topic in accounting literature. By showing that the value relevance of earnings is affected by market uncertainty as well as firm characteristics, we provide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investors, and regulators. 본 연구에서는 이익의 가치관련성에 대한 외부환경적 결정요소로써 시장 불확실성을 살펴보고, 불확실성이 이익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이 기업 특성에 따라 강화 혹은 완화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불확실성은 개개인들로 하여금 소비지출을 줄이게 하며, 수취채권의 회수가능성과 신용의이용가능성을 악화시킨다. 또한, 투자자들은 불확실한 환경에서 공포감과 불안감을 갖게 되어 재무제표 수치의 본질적 의미보다 심리적 요인에 따라 주식가치를 평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장불확실성이 기업의 수익성 및 재무건전성 악화를 초래하고, 투자자의 재무제표 수치에 대한 평가를 어렵게 한다는 측면에서 이익의 가치관련성을 낮출 것으로 예측했다. 실증연구에 있어서는 2005년부터 2020년까지 유가증권 및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25,900개 기업- 연도가 표본으로 사용됐다. 불확실성 측정치로는 한국거래소에서 발표하는 변동성지수인 VKOSPI를이용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이 높은 시기에 이익의 가치관련성이낮아지는 결과를 발견했다. 이에 비해, 순자산의 가치관련성은 유의하게 달라지지 않아 불확실성 하에서 이익의 정보가치 하락이 순자산의 정보가치 상승으로 대체되지 않는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재량적발생액의 절대적 크기를 이용해 측정한 이익조정의 수준에 따라 표본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이익조정의 수준이 높은 소표본에서 불확실성과 이익의 가치관련성 간 음(-)의 관계가 나타난 반면, 이익조정의 수준이 낮은 소표본에서는 불확실성하에서 이익 또는 순자산의 가치관련성이 낮아지지 않았다. 이는 불확실성 하에서 경영자의 이익조정이 투자자에게 정보를 주는 목적이 아닌 기회주의적 유인으로 수행됨에 따라 이익조정의 정도가 큰 기업의 경우 이익의 가치관련성이 낮아지지만, 이익의 질이높은 경우에는 불확실성과 이익의 가치관련성 간 음(-)의 관계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외국인지분율의 크기에 따라 표본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외국인지분율이 낮은 소표본에서는 불확실성 하에서 이익의 가치관련성과 순자산의 가치관련성 모두 유의하게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비해, 외국인지분율이 높은 소표본에서는 이익 또는 순자산의 가치관련성 모두 낮아지지 않았다. 이는외국인지분율이 높은 기업의 경우 기회주의적 이익 조정의 기회가 제한되고 회계정보가 분석적으로주가에 반영됨으로써 불확실성 하에서도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이 하락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익과 주가를 설명하는 정도는 회계학 학계에서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이 기업별 특성 뿐 아니라 외부 경제환경적 요인에 따라 달라지는 증거를 제시했으며, 이는 학계뿐 아니라 투자자와 감독당국 등에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OB-20 : Challenges in the diagnosis of congenital syphilis; A case of stillbirth with congenital syphilis

        신재은,임선민,김민정,이대우,김사진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99 No.-

        Despite the advancement of effective treatment antibiotic treatment of Treponema pallidum, syphilis continues to be present in our population. We present a case of a 19-year-old primigravida who delivered congenital syphilis baby that resulted in a stillbirth baby. The patient did not receive any antental care before, and visited our hospital with labor for the first time. Grossly, the patient had no skin lesion, but delivered baby had diffuse bullous lesions in both extrimities and trunk. Serology test demonstrated syphilis after delivery. By autopsy, severe hepatosplenomegaly was observed, and severe autolysis was seen in stomach, bowl, liver, pancreas, spleen, kidney, adrenal gland, uterus, and ovaries. Moderate autolysis was seen in lung, heart, thymus, and brain. This report demonstrated that suspicion for congenital syphilis is needed when unknown stillbirth was noted, especially young patient with no antenatal care.

      • KCI등재후보

        경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중소기관)의 직무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 인식

        신재은,송윤희 중소기업융합학회 2017 융합정보논문지 Vol.7 No.4

        최근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전문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교육파악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직무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 인식을 분석함으로 교육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 16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정 과 IPA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가 모두 높은 항목은 사례관리 실무기본, 사례 관리 실무심화, 장애인생활지원 기본, 프로그램개발 기본, 기관홍보 기본, 사업기획 및 평가 기본, 사업기획 및 평가 심화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들의 교육체계의 방향성을 잡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expertise of work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has been emphasized and the need for education has increas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cognition of job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Data were collected from 162 workers of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Gyeonggi and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IPA analysis. As results of this study, case management practice (basic), case management practice (advanced), life support for disabled persons (basic), program development (basic), business planning and evaluation (basic), business planning and evaluation (advanced) were both job importance and education needs hig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reference for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system of the residents of the disabled.

      • KCI등재

        Asymmetric Investor Reaction around Earnings Benchmark under Economic Uncertainty

        신재은 한국증권학회 2019 Asia-Pacific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Vol.48 No.1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macro-economic shocks on asymmetric investor reactions to earnings announcements. Specifically, we focus on a small range around the earnings benchmark and find a disproportionately large market penalty for firms with small negative earnings surprises (ESs) following an increase in macro-uncertainty. By contrast, we find no evidence of an asymmetric market reaction to firms with small negative ESs following a decrease in macro-uncertainty. While prior empirical research failed to document the large penalty for small negative ESs, our findings suggest macro-economic shocks as a factor that explains the asymmetric pricing effect.

      • KCI등재

        경제 불확실성이 감사보고서의 발행을 지연시키는가?

        신재은,윤용석 한국회계정보학회 2024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24 No.1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과 감사보고시차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추가적으로 직급별 감사시간과 감사인 특성을 고려했을 때 해당 관계가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방법]분석을 위해 2014년부터 2019년까지의 기간을 설정하여 KOSPI와 KOSDAQ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감사보고시차의 대용치로는 기말 결산일로부터의 감사보고서 공시일까지의 일수를 설정하였다. 경제 불확실성은 KRX에서 제공하고 있는 변동성지수인 VKOSPI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연구결과]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 하에서 감사보고시차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불확실성 하에서 증가하는 감사 업무량에 대응해 감사인이 감사노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불확실성과 감사보고시차 간의 관련성이 공인회계사 및 수습공인회계사의 투입시간이 많은 소표본에서 두드러지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실무를 담당하는 회계사의 감사노력이 많은 소표본에 의해 감사시차의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불확실성과 감사시차 간의 관계가 감사인특성에 의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본 결과, Big4 감사인과 산업전문 감사인에 대해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결과를 확인했다. 이는 불확실성 하에서 증가하는 감사위험에 대응해 명성위험 및 소송위험이 큰 Big4 감사인과 산업전문 감사이 상대적으로 감사노력을 더 투입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의 시사점]불확실성이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을 줄인다는 선행연구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불확실성 하에서 감사시차가 증가하며, 특히 실무 업무를 담당하는 회계사의 투입시간이 많은 소표본에 대해, 그리고 전문성이 높은 감사인의 소표본에 대해 해당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결과를 제시했다. 이러한 결과는 불확실성 하에서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의 감소가 감사노력의 하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감사시차의 증가가 기업특유 위험 요인의 증가에 의한 것이 아니라 외부환경적 요인에 의한 것일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은 감사시차를 의사결정에 고려시 해당 기간의 불확실성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Purpose]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uncertainty and audit report lag. Also, it analyzes whether this relationship manifests differentially when considering audit hours by rank and auditor characteristics. [Methodology]For analysis, we use a sample of listed firms for the period from 2014 to 2019. Audit report lag was proxied by the number of days from the fiscal year-end to the audit report date. Macro-uncertainty was measured using the volatility index VKOSPI provided by KRX. [Findings]The analysis yields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it confirms an increase in audit report lag under high uncertainty.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auditors increasing audit efforts in response to a rise in audit workload under uncertainty. Secondly, the relation between uncertainty and audit report lag becomes more pronounced in subsamples where audit hours put into by junior and senior staff are high. Thirdly, the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and audit report is stronger for Big4 and industry specialist auditors.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auditors with higher reputation risk or litigation risk allocating relatively more audit effort in response to increased audit risks under uncertainty. [Implications]Despite previous research indicating that uncertainty reduces audit fees and audit hours, this study’s results suggest that reduced audit fees or audit hours does not necessarily imply a decrease in audit effort. Our results provide insight to investors and auditors in providing evidence that increased audit report lag may be due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rather than an increase in firm-specific risk factors.

      • KCI우수등재

        도시산업 특성에 따른 도시 간 기능적 연계가 도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재은,우명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23 國土計劃 Vol.58 No.7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도시 간 기능적 연계를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전역적 차원에서 측정하고기능적 연계가 도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가 가진 산업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도시 간 발생하는 기능적연계 패턴을 각 도시별 산업 특성별로 살펴보고, 산업 특성별 도시 간 기능적 연계의 패턴 차이가 해당 도시의 경제적 차이로 나타나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2014년, 2019년으로 설정하였으며 226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산업 특화 지수(LQ 지수)와 산업 다양성 지수(엔트로피 지수)를 측정한 뒤 계층적 군집분석(hierarchical clustering)을 통해 각 도시의 산업 특성을 유형화하였다. 도시 간 기능적 연계는 화물 O/ D, 목적(출근, 업무) O/D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각의 복잡성 지수, 상호통행량을 산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시군구의 1인당GRDP를 종속변수로 하고 복잡성 지수, 상호통행량, 산업 특성군집 유형, 기능적 연계에 대한 군집 더미 변수별 상호작용항을독립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가 도시경제 성장을 견인할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도시 및 지역 연계 전략에 있어 관련 정책의 효율적인 수립과 운용에 필요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ith increasing interest in urban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strategies through functional linkage approaches between cities,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ffect that functional linkage between cities has on the urban economy. However, studies have not considered how this effect may diff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industr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functional linkage between cities on the urban economy by using a multiple regression model with interaction terms.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case of cities specialized in primary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active functional linkage of goods could lead to enhance urban econom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ities specialized in tertiary industries (producer services), the study found that the functional linkage of human capital, rather than the functional linkage of goods,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city’s econom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functional linkage could have different economic effects depending on the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citie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policy establishment and operation in urban and regional link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