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제 갈곶 해안의 지오트레일 개발

        신재열,고병천,홍영민,류희경 한국지역지리학회 202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8 No.3

        The most coastal areas of Galgot-ri Geoje-si, designated as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nd Haegeumgang Islet (Myeongseuong), is a place where various coastal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heritage such as gravel beach, dinosaur footprint fossils, ripple marks and crack structures are densely developed. Hence, the area has its high ecological and aesthetic value with great value of geo-diversity. In terms of geotourism, the coast is a best place for geo-edutourism focusing on appreciation, experience and educational use of the geoheritage. This study introduces natural heritages of the Galgot coast and suggests a geotrail model developed for the goals. We ex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be used as an sustainable eco-friendly geotour that can contribute to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heritage with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경남 거제시 남부면 갈곶리 일대는 대부분의 해안 지역이 한려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보존・관리되고 있는 한편명승 제2호(거제해금강)로 지정된 갈도(葛島)가 위치하고 있어 해안 경관의 생태적, 심미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다. 더불어, 갈곶리 해안 일대는 몽돌 해안을 비롯한 다양한 해안 지형과 공룡발자국 및 새발자국 화석, 연흔, 건열 등의 지질 유산이밀집하여 발달하는 한편 동백나무를 비롯한 남해안 난대림 식생이 자생하는 곳으로 높은 지구 다양성를 보이는 곳이다. 이와같은 갈곶리 해안의 지형 및 지질 유산, 생태, 경관 유산은 지형 및 지질 유산의 감상과 체험에 초점을 둔 지오투어리즘 또는이들 유산의 교육적 활용 목적을 중심으로 한 지오에듀투어리즘(geo-edutourism)의 적용과 개발에 적합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갈곶 해안 일대의 지형・지질・생태・경관 자원을 소개하고 이들을 활용한 지오투어의 개발을 위한 지오트레일 모델을 제안하고 있으며, 나아가 지오트레일의 활용 방안에 대한 제언을 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상업・대중적 관광에서 벗어나 자연 유산의 이해와 감상, 직접 체험을 중심으로 재생산성 높은 관광 자원을 개발하고 자연 유산의 보전과 관리,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지오투어의 사례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한국 해안단구 연구의 성과와 의의: 1990년~2023년

        신재열 한국지형학회 2023 한국지형학회지 Vol.30 No.4

        Over the past 50 years significant achievements have been produced in the field of studies on marine terraces of Korea, the impressive attainments are no less than those in any other topic in Korea’s geomorphological community even since the 1990s. In particular, a sizable list of accomplishments have been accumulated on account of absolute dating techniques since 1990s, and more definitive facts have been revealed by cross-validation with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Looking back on the history of studies on Korea’s marine terrace over the past 30 years we remember that discussions and debates have always progressed in a constructive manner and that the results is far from small. It is clear that we will be closer to the universa l facts in a number of future studies and this allows us to restore the sea-level fluctuations and reveal the patterns and properties of crustal movements during the Quaternary.

      • KCI우수등재

        고성-속초 일대 제4기 후기 해안단구 지층서

        신재열,홍성찬,김동은,류희경,홍영민 대한지리학회 2023 대한지리학회지 Vol.58 No.6

        강원도 고성군 아야진리와 속초시 대포동 일대에는 해발고도 60m 이하 고도에서 세 단의 해안단구가 발달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며, 이 중 제1면(MT1)은 해발고도 ~10m, 제2면(MT2)은 15~35m, 제3면(MT3)은 30~60m 사이에 분포하고 있다. 각 단구면의 퇴적상은 주로 사력층 내지 사질 실트층과 사질 점토층으로 나타난다. 각 단구면의 형성 시기는 OSL 및 IRSL 연대 측정 결과 MT3의 경우 21만 년 전후, MT2의 경우 12만 년 전후로 확인되어 각각 최종 간빙기 전 간빙기(MIS 7)과 최종 간빙기 극성기(MIS 5e)에 대비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동해안 일대의 기존 연구 결과들과 해안단구의 분포 특성 및 분포 고도, 형태, 형성 시기 등에 있어 유사하게 나타나는 바 상호 신뢰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동해안 지역에서 20만 년 전후의 MIS 7 시기에 형성된 해안단구가 절대 연대 자료를 바탕으로 동정된 것은 유의미한 결과인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지형지질 경관자원의 분포와 관리방안-서해권 지구를 중심으로-

        신재열,박정원,홍영민 국토지리학회 2018 국토지리학회지 Vol.52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 resources in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nd make efficient and suitable management plans to ensure they are well-preserved. Representativ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forms include: sand beaches, coastal sand dunes, sea cliffs, sea caves and wavecut platforms, and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 must be established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in the national park area for efficient management. In particular, these landscape resources are highly valuable as ecological tourism resources through geo-edutourism throug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These landscapes require appropriat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 and can be developed for tourism. Finally, high-value landscapes like Gwanmae wetland and sand dune on Ui island need systematic managements with precise and long-term monitoring programs. 본 연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3개 지구를 대상으로 지형·지질 경관자원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이고 지구별 특성에 적합한 관리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지역 일대에서 대표적인 지형·지질경관은 모래해안, 해안사구, 해식애, 해식동, 파식대 등이며, 특히 이들 지형·지질 경관자원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지오에듀투어리즘(geo-edutourism)의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관매습지, 우이도 해안사구 등 보전 가치가 높은 지형·지질 경관자원은 정밀조사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을 통해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 KCI등재

        일-생활의 균형(WLB)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

        신재열,박기찬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8 창조와 혁신 Vol.11 No.3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WLB) an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ables such a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se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WLB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s of WLB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WLB influences individual life and organizational productivit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mprovement as it helps the members to engage and devote to the organization and to change their intention to leave.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data on WLB,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Future research that divers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research subjects will be helpful to expand the theoretical scope of the research. 본 연구는 일-생활의 균형(WLB)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와 같은 개인과 조직유효성의 변인들과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 이들 관계에서 근로자의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실증연구를 위하여 조직에서 근무를 하고 있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WLB는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는 WLB가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지원인식이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WLB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WLB가 개인의 생활뿐만 아니라 조직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며, 조직구성원의 조직지원인식은 구성원이 조직에 몰입하고 헌신하는데 도움이 되고 구성원의 직무에 대한 태도와 이직하려는 의도가 달라짐에 따라 조직의 성과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WLB와 조직유효성, 조직지원인식에 대한 실증적 자료와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향후 조직 특성과 조사대상을 다양화한 후속 연구가 진행된다면 연구의 이론적 범위를 확장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속리산국립공원 내 지형 및 구곡 경관 자원의 분포와 특성

        신재열,홍영민 국토지리학회 2023 국토지리학회지 Vol.57 No.4

        In this paper, we present geomorphological resources and historic sites(the Gugok), followed by classifications of them according to geomorphic criteria in Songnisan National Park. Further, based on the geomorphic classification, we provide geoinformation on geomorphological resources and the Gugok, along with an evaluation of their conservation value as the foundational basis for the management plan. In Songnisan National Park,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cliff, dome, talus, tor, gnama, stream cliff, waterfall, pool and rock riverbed with others were found, and these were considered to have mainly formed by geomorphic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anitic bedrock. The aesthetic and scenic value of them are multifarious in harmony with the scenery of Songnisan National Park. Besides, the Galeun- Gugok, SSanggok-Gugok, Seonyu-Gugok and Hwayang-Gugok are located in Songnisan National Park. These Gugok are valuable archives of gemorphological and geological history in Songnisan National Park with scenic and geo-educational value. Thus, by developing and making good use of geo-educational contents from geomorphological resources and the Gugok, it is hoped that visitors will be able to appreciate and experience the historical, environmental and aesthetic values of Songnisan National Park. Thus, by developing and making good use of geo-educational contents from geomorphological resources and the Gugok, it is hoped that visitors will be able to appreciate and experience the historical, environmental and aesthetic values of Songnisan National Park.

      • KCI우수등재

        한반도 서해안 해남 구림리 일대 최종 간빙기 해안단구의 분포와 발달 특성

        신재열,류희경,홍영민,홍성찬 대한지리학회 2022 대한지리학회지 Vol.57 No.6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tribution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last interglacial marine terraces emerged in Gurim-ri, Haenam-gun in the southern part of the western coast, South Korea. The altitudes of the 1st terraces are approximately 3~5.5m and 2nd terraces are 6~15m from the regional high sea-level. The formation age of the first terraces are about 119ka BP and 130ka BP, corresponding to the last interglacial period(MIS 5e). The marine terraces around the study area are originated from paleo-delta. It implies that the marine terraces along the western coast remain from various coastal origins. 본 연구는 한반도 서해안 남부 지역인 해남군 화원면 구림리 일대에 분포하는 최종 간빙기 해안단구의 분포와 발달 특성을 고찰하고 있다. 연구 지역 일대에서 해안단구 제1면은 고조위 기준 3~5.5m에 분포하고 있으며, 해안단구 제2면은 6~15m에 분포하고 있다. 연대측정 결과에 따라 해안단구 제1면의 형성 시기는 약 119만 년 전과 130만 년 전으로 확인되며, 이는 최종 간빙기 극성기(MIS 5e)에 해당한다. 연구 지역 내 일부의 해안단구 제1면은 고(古)삼각주 지형으로부터 기원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같이 서해안 지역으로는 연안 환경 및 지표 특성에 따라 형성된 다양한 기원의 고해안 퇴적물이 잔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