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遞兒給祿制 연구

        신유아 조선시대사학회 2022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0

        The Joseon Dynasty inherited many of the Goryeo Dynasty’s methods in the operation of the government office system, but I thought it was necessary to find a different way from the Goryeo system to prevent the indiscriminate distribution of fake government posts and the depletion of national financ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regardless of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officials, the national finances consumed by the salaries of officials had to be kept at a certain level, and the method of paying salaries was to create positions where many people could take turns. This method did not pay everyone, such as soldiers on duty, people in lower positions of each government office, and technical workers, but only those who received positions that could be paid. The method of paying only to those in limited government posts was widely applied to most lower-ranking officials and soldiers, except for some central government offices composed of some high officials, and was implemented over the entir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is payment method, the Joseon government was able to prevent the endless increase in national finances spent on salaries by keeping the number of paid people constant no matter how many officials increased. In addition, government posts that were not paid could be distributed to those who needed them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number of positions, and even receiving such government posts could not be conscripted and exempt from taxes. These government posts could be distributed to people without the state spending its finances, so they could step down from office and give them to bureaucrats who were on standby for issuance, and were used as a means of making the state work without paying them. These unpaid government posts served as compensation for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war and contributed to the war while preventing the explosive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in the government office during the war, and are likely to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luctuation of the status system and socio-economic changes. 조선왕조는 고려 말에 극대화되었던 다양한 모순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출발하였다. 특히 관원 수의 증가 및 虛職의 濫設, 이로 인한 녹봉 재원의 고갈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만 했는데, 관료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관직의 숫자가 계속해서 늘어나게 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선 정부로서는 어떻게든 제한된 재원만을 가지고서 계속해서 늘어나는 관인계층에게 녹봉을 지급할 수 있는 방법을 간구해야만 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려면 관원 수의 증가와 상관없이 녹봉으로 소모되는 국가 재정은 일정 수준으로 묶어두어야만 했는데, 이를 위해 마련된 급록의 방식이 바로 체아직을 활용하는 것이었다. 체아직은 여러 사람이 돌아가며 받는 직이라는 뜻으로, 체아급록제는 관청별로 정기적인 심사(녹도목)를 통해 체아직을 받은 사람에게만 그 체아직에 따른 녹봉액을 지급하게 하는 제도였다. 따라서 관원 수의 증가에 상관없이 체아직의 수만 일정하게 유지한다면, 녹봉에 소모되는 국가 재정 역시 일정 규모로 유지될 수 있었다. 이러한 체아급록제는 당번 때에만 돌아가며 근무하는 군사직이나 각 관청의 하위 실무직, 기술직 등의 직군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었으며, 그 녹봉의 액수는 관원 개인의 本職이 아닌 체아직의 직과 품계에 따라 주어졌다. 체아직은 여러 사람에게 돌아가는 직이므로, 그 수직 대상자를 교체하는 주기가 짧을수록 1년에 더 많은 수의 사람들이 녹봉을 받을 수 있었다. 따라서 매년 체아직을 받을 사람을 선정하는 祿都目의 횟수를 법으로 정해 두었고, 하층 신분 출신이 많이 속해 있는 직군일수록 녹도목의 횟수를 늘려 적은 녹봉 재원으로 많은 사람을 부릴 수 있도록 했다. 체아급록제는 조선왕조가 지속되는 전 기간에 걸쳐 시행되었으며, 조선왕조는 이러한 급록 방식을 통해 관원 수의 증가와 상관없이 녹봉의 재원이 끝없이 늘어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었다. 또한 녹봉이 주어지지 않는 무록체아직은 그 수에 제한을 받지 않고 필요한 대상에게 얼마든지 줄 수 있었으므로, 국가는 별도의 재원을 마련하지 않고서도 이를 통해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력을 충원할 수 있었다. 특히 서반 군직의 직함을 사용한 무록체아직은 양란 시기에 虛職의 폭증을 막으면서도 군공을 세운 자들에 대한 보상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체아수직자의 증가는 조선후기 신분제 동요와 양역 문제의 심화 등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중·고 역사 교과서 내용 체계화를 위한 모색-조선 시대를 중심으로-

        신유아 역사교육연구회 2019 역사교육 Vol.152 No.-

        There have been arguments that the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should be organized systematically. Securing the affiliates in the history curriculum has also been tried in many ways and has been applied to actual school sites. But what is more necessary than the seemingly systematic presentation of this table of contents is the actual systematicization of historical content. Rather than simply differentiating the arrangement or composition of the table of contents,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contents of the course according to the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present appropriate activities. History is more important in itself than other subject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select and organize contents and describe them accordingly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them. The curriculum that serves as the blueprint needs to be prepared with this in mind. The selection of the content must include a review of the research achievements on the subject. If we don't look at the research results so far, not only will it be difficult to correct the errors that have been repeated for decades, but will also repeat the historical views of the past colonial era and the days of authoritarian politics. It is not enough to correct only a few mistakes by the criticism of the curriculum researchers and scholars who participated in the textbook. It is imperative that a system be prepared to review research trends in each era and organize them so that they can be frequently reflected in the writing of textbooks. 이 글은 2018년에 고시된 2015 중학교 ‘역사’ 및 고등학교 ‘한국사’ 재개정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조선시대 부분의 소주제별 학습요소에 관해 지금까지의 연구 동향을 대략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각각 어떻게 다루고 가르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생각을 제시하였다. 학습내용요소의 체계화를 위해서는 조선시대 학습요소의 재분류 작업 외에, 조선시대사의 내용과 연구의 동향,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고려하여 중·고별로 내용체계를 재설정하고 이에 따른 학습요소를 새롭게 제시하여 보는 작업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여성사에 대한 인식과 새로운 여성사 서술 방향 모색 -전근대 시기를 중심으로-

        신유아 대구사학회 2019 대구사학 Vol.137 No.-

        After the seventh curriculum was implemente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began to cover the family system of Korea and Joseon and the status of women under separate themes. In general, women's status during the Goryeo Dynasty was high, but it was said that women's status decreased due to the spread of Sunglihak(性理學: Ju-Hee's teachings, a kind of study of Confucianism) after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eason for the claim that the status of women in the Goryeo Dynasty was high was the Goryeo Dynasty wedding customs was monogamy in principle, secondly, a daughter was listed on the family register in order of age, and son and daughter inherited the same property. However, since the 17th century, the spread of Sunglihak(性理學) philosophy has led to decrease the treatment of women. For exemple, the eldest son inherited most of his parents' property and the son of a remarried woman, who cannot take an administrative test. From ancient times to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re was no time in our history when it was not a principle of monogamy. in the case of property inheritance, even though even the middle 18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shows a uniform division, it should be reconsidered to describe the entire members of Joseon as if they had inherited their wealth to their eldest sons from the 17th century. It also does not seem appropriate to allow a woman to perceive the reason for her lower status as if it were only in the spread of Sunglihak(性理學). In the history textbooks to be used in the future, rather than stating that women's status was high at some time and low at some time, the focus should be on clarifying the unfair treatment historically imposed on women and allowing students to develop critical views. 6차 교육과정이 시행된 이후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서 고려와 조선의 가족제도와 여성의 지위에 관한 내용을 별도의 주제로 다루기 시작하였다. 고려시대에는 1부1처제가 원칙이었고 딸도 호적에 연령순으로 기재되었으며, 재산도 아들과 똑같이 상속받았던 것 등의 사실로 미루어 보아 일상 생활면에서 남성과 거의 대등한 지위를 가지고 있었는데, 17세기 이후 성리학적 생활규범이 확산되면서 장자 위주의 상속이 이루어지고 재혼한 여성의 아들은 과거 시험을 칠 수 없게 되는 등 여성에 대한 대우가 낮아지게 되었다는 내용이 서술의 기조를 이루었다. 그러나 6차 교육과정 시기로부터 이미 수십년이 흘러 새로운 연구 업적의 축적이 상당히 이루어졌고, 여성사를 보는 시각도 달라져야 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행 교과서에서도 그 서술 기조가 그대로 답습되고 있다. 고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우리 역사에서 ‘원칙적으로’ 1부1처제를 취하지 않았던 시대는 없었다. 재산 상속의 경우에도 조선의 경우 18세기 중엽까지도 균분상속이 나타나고 있는데, 17세기를 기점으로 마치 조선 사회 전체가 장자 위주의 상속으로 바뀐 것처럼 서술하는 것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여성의 지위가 낮아진 원인을 오직 성리학의 확산에만 있는 것처럼 인식하도록 하는 것도 적절해 보이지 않는다. 앞으로 사용될 역사 교과서에서 여성에 관한 내용은 여성의 지위가 ‘가정 내에서’ 어느 시대에는 높았고, 어느 시대에는 낮았다는 것을 단정적으로 서술하기보다는, 사회ㆍ경제적인 측면에서 여성들이 어떤 처우를 받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학생들로 하여금 이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 KCI등재

        다양한 역사관의 공존(共存)을 위한 역사교육 방안에 대한 모색

        신유아 대구사학회 2020 대구사학 Vol.139 No.-

        In the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 there is no unified view of historical descriptions, and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descriptions and critical thinking on them by various perspectives is the goal of history education. On the other hand, using history education as a tool to complete the class revolution, North Korea views history as a process of revolutionary struggle to regain the independence of the working class, and consistently describes from this point of view to the primitive period to modern history. Presently, descriptions of history textbooks between the two Koreas show a wide gap in terms of their direction and how they are described, and overcoming these differences may seem like a task that is hard to achieve even after reunification. Given the historical time the two Koreas have shared, however, what the two sides are doing differently is interpretation and perspective, not the historical facts themselves. Therefore, it may not be at all impossible to reach an agreement to some extent after extensive and ongoing discussions on the direction of historical descriptions for social integration after reunification. Methodology is also worth considering how to diversify the single curriculum enactment and approval procedures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the form of policy research by provincial and municipal education offices. It is difficult to rule out the risk of instilling a single value idea to establish a uniform curriculum in the country and learn it from the entire nation. Therefore, it will be worth considering the compilation of the regional curriculum considering the local situation. Modern society has more emphasis than ever on historical description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most necessary ability for students to live in a future society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ir different perspectives and thoughts and to make the right decisions about them. The work of seeking the direction of post-unification history education could come amid efforts to form a social consensus on historical texts from various perspectives, away from the obsession that history should be described from either point of view. 대한민국은 다양한 시각에 의한 역사 서술과 이에 대한 비판적 사고의 함양을 역사교육의 목표로서 지향하는 반면, 북한은 혁명을 완수하기 위한 도구로서 역사교육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그 내용 체계 및 해석이 크게 상이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역사관의 차이를 극복하는 것은 통일이 된 이후라고 해도 달성하기 어려운 과업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측면에서 생각해 보면 역사는 과거에 이미 일어난 사실이고 과거를 현재의 정치적 목적에 의해 완전히 뒤바꾸어 서술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다. 이는 다시 말해 목적에 따라 다르게 서술할 수 있는 부분은 역사적 사실 그 자체가 아니라 그것에 대한 해석과 평가에 국한된다는 뜻이다. 따라서 통일 후 사회 통합을 위한 역사 서술의 방향성에 대해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논의를 거쳐 어느 정도 합의를 이끌어 내는 것이 전혀 불가능한 일은 아닐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오히려 남한 내에서의 ‘한국사’의 내용구성에 관한 것이다. 근현대사의 여러 가지 사건에 대한 해석과 용어 문제는 물론이고, 전근대와 근현대의 시대별 비중 역시 하나의 쟁점이 되어 있다. 방법론적으로는 고등학교 ‘한국사’와 ‘한국근현대사’ 과목을 분리하여 선택과목화 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또, 현재 국가에서 정책연구의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는 단일한 교육과정 제정 및 검정 절차를 각 시ㆍ도 교육청별로 다양화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만 한다. 국가에서 획일적으로 교육과정을 제정하여 이를 전국민에게 배우도록 하는 것은 단일한 가치관을 주입하게 될 위험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지역의 실정을 고려한 지역단위 교육과정의 편제도 고려해 보아야 한다. 현대 사회는 다양한 관점의 역사 서술이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고, 또 필요한 사회다.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가장 필요한 능력은 자신과 다른 관점과 생각을 이해하고 이를 종합하여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다. 통일 이후의 역사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작업은 어느 하나의 관점에서 역사를 서술해야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의 역사서술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하는 노력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역사교육과정의 변천과 근현대사의 비중

        신유아 전북사학회 2019 전북사학 Vol.0 No.55

        Until now, Korea's history curriculum has been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national and social needs. In particular, education in Korean history coincides with changes in the political situation and has become a political issue not only in terms of its content but also the publishing system. Through this series of situations, it would be meaningful to summarize the discussions that have been made around the textbook publishing system and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erms of the content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In order to look at this, changes in the history curriculum, including the revision of the history curriculum and the compilation of history lessons, need to be addressed as well. In this article, we will take a brief look at the changes in the publishing system of Korean history textbooks and the compilation of history lessons among history curricula since the end of the Gwangbok period, and examine how the content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have changed. At any time, history education in any country is difficult to achieve regardless of political and social realities. However, boundaries will still be necessary for history to be used too much for the present. 지금까지 한국의 역사 교육과정은 국가적․사회적 요구의 영향을 받으며 변천되어 왔다. 특히 ‘한국사’ 교육과정은 정치적 상황의 변화와 맞물리며 그 내용 구성은 물론 발행체제에 이르기까지 대중들의 관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었다고 말하기 어렵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해 보았을 때 교과서 발행제도를 둘러싼 그 동안의 논의를 정리해 보고, 교육과정의 내용구성 측면에서 가장 핵심이 되고 있는 문제인 근현대사의 비중에 관한 논의를 정면에서 다루어보는 것도 나름대로의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역사 교육과정의 개정 과정과 역사 교과의 과목 편제 등의 변화 역시 함께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광복 이후 지금까지 역사 교육과정 가운데 고등학교 ‘한국사’(舊 ‘국사’) 교과서의 발행체제 및 역사 교과의 과목 편제의 변천 과정을 대략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학생들이 배우는 내용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달라져 갔는지를 근현대사의 비중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어느 시대, 어느 국가의 역사 교육도 정치․사회적 현실과 무관하게 이루어지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그러나 역사가 지나치게 현재를 위해 활용되는 현상에 대한 경계는 여전히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朝鮮前期 去官의 의미와 去官節次로서의 都目

        신유아 역사교육연구회 2023 역사교육 Vol.167 No.-

        거관은 조선이 관제를 운영해 나간 방식과 관제 개혁의 목적을 파악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개념이다. 조선왕조는 官制와 祿制의 운영 체제를 관품 위주로 정비하였는데, 이는 개인이 관직에 入仕한 후 쌓은 근무일수에 의해 쌓은 散階가 직무수행에 대한 보상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고려조에서는 개인의 散階와 상관없이 관직이 제수되는 경우가 많아 관료조직 내의 位階가 어지러워지는 경향이 있었으므로 이를 바로잡을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관원의 직무수행에 대한 보상은 크게 두 방면으로 이루어졌다. 하나는 給祿과 같은 경제적 측면의 보상이고, 다른 하나는 官職遷轉, 즉 陞職을 통한 것이었다. 급록에는 재정이 소모되고, 관직천전을 위해서는 관직의 빈자리가 필요한데, 양자 모두 관원 수의 증가 속도를 감당할 수 없을 것임은 고려조의 경험에 비추어 보았을 때, 충분히 예견되는 바였다. 따라서 조선왕조는 녹봉에 소모되는 국가 재정과 實職의 숫자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현직에 있는 관원들의 직무수행을 권장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했고, 이러한 필요에서 간구된 방안이 遞兒給祿制와 都目거관制의 정비였다. 도목을 통해 거관할 인원수를 조정하고, 거관하여 옮겨갈 자리가 없는 경우 서반군직을 체아직으로 주어 돌아가며 受祿하게 한 것이다. 도목은 거관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한 인사행정 절차였고, 거관하게 되면 종전의 관서를 떠나 다른 관서의 더 직품이 높은 직으로 陞職되어 관직을 遷轉할 수 있었다. 도목에서 높은 순위를 받기 위해 가장 중요한 조건은 실제 근무한 일수의 多少였다. 서반군직과 잡직 등 업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기능의 숙련도가 중시되는 직종에서는 근무일수가 특히 중요했다. 물론, 관직의 과궐은 항시 제한되어 있었으므로 거관되었다고 해서 모두 陞職遷轉되는 것은 아니었다. 정부는 거관사로의 확대를 위해 서반 군직을 체아직으로 가져와 거관자를 체아직으로 천전시키거나, 影職 또는 散官職 등을 제수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虛銜職을 받은 자들의 숫자가 늘어나면서, 군역담당자의 수가 줄어들어 양역변통의 필요성이 증대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나, 본 연구에서는 다루지 못하였다. 다음 연구과제로 남겨두도록 하겠다.

      • KCI등재

        체계적 역사교육을 위한 역사 부교재의 내용구성 방안

        신유아 역사교육학회 2022 역사교육논집 Vol.80 No.-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discussions concerning the affiliation have been mainly focused on the curriculum of Korean history. Most researchers may agree that teaching needs to be organized by school level. However, history education that meets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may be more effective in differentiating the teaching methods rather than organizing the teaching content differently at each school level. It may be in this context that a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have recently been emphasized in school education, which values student activities more than unilateral lectures by teachers. Since the seventh revision of the curriculum, more sections have been made to allow students to solve problems on their own, such as "exploration activities," as textbooks began to include feed, guidance and explanation of terms in addition to the text. In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these efforts have become more prominent, adding activities such as writing history. Finding relevant materials is essential for such activities, and if history textbooks are produced that contain abundant materials needed for these student activities, they will be abl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supplementary materials in class. In the meantime, the history textbook has been composed of maps and visual materials, faithful to the name of "substantive maps and paintings." However, because the latest textbooks contain most of the necessary maps and visuals, the supplementary textbooks, which include a number of such overlapping materials, are now seen to have served it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uxiliary textbook that presents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to the level of school level and includes data to carry them ou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ir understanding.

      • KCI등재
      • KCI등재

        현행 ‘역사부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

        신유아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0

        The use of historiy auxiliary textbook mainly composed of maps and visual aids at school site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recent years. In the late 1990s, when the 6th curriculum was implemented, high schools could not afford to open history auxiliary textbooks in class due to a lack of time. In particular, this tendency became more noticeable after the 7th curriculum, which began to include various maps, visual materials, and research activities in the textbooks. Recently, maps and visual materials in history textbooks are richer than ‘history auxiliary textbooks’ and are often superior in quality. As of now, history textbooks can not be evaluated as functioning as supplements to textbooks by listing the same data as they contain in textbooks. To remedy these problems, it is first necessary to change the system to concurrently write and examine textbooks and collateral. After both the writing and the testing of the textbooks are completed, the connection of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should be enhanced to allow collateral to be written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In terms of content composition,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fresh to better understand the textbooks, rather than using traditional maps and visual aids. For example, explanations of historical terms, descriptions of persons, and specific explanations of various cultural heritages should be included in consideration of the school level.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organize the study activities of about one-third of the contents of a textbook using simple questions and materials. However, the new history book should not just be a collection of questions to confirm what has been learned and should focus on boosting students ’ historical thinking. ‘부교재’란 주교재를 보완하는 보조교재로서, 역사 교과에서는 현재 ‘역사부도’를 역사 교과서를 보완하는 부교재로 사용하고 있다. 초등학교의 경우 ‘사회과부도’에 역사지도와 자료가 일부분 포함되어 있고,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별권의 ‘역사부도’가 사용되고 있다. ‘부도(附圖)’란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교과서에 부속된 그림’이라는 뜻이다. 현재의 ‘역사부도’는 지도와 시각자료, 도표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그 명칭에 비교적 충실하다고 할 수 있다. 학교 현장에서 지도와 시각자료 위주로 구성된 역사 ‘부도(附圖)’의 활용도가 현격하게 감소한 것은 최근에 갑자기 나타난 현상은 아니다. 6차 교육과정이 시행되었던 1990년대 후반에도 고등학교에서는 시수 부족 등으로 인해 수업시간에 ‘역사부도’까지 펼쳐볼 여유는 많지 않았다. 특히, 교과서에 다양한 지도와 시각 자료, 탐구 활동 등이 수록되기 시작한 7차 교육과정 이후에는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해졌고, 최근에는 역사 교과서에 실린 지도 또는 시각자료가 ‘역사부도’보다 더욱 풍부하고 질적인 면에서도 우수한 경우가 있다. 현재와 같이 교과서와 중복된 자료들을 아무런 맥락없이 주제별로 나열하는 방식의 ‘역사부도’는 주교재인 교과서를 보완하는 부교재로서의 기능을 다하고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과서와 부교재를 동시에 집필하고 검정하도록 하는 제도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 교과서의 집필과 검정이 모두 종료된 후, 교과서 내용에 따라서 부교재를 집필할 수 있도록 하여 두 교재간의 내용 연계성을 최대한 높여야 한다. 내용 구성 면에서도 종래와 같이 지도와 시각자료 위주의 ‘부도(附圖)’에서 벗어나, 교과서 이해에 실제로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새롭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현재와 같은 ‘역사부도’가 더 이상 학교 현장에서 환영받기 어렵다는 사실은 긴 논쟁을 필요로 하지는 않을 것 같다. 현장 교사들도 교과서와 내용상 직접적인 연관성이 강화된 새로운 부교재가 제작되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하고 있다. 이제는 기존의 체제대로 만들어진 ‘역사부도’를 그대로 받아들이고 이를 어떻게든 활용해 보려는 노력보다는, 학교 현장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역사 부교재를 만들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