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 전달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참여자와 공급자 대상 질적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신유미,변금선,최혜지,한동우,김형용 한국노인복지학회 2019 노인복지연구 Vol.74 No.2

        This study analyzed the delivery system of ‘the Support for Senior Employment and Social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umer and the supplier and suggested the improvement plan. The number of jobs for the seniors, which began with 25,000 jobs in 2004, is projected to increase by 24.6% a year, and 610,000 jobs by 2019. Despite the quantitative expansion,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job program type with segmented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reflect the changing nature of the seniors and increased demand for senior jobs. In order to achieve the policy objective of ‘promoting the welfare of the elderly through work and social activities' in response to the changing policy environment, there is a need to confirmed the constrains and limitations experienced by participants and service providers of ‘the Support for Senior Employment and Social Activities’. In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 (FGI, 13 interviews in total) was conducted for the senior workers (participating in the job program) and suppliers (agencies, etc.), which are the main actors who have a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senior job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different contextual arguments depending on the role and function of each subject surrounding the job for older adults.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we discussed how to improve the effective delivery system that guarantees complexity, relationship and feasibility of senior job service delivery system.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전달체계를 수요자와 공급자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2004년 2만5000개 일자리로 시작한 노인일자리사업은 연평균 24.6%씩 사업 규모가 증가하여 2019년에는 61만개의 일자리가 운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양적 확대를 지속해왔으나 분절된 구조와 사업유형의 복잡성으로 인해 증가하는 노인일자리 수요와 변화하는 노인들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노인일자리사업이 변화하는 정책 환경에 대응하여 ‘일과 사회활동을 통한 노인 복지의 증진’이라는 정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노인일자리사업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참여자들과 서비스 공급자들이 경험하는 제약과 한계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주된 행위자(actor)인 노인일자리사업 수요자(참여노인)와 공급자(수행기관 담당자 등)를 대상으로 현장 중심의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진행하였다. 참여자와 공급자를 대상으로 총 13회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일자리사업을 둘러싼 각각의 주체들의 역할과 기능에 따라 다른 맥락적 논의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을 분석기준에 따라 살펴보면서 노인일자리사업 전달체계의 복잡성, 관계성, 현장성을 담보한 실효성 있는 전달체계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서개발관리 분야 최근 연구동향 분석에 대한 연구

        신유미,박옥남,Shin, You Mi,Park, Ok Nam 한국정보관리학회 2019 정보관리학회지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future scholarship by analyzing recent research trends in collec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field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Data was collected from four journal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during period of 2003 to 2017. Related articles of Collec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field were retrieved, and author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selected papers. Keyword network analysis using NetMiner4 program was performed based on frequency analysis, connection-centered analysis, and parametric analysis. The analysis covers all sections from 2003 to 2017 to look at the changes in research over time, and three sections on five-year basis. As a result, main keywords such as 'open access', 'institutional repository' and 'academic journals' were identified, and topics to be continuously researched were identified. 본 연구는 장서개발관리 분야의 최근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핵심 연구주제를 파악하고 학문의 지적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2003년부터 2017년까지 15년간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회지에 등재된 논문 중 장서개발관리 분야의 키워드를 가진 연구논문을 선정하여 저자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저자키워드를 가지고 NetMiner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키워드 네트워크를 구성한 뒤 빈도분석, 연결중심성 분석, 매개중심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연구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전 구간을 대상으로 한 분석과 5년 단위의 3구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오픈액세스', '기관 레포지터리', '학술지' 등의 장서개발관리 분야의 핵심키워드를 파악하고, '대학도서관' 등의 계속 연구될 분야의 주제어를 파악하였다.

      • 손자녀 돌봄이 조부모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 도구변수(IV)-고정효과(FE)모델 적용

        신유미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7 No.10

        본 연구는 손자녀 돌봄이 조부모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 도구변수(IV)-고정효과(FE)모델을 적용한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며, 손자녀 돌봄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돌봄의 내생성을 줄이기 위해, 시불변 미관측 요인(time-invariant unobserved factors)뿐 아니라 시변 미관측 요인(time-varying unobserved factors)까지 통제할 수 있는 IV-FE방법을 적용한, Ku(2011), 양혜경(2016), 최경덕 · 안태현(2016)의 연구방법을 살펴보면서 이를 비판적으로 적용한다. 분석자료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를 사용한다. 설명변수와 종속변수의 측정방법이 동일하게 유지된 3개 차수(2-4차, 2008-2012년) 자료를 분석한다. 분석대상은 손자녀가 있다고 답한 조부모이다. 도구변수로는 Ku(2011), 양혜경(2016), 최경덕 · 안태현(2016)이 사용한 ‘결혼 경험이 있는 성인자녀의 수, 손자녀의 수, 일하는 성인자녀의 수’를 각 선행연구 버전에 따른 조합으로 사용한다. 이 때 도구변수의 타당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잘못된 연구결과를 보고할 수 있기에, Ku(2011)가 제시한 검증방법에 따라 설명변수의 내생성, 도구변수의 적합성, 도구변수의 외생성을 면밀히 검토하고자 한다. 세 가지 선행연구 버전에 따른 조합 모두에서, 도구변수의 외생성은 확보가 되었으나 도구변수의 적합성, 설명변수의 내생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V-FE 모델을 적용하지 않고, FE 모델을 적용하여 최종적인 연구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FE 모델의 결과, 손자녀 돌봄은 조부모의 우울수준을 높이는 부정적인 방향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조부모의 우울수준에 대한 손자녀 돌봄의 효과는 부정적 또는 긍정적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IV-FE 방법을 적용한 기존의 연구를 수정 · 보완하여 분석한 replication 연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IV-FE 모델 적용의 타당성이나 손자녀 돌봄의 건강 효과가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다른 결과가 나타난 이유에 대해서 논하며, 손자녀 돌봄의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 노인일자리사업 전달체계 현황과 과제

        신유미,변금선,최혜지,한동우,김형용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11

        한국의 노인일자리사업은 2004년 노인의 소득보충과 사회참여 활성화를 목표로 시작된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2004년 2만5000개 일자리로 시작한 노인일자리사업은 연 평균 24.6%씩 사업규모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예산규모 증가만큼 적절한 실적이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며, 노인일자리사업 전달체계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언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현장중심의 자료를 확보하여 노인일자리사업 전달체계 현황과 한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현 재정지원 노인일자리사업 각 운영주체인 지자체,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등 관계기관, 각 사업별 수행기관, 참여기업, 참여노인, 비참여노인을 포함하였다. 보다 현장 중심의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초점그룹인터뷰(FGI)방식을 사용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다. FGI는 5~7명씩 5개 집단(관계기관, 수행기관, 참여기업, 참여노인, 비참여노인)으로 구성하여 최소 1~2회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일자리사업을 둘러싼 각각의 주체들의 역할과 기능에 따라 다른 맥락적 논의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을 분석기준에 따라 살펴보면서 노인일자리사업 전달체계의 복잡성, 관계성, 현장성을 담보한 실질적인 전달체계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서적 학대 경험이 초기 성인기의 우울, 불안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감사의 조절효과

        신유미,손은정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gratitude of emotional abuse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affecting depression, anxie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early adulthood. Study 1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trait gratitude and state gratitude on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 depression,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78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Study 2 examined whether the gratitude interven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anxie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emotional abuse experience. The participants were assigned a gratitude journal group(treatment) (n=18) and an experience journal group(control group) (n=16). They wrote everyday a gratitude journal or an experience journal respectively for two weeks using the online program.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state gra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early adulthood depression. Second,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trait gratitude and state gra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early adulthood anxiety.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tate audits was found in relation to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early adulthood. Fourth, the anxiety level of the gratitude journal group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of the experience journal group.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long with some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는 정서적 학대 경험이 초기 성인기의 우울, 불안 및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감사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대구, 경북 소재 대학생 278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학대 경험과 성인기 우울, 불안 및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특성감사와 상태감사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2에서는 정서적 학대 경험이 높은 사람들에게 감사개입이 우울, 불안 및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감사일지집단(18명)과 경험일지집단(16명)으로 나누어 2주간 매일 온라인 프로그램으로 일지를 작성하도록 하는 감사 훈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학대 경험과 초기 성인기의 우울과의 관계에서 상태감사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학대 경험과 초기 성인기의 불안과의 관계에서 특성감사와 상태감사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 학대 경험과 초기 성인기의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상태감사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감사일지집단이 경험일지집단에 비해 불안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