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학위논문 이용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신유리,정은경,Shin, Yu-Ri,Chung, Eun-Kyung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09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40 No.1

        Theses and Dissertation(TD) have been considered one of valuable scholarly resources, while there have existed some limitations to collect, organize, and provide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sers' perception on six TD services from five institutions and to propose improvement strategies. Six TD services includes National Library, National Assembly Library, RISS, dCollections, NDSL, and Council of Theses and Dissertation Common Us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from 151 us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dentified that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RISS were preferred by users. In addition, users preferred keyword, full text, department, abstract, table of contents, as well as title and author over other bibliographic information. More importantly, users needs were placed on whether specific TD services provide full text or not. In case that is not possible to provide full text, users have a preference for full text link information. As a result, in order to improve the TD services, service promotion activities, diverse access points, and full text provision are desirable. 학위논문은 중요한 학술자원이나, 출판 및 유통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검색, 접근, 입수, 활용 면에서 어려움이 있다. 이 연구는 5개 기관 및 6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학위논문의 이용현황을 분석하여 전반적인 학위논문 제공서비스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학위논문을 실제로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6개의 학위논문 제공서비스 중에서 국회도서관과 RISS 서비스가 높은 인지도와 사용률을 나타냈으며, 이용자들은 제목과 저자 이외에도 키워드, 원문제공 여부, 학과, 초록, 목차 등의 정보원을 중요한 검색항목으로 사용했다. 이용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학위논문의 원문제공 여부이며, 원문을 제공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공처에 대한 링크 또는 안내를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학위논문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제공서비스의 홍보와 다양한 서지정보가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학위논문의 원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 KCI등재

        한소 수교 이후 고려인의 시기별 특징 변화와 영향 요인 분석 : ‘빅카인즈’ 아카이브의 1990~2022년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신유리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23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17

        This paper intends to gain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an increasingly number of Goryeo People coming to South Korea across the country. To this end, it examined how public awareness of these people and its change are recognized in Korea through an analysis of news articles. In the 1990s, the rise in the number of Goryeo people coming to South Korea remained unnoticeable. Yet it cast a new light on them as important people in the history of Korea. But they are marked by tragic aspects arising from poverty and family separation. The movement of Goryeo people to South Korea was initiated in the 2000s from which positive images were attached to them as its movement is one of the ways to highlight the restoration of forgotten historical facts. There was a community of Goryeo people at that time, but no media outlet shed light on this ethnic group. Beginning in the 2010s, positive awareness and favorable movements for Goryeo people, including descendant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s and major players in building networks in Eurasia came into view. The Goryeo people community witnesses an active advancement in cooperation with Korean people and provincial statutory bodies. In summary, Goryeo people were reported as historical people from the 1990s when they were spotlighted by media. Their community gained media spotlight by shaping and carrying out their activities. It can be noted that by making positive images promoted by descendant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s and major players in building networks in Eurasia, they contributed to achieving active cooperation with the Korean government and provincial bodies.

      • KCI등재

        생애사를 통해 본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세대의 영역별 배제 경험을 중심으로-

        신유리,김경미,전정식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and examine deeply social exclusion experience of the disabled with biographical perspectives. For rich experiences, difference between each generation, their substantial experiences of social exclusion of 31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analysed, who have chosen those from in 50s to in 80s using biographical method. The results is that firstly, it represents diverse dimensions of accumulated social exclusion such as welfare policy, labour, education, health management and medical service, housing, social relationships etc, through their experiences. In particular, it is analysed that there is a generational difference among labour, education and welfare service etc. In addition, it shows differences between strategies and resources for both generations of in 50, 60s and 70, 80s in handling and coping with this kinds of social phenomenon resulting from being a diverse society,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e conditions. On suggest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for social inclusion beyond making up social exclusion.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사적 관점에서 장애인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 현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생애사적 접근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풍부한 경험 포착과 세대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1950년대 생부터 1980년대 생 31명 장애인들의 실제적인 배제 경험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선, 참여자들은 복지정책, 노동, 교육, 건강관리 및 의료, 주거, 사회적 관계, 편견 등 다양한 영역에서 중첩된 배제 양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동, 교육, 복지서비스 영역에서 경험하는 배제 현상에 세대 간의 차이뿐만 아니라 극복전략 및 활용자원에도 세대 간의 다름이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배제를 극복하고 나아가 사회적 포함을 지향하는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Lactobacillus salivarius LCH1230으로부터 생산된 Listeria 균 억제물질의 특성

        신유리,임공분,채종표,강대경,Shin, Yu-Ri,Lim, Kong-Boon,Chae, Jong-Pyo,Kang, Dae-Kyung 한국축산식품학회 2011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1 No.4

        In this study, a LCH1227 bacterial strain that possesses anti-listerial activity was isolated from fermented food and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alivarius LCH1227 based on its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as well as its 16S rRNA gene sequences. Anti-listerial substance also inhibited the growth of various Gram-positive bacteria, such as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alis, Streptococcus agalactiae, Bacillus cereus, Lactobacillus fermentum. The highest level of produc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s from L. salivarius LCH1227 occurred during the early stationary phase. The antilisterial activity was found to be stable over a broad range of pH values (2.0-12.0) and after heat treatment. However, it was inactivated by proteolytic enzymes, indicating its proteinaceous nature. The apparent molecular mass of the partially purified anti-listerial substance, as measured by Tricine-SDS-PAGE, was approximately 5 kDa.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L. monocytogenes ATCC 19114에 강한 항균활성을 보이는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의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Lactobacillus salivarius LCH1227으로 동정되었다. L. salivarius LCH1227이 분비하는 항균물질은 L. monocytogenes 뿐만 아니라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alis, Streptococcus agalactiae, Bacillus cereus, Lactobacillus fermentum 등과 같은 그람양성 세균에 대해 폭 넓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L. salivarius LCH1227의 생육에 따른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생장정체기 초기에 최대 활성(300 AU/mL)을 나타내었고, 생장정체기 이후부터 활성이 점차 감소하였다. 항균물질의 활성은 pH 2-12 구간에서 비교적 안정하였으며, 열처리에 의해서도 활성이 소실되지 않아 열에 안정한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L. salivarius LCH1227이 생산하는 항균물질은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 후에 활성이 실활됨으로써 단백질성 물질인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Tricine-SDS-PAGE 실험을 통하여 항균물질의 분자량은 약 5 kDa 정도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북한 과학기술분야 법제 변화와 전망: 헌법과 과학기술법을 중심으로

        신유리 통일과북한법학회 2023 북한법연구 Vol.30 No.-

        북한은 체제수호와 경제발전을 강조하며 과학기술 분야의 발전 강화를 대내외적으로 강조해왔다. 자력갱생과 민족자립경제의 기치를 올리면서도 북한의 심각한 경제난극복을 위한 주요 동인으로 과학기술 부문의 발전을 전략적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과학기술인력 우대정책을 집중적으로 전개하는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강화 국면에서도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첨단기술 축적과 이를 기반으로 한 경제발전을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그리고 북한은 이러한 전체적 목적을 당의 노선과 정책, 김일성과 김정일의 교시까지도 법률화의 형식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고 있으며 이는김정일에 이은 김정은체제에서도 북한은 대내외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법제를 통해 꾸준히 정비하여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전협정 이후 70년간 북한의 과학기술정책의 주요변화와 특징을 배경으로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그간 북한의 과학기술법령의 내용과 특징을 북한 헌법과 과학기술분야에 기본법에 해당하는과학기술법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그에 따른 향후 전망을 분석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volution and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science and technology legislation over the past seven decades following the armistice agreement. Emphasizing regime prote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North Korea has consistently highlighted the enh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Despite its commitment to self-reliance and a selfsufficient national economy, the country has strategically placed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a central driver in overcoming its significant economic challenges. This has involved the implementation of policies favoring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expertise, persisting in the face of increasing international sanctions. The paper delves into how North Korea aims to realize these overarching goals by institutionalizing the party’s directives and policies, along with the teachings of Kim Il-sung and Kim Jong-il, through legal means. This approach has continued under the Kim Jong-un regime, with a consistent effort to revise and adapt the legal framework to support both domestic and external policies. Accordingly, the paper explores the main changes and features of North Korea's science and technology legislation in the backdrop of the post-armistice period. It provides an analysis of North Korea's science and technology legisl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its constitution and the basic laws governing the field, focusing on the laws pertinent to science and technology and projecting future prospects based on these legislative underpinnings.

      • KCI등재

        장애인의 결혼이행: 장애유형 및 남녀차이

        신유리,김미선,김정석 통계청 2020 통계연구 Vol.25 No.2

        This study, using multiple life table techniques, describes whether and when the disabled get married. In doing so, it further examines the differences of transition rate and timing by the types of disability and gender. Past studies tend to focus on the prevalence of marriage among the disabled or the meanings and individual practices of marriage for the disabled. Little is known about the basic statistics concerning marriage transition among the disabled. The study utilized different sources of data. The age of first marriage, types of disability and gender were drawn from the 2017 Korean Survey of Disability. The mortality rat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as import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of Kim et al(2017). These data allowed us to construct the multiple life table containing the probability of remaining unmarried using 10-year intervals. The life table set up the starting age at 20 and limited its cases to those who were born with disability or become disabled prior to that age. As for the types of disability, the cases include physical disabilities (516), visual/ hearing impaired (289) and intellectually impaired (307). The results show that the majority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and visually/ hearing impaired were married(I think you mean “linked”) and their ages at marriage concentrated in the subjects’ 20s and 30s. In the meanwhile, the intellectually handicapped are often left unmarried for life and their ages at the time of marriage are dispersed. As for gender differences, the age at marriage is lower for females than for males. In particular, among the intellectually disabled, males are more likely to remain single for life than females. The results suggest that marriage for the disabled var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ability and gender, requiring a special attention from academics and policy makers. 이 연구는 장애유형 및 성에 따라 장애인들의 결혼양상, 즉 결혼이행율과 이행연령의 차이를 생명표 기법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장애인들의 결혼관련 연구들은 대체로 이들에게서 결혼의 의미와 개별 실천을 밝히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장애인의 결혼양상에 대한 포괄적이고 배경적인 지식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분석을 위해, <장애인실태조사(2017)>를 사용하여 장애인들의 초혼연령을 파악하였다. 또한 장애인들의 사망률을 적용하기 위해 2010년 장애 인구의 연령별 사망률 자료(10세 간격)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10세 간격의 다중미혼잔존률을 생명표 방식으로 작성하였다. 해당 생명표에서 결혼노출시작연령은 20세이며, 이들은 20세가 되기 전 장애가 발생한 사례들로 한정된다. 지체장애인(516명), 시각 혹은 청각장애인(289명), 지적장애인(307명)을 대상으로 다중미혼잔존률을 생산한 결과, 지체장애인과 시각 혹은 청각장애인들은 대다수가 결혼을 하고 그 연령대 또한 20대와 30대에 집중되어 있었다. 지적장애인의 경우, 평생 미혼상태로 남는 경우가 상당히 많았고, 결혼이행 또한 특정 연령대에 집중되지 않았다. 한편 여성장애인들이 남성장애인들에 비해 초혼이행연령이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적장애인의 경우 남성의 평생 미혼으로 남는 비율이 여성의 그것보다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장애인의 결혼이행이 장애유형과 성에 따라 차별적인 모습을 보이며, 이에 대한 학문적, 정책적 관심이 요구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